Primary Production System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I. Biomass and Productivity

한국동해 남부해역의 일차생산계 I. 생물량과 생산력

  • Published : 1992.06.01

Abstract

For the study 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production system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chlorophyll,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nutrients and hydrographic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measurement of C-14 based primary productivity. The primary productivity was relatively high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ies, ranging from 284 to 4,574 mgC$.$m/SUP -2/$.$day /SUP -1/ and averaged to be 2,000 mgC$.$m/SUP 02/$.$day/SUP -1/. The standing stocks within the euphotic zone were fairly high, but ambient inorganic nitrogenous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too low to support the high production. This implied that there might be active recycling of nitrogenous nutrients by heterotrophic processes and the upward flux of nutrients by vertical mixing. Subsurface chlorophyll maxima were continuously observed in the lower parts of the euphotic layer and the depth coincided with the nutricline rather than isopycnal surfaces, supporting the view that chlorophyll distributions and primary production were primarily influenced by nutrient supply. Despite low nutrient concentrations,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and production were fairly high and the fraction of autotrophic nano- and picoplankton production was significant.

한국 동해 남부해역 일차생산계의 구조와 특성을 밝히기 위해 엽록소량, 식물플랑 크톤 현존량, 영양염 및 수리적 성분들을 C-14 방법에 의한 일차생산력 측정과 병행하 여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는 구해역 일차생산력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다 높 은 284 - 4.574 mgC·m/SUP -2/·day/SUP -1/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평균값은 2,000 mgC·m/SUP -2/·day/SUP -1/로 계산되었다. 진광대 내의 일차생산자 현존량은 비교적 컸으나 해수중 무기 질소태 영양염은 높은 일차생산을 유지시키기는 어려운 낮은 농도 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질소태 영양염은 종속영양 생물과정과 수층의 수직혼합에 의한 상층으로의 유입에 의해 빠른 순환 공급이 예상된다. 표층하 엽록소량 최대 현상은 진 광대의 기저부에서 계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그 깊이는 등밀도 표면대 보다는 영양염 약층과 더 밀접한 관계를 보여 엽록소량 분포와 일차생산이 일차적으로 영양염 공급에 영향받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해역은 낮은 영양염 농도에서 불구하고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과 생산량은 비교적 크고 자가영양 미소 및 초미소플랑크톤의 생산량 이 중요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