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급노동시간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 Son, Mun-Geum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277-311
    • /
    • 2005
  • 본 연구는 여성이 가족과 일을 병행하려 할 때 안게 되는 이중부담의 양과 유급노동시간과 무급노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의 차이를 통해 남성과 여성의 시간사용구조를 살펴보고, 이중부담이 노동시간양${\cdot}$노동시간대${\cdot}$노동장소로 나타나는 여성 유급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료는 통계청의 1999년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맞벌이 가구의 여성은 남성보다 하루 평균 1시간 51분 많은 총노동시간을 가지면서 주당 약 13시간의 이중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만성과 여성의 노동시간사용구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었다. 즉, 여성은 경제활동에 참여한다할지라도 무급노동시간의 89%를 책임지고 있었으며 여성의 노동시간은 가족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젠더화된 생활시간사용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연구결과와 다르게 가내하청/재택근무, 자영, 무급가족종사와 같은 종사상지위와 미취학자녀의 존재는 여성에게 유급노동시간을 조절하는 기재가 되지 못했고 무급노동시간을 늘리는 역할을 할 뿐이라는 점이 한국사회 여성의 이중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맞벌이가구 여성은 무급노동에의 일차적 책임으로 남성보다 야간유급노동이나 휴일유급노동시간을 줄이고, 단시간노동을 선택하며, 집안에서의 유급노동시간을 길게 하면서 가족생활시간을 확보하는 유급노동시간 조절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노동방식은 노동시장에서 여성노동의 불안정성을 만들어내고 주변화시키는 요인이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 서구사회와 비교하면 한국사회에서 여성이 경제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야간노동과 휴일노동, 장시간노동이라는 남성적 노동조건을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판매/서비스직의 자영자와 무급가족종사자 여성들, 가내하청이나 재택근무를 하는 임금근로자 여성들, 학력이 낮은 기능/조립직과 단순노무직 여성들은 야간노동이나 휴일노동, 집안에서의 유급노동시간이 길뿐 아니라 절대적인 유급노동시간과 무급노동시간도 길게 나타났다. 그러나 미취학자녀의 존재가 이러한 여성적 유급노동시간의 특징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다.

Economic Value of Parental Time

  • Yun, Ja-Ye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3
    • /
    • pp.173-199
    • /
    • 2009
  • 여성주의 경제학자와 사회학자들은 부모의 아동양육시간이 여성과 아동의 경제적 복지에 미치는 중요한 함의에 대해 강조해왔다. 사회가 가족이 아동을 양육하는데 더 큰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부모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정작 어느 정도의 시간 자원이 아동을 양육하는데 투입되는지에 관해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기존의 연구들은 전체 생산 경제에서의 무급 노동의 경제적 가치의 비중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2004년 한국생활시간조사를 사용해 아동 양육에 투입된 부모의 시간을 추정하고 그 시간의 금전적 가치를 추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부모가 아동양육을 위해 투입한 시간의 경제적 가치는 시장 노동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에 비교해 볼 때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아동이 소비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데 있어 무급 노동의 역할은 시장 노동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사람들에게 특히 중요하다. 아동을 양육하는 모의 노력은 대개 무급 노동의 형태를 띠고 있는데, 부모의 시장노동만큼이나 아동 복지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전체 경제 차원에서의 무급 노동의 비중과 그 경제적 가치에 대한 연구 성과들과 별개로, 부모의 아동 양육 시간의 비중과 경제적 가치의 추정은 전체 경제 가운데 인적 자본부문에 대한 무급 노동의 경제적 역할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한국 중년 남녀의 무급노동내용과 시간량

  • Kim, Jeong-Seo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173-201
    • /
    • 2005
  • 한국 중년 남녀들의 무급노동을 비교 분석하려는 목적을 가진 본 연구는 가사노동과 가족들 보기를 하는 비율과 그 시간량을 분석하고 있다. 가사노동과 가족돌보기가 여전히 여성들의 몫으로 간주된다고는 하지만 얼마나 많은 여성과 남성들이 이러한 일들을 하고 있으며, 이에 사용되는 시간이 얼마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1999년도 생활시간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의 40대와 50대 중년층의 가사노동과 가족돌보기를 행하는 비율과 그 시간량을 기술하는 한편, 이들의 가구, 개인, 거주지역 및 요일특성에 따른 차이를 제시하고 있다. 주요 결과로는 중년층 여자들의 경우 본 연구에서 고려한 특성과 관계없이 대부분이 가사노동을 하고 있는 반면, 남자들은 특성에 따라 가사노동을 하는 비율의 차이가 발견된다는 것이다. 또한 가사노동 시간량에서는 남자들과는 달리 여자들에게서 동거가구원이 적을수록 가사노동의 시간 또한 적음을 알 수 있다. 가족돌보기의 경우에는 가구특성이 중요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남자들과는 달리, 여자들 중에서 유배우자들은 무배우자들보다 가족돌보기를 하는 비율이나 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남편이 아내를 돌보기보다는 아내가 남편을 수발하거나 보살피는 것이 더 보편적임을 다시 확인시켜 준다.

An Empirical Study on the Dual Burden of Married Working Women : Testifying the Adaptive Partnership, Dual Burden and Lagged Adaptation Hypotheses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 Kim, Jin-Wo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7 no.3
    • /
    • pp.51-7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mpirically testify three hypotheses on the relation between married women's employment and the allocation of unpaid domestic work within households - i.e., adaptive partnership (AP), dual burden (DB) and lagged adaptation (LA) models. The AP hypothesis assumes that, when wives are employed, husbands spend more time doing housework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ir wives' increased responsibility. The DB model, by contrast, indicates that, even if married women are employed, their burden on domestic work does not decrease. In this case, therefore, the dual burden of married women can be expected. Between these two opposite views, the third, alternative hypothesis has been suggested recently. The LA model argues that the behaviours of households are adaptive to the changing environments but over a period of many years and even across generations. The article has analysed the total work time as well as unpaid domestic work time to testify these three hypotheses, utilising 1999 Time Use Survey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married working women worked 100 minutes more than their male spouses. Second, the average domestic work time of married men, 23-25 minutes per day, was no more than 5-10% of that of women. Third, the effects of age and women's employmen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ple regression models, which means that the DB hypothesis explains the situa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in Ko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rticle suggested the expansion of the public social service system to mitigate the dual burden of married working women, the introduction of compensatory credit for caring work, and the directions of further empirical research using the time use survey data.

  • PDF

The Choice of Self-Employment and Career Interruption Among Females (여성의 자영업 결정요인과 경력단절 가능성)

  • Sung, Jaimie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5 no.1
    • /
    • pp.161-182
    • /
    • 2002
  • The self-employment can provide work time flexibility. Work time flexibility would be a critical factor for married females' labor supply considering allocation of their time to market work and household work. This study used the 1998 and 2000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for the empirical analyses. Applying the bivariate probit model with partial observability, this study analyzed factors related to the choice of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choice of self-employment.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rriage and the presence of younger children on changes in decisions related to labor supply us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exit from the labor market, increasing and decreasing work hours. The presence of the younger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while positive, but insignificant, effect on self-employment. Compared with females working for others, self-employers without employees and unpaid family workers are less likely to exit labor market rather than increasing work hours. The self-employment would be a good alternative to evade females' career interruption and therefore to enhance the potential human resources.

  • PDF

The Gender Differences of Travel Behavior in the Seoul Metropolitan City: Analysis of Time Use Survey (서울시민의 이동행동에 있어서의 젠더차이 :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 Son, Moon-Geum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3 no.1
    • /
    • pp.1-25
    • /
    • 2010
  • This study looks into travel behavior differences by sex, gender role and economic status. Source for analysis in this study is from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4. The sample considered of 3,122 women's time diaries and 2,678 men's, whose age range from 20-59.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married women, women with child under age 6 and unemployed women have less travel time quantity, travel during the daytime and use mass transportation than men and single women. However single women and working women, especially working women having high income level, show more similar patterns of travel behavior with men's which are quite unvarying regardless of marital, parental and economic status.

Measurement of Unemployment and Extended Unemployment Indicators in Korea (실업률 측정의 문제점과 보완적 실업지표 연구)

  • Hwang, Soo Kyeong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3 no.3
    • /
    • pp.89-127
    • /
    • 2010
  • This paper explores the causes and solutions of the problem that the official unemployment rate does not adequately represent the reality of the employment situation in Korea. First, compared to ILO's international standards,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 of unemployment in Korea, for example, the treatment of unpaid family workers working less than 18 hours per week, the classification of persons who are waiting for a new job or temporarily laid-off, and the criteria of job search activities. The questionnaire structure of the Labor Force Survey in Korea also misleads the judgment of economic activity state. Comparing the responses of the basic survey to those of the supplementing survey, approximately 90% of the responses show discrepancies and this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misclassification. Next, this paper suggests the extended unemployment indicators as alternative, based on the current survey. The extended unemployment indicators support the presence of significant amounts of hidden unemployed and underemployed. And, it is found that the analyses using those indicators are very useful for the investigation of many aspects of employment dynam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