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Dual Burden of Married Working Women : Testifying the Adaptive Partnership, Dual Burden and Lagged Adaptation Hypotheses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mpirically testify three hypotheses on the relation between married women's employment and the allocation of unpaid domestic work within households - i.e., adaptive partnership (AP), dual burden (DB) and lagged adaptation (LA) models. The AP hypothesis assumes that, when wives are employed, husbands spend more time doing housework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ir wives' increased responsibility. The DB model, by contrast, indicates that, even if married women are employed, their burden on domestic work does not decrease. In this case, therefore, the dual burden of married women can be expected. Between these two opposite views, the third, alternative hypothesis has been suggested recently. The LA model argues that the behaviours of households are adaptive to the changing environments but over a period of many years and even across generations. The article has analysed the total work time as well as unpaid domestic work time to testify these three hypotheses, utilising 1999 Time Use Survey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married working women worked 100 minutes more than their male spouses. Second, the average domestic work time of married men, 23-25 minutes per day, was no more than 5-10% of that of women. Third, the effects of age and women's employmen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ple regression models, which means that the DB hypothesis explains the situa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in Ko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rticle suggested the expansion of the public social service system to mitigate the dual burden of married working women, the introduction of compensatory credit for caring work, and the directions of further empirical research using the time use survey data.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경제참여 증가에 따른 무급가사노동의 분담정도를 설명하고 있는 세 가지 가설을 한국 상황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는 것이다. 이 세 가지 가설이란 기혼여성이 취업할 경우 남성배우자가 적극적으로 가사노동을 분담한다는 협조적 적응 가설, 남성배우자의 가사노동분담이 이루어지지 않아 근로기혼여성은 유급과 무급의 이중적인 노동부담에 처하게 된다는 이중노동부담 가설, 그리고 어느 한 시점에서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이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나 그 정도는 세대간에 달라질 수 있으며, 장기적인 추세를 관찰하면 맞벌이 남성의 가사노동분담도 역시 증가해 왔다는 적응 지체가설이다. 이상의 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핵심 독립변수로 성별, 연령, 맞벌이 여부가, 종속변수로는 총 노동시간과 무급가사노동시간이 설정되었고, 분석자료는 1999년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원자료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근로기혼여성은 남성배우자에 비하여 하루 평균 100분 이상을 더 일하고 있었으며, 한국 남성들의 가사노동시간은 23-25분 정도로 여성의 5-10% 수준에 불과하여, 무급가사 노동의 분담수준이 매우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남성의 무급가사노동시간의 변이를 설명하기 위한 독립변수로 설정되었던 맞벌이 여부나 연령의 통계적 유의성은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한국의 상황에서는 협조적 적응 가설은 물론 세대간의 행위차이를 가정한 적응지체 가설도 채택될 수 없었으며, 이중노동부담가설이 근로기혼여성의 현실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취업여성의 이중노동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제도의 확충, 보살핌노동에 대한 보상체계 등을 제안하였으며, 시간자료를 이용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