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 상해

검색결과 1,133건 처리시간 0.02초

목 상해 평가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for Neck Injury)

  • 전준호;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16-11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후면추돌이나 에어백시험 등에서 인체모형의 중요한 평가지수인 목 상해를 평가 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목 상해($N_{ij}$) 기준만족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Diade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더미(Dummy)의 종류별, 시험의 조건별로 자동으로 계산되는 평가시스템을 개발하여 목 상해 기준을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계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오대산 국립공원의 곤충상(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나비목) (Insect Fauna(Hemiptera, Coledptera, Lepidoptera) in Odaesan National Park)

  • 권태성;변봉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9-114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의 곤충상(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나비목)을 밝히기 위해, 오대산 국립공원의 동피골야영장과 동대산 및 상원사지역에서 1995년 6월부터 9월까지 3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노린재목이 4과 15종, 딱정벌레목이 20과 40종, 나비목이 11과 42종이 분류 동정되었다. 이 중 노린재목 12종, 딱정벌레목 21종, 나비목 22종은 오대산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이었으며, 금번조사 결과를 포함하여 지금까지 밝혀진 오대산 지역의 노린재류는 8과 36종, 딱정벌레류는 26과 97종, 나비목은 31과 274종이 된다. 이번 조사결과와 문헌조사를 토대로 오대산지역의 노린재류, 딱정벌레류, 나비류의 종목록을 작성하였다.

  • PDF

무도상 강철도 교량상 목침목 유지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Maintenance System for Timber Sleepers of Ballast-less track on Railway Bridge)

  • 최정열;신태형;김상진;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389-39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무도상 궤도가 부설된 국내 도시철도의 철도 교량상 목침목에 대한 선로검사내규의 점검사항 및 불량판정 기준을 개선하여 목침목의 손상유형에 따른 상태등급체계를 분류하고 침목별 이력관리대장 시스템 도입을 통해 목침목의 유지관리체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 철도교량에 부설되어 있는 목침목의 손상현황을 분석하여 손상별 코드를 구축하였으며, 침목별 손상 및 유지관리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유지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해 단면형상 및 침목 고정장치가 다양하고 유지관리가 복잡한 무도상 철도교량상 목침목의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리나라 주남습지 지역의 육상 곤충상 (Terrestrial Insect Fauna of the Junam Wetlands Area in Korea)

  • 안수정;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1-129
    • /
    • 2012
  • 경남의 대표적 습지인 주남습지를 구성하는 주남저수지, 동판저수지, 산남저수지와 인근의 인공 연꽃단지에서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육상 곤충상을 조사하고 군집특성을 분석하였다. 네 곳에서 총 12목 85과 268종, 5,730개체가 조사되었다. 조사된 종 수는 딱정벌레목 63종, 나비목 60종, 노린재목 37종 순이었다. 총 조사된 곤충 수에 대한 목별 개체수의 비율은 딱정벌레목 25.9%, 잠자리목 22.3%, 나비목과 메뚜기목이 각각 15.4%와 12.7% 이었다. 조사 저수지별로는 주남저수지에서 175종, 동판저수지에서 197종, 산남저수지에서 154종이 조사되어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인공 연꽃단지에서는 86종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4곳의 곤충상을 요약하면 딱정벌레목에서는 일본잎벌레, 잠자리목에서는 고추잠자리, 나비목에서는 네발나비가 우점종이었다. 조사 전(全) 기간에 대한 종다양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우점도 지수는 인공 연꽃단지가 0.25로 가장 높았고 주남저수지가 0.08로 가장 낮았다. 다양도 지수는 주남저수지가 4.48, 동판저수지가 4.44, 산남저수지가 4.28, 인공 연꽃단지가 3.87로 모두 높은 편이었다. 각 습지의 곤충상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주남저수지와 동판저수지의 유사도가 0.96으로 가장 높았으며, 세 곳 저수지와 인공 연꽃단지의 유사도는 0.45~0.53으로 낮은 편이었다.

태안해안국립공원 곤충상 및 유류오염 사고에 따른 사질성 곤충상 변동에 관한 연구 (A Faunistic Study of Insects and Arenaceous Insects variation by Oil Spill Accidents of Taeanhaean National Park)

  • 강승호;이종은;홍의정;김영진;정종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00-507
    • /
    • 2017
  •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곤충상에 관한 연구는 1996년 1차 자연자원조사를 시작으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조사되었다. 조사된 지점은 대부분 해안지역, 사구, 배후초지 등이었다. 채집방법은 포충망을 이용한 채어잡기(Sweeping), 흡충관(Suction), 함정트랩(Pitfall trap), 야간조사(Light trap), 말레이즈트랩(Malaise trap)을 사용하였다. 총 17목, 215과 1,540종의 곤충상이 확인되었다. 나비목이 가장 큰 점유율을 가진 분류군으로 나타났고(34.2%), 그 뒤를 이어 딱정벌레목(28.3%), 노린재목(12.7%), 파리목(8.5%), 벌목(7.1%), 메뚜기목(4.7%), 잠자리목(2.0%), 기타목의 순으로 나타났다. 2007년 12월에 발생한 허베이스피리트호 태안 유류유출 사고 전 후로 사질성 곤충상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전체 조사기간 동안 대부분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45종의 사질성 곤충이 조사되었고, 유류오염이 사질성 곤충 출현 종 수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천곡동굴의 생물상소처

  • 김병우
    • 동굴
    • /
    • 제27권28호
    • /
    • pp.85-91
    • /
    • 1991
  •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용굴, 대이굴 한선굴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 강원도의 동굴동물로서 확인된 것은 9강 309 141종이며 강별로는 충강이 9목 50종 주형강이 4목 49종 갑각강이 6목 18종의 순으로 우세하고 목별로는 거미 목이 15과 39종, 톡토기목이 7과 20종, 딱정벌레 목이 8과 15종으로 우세한 편이다(남, 1987)(중략)

  • PDF

산림 내 묘지 지역의 곤충상에 관한 연구 (Insect Fauna of Cemetery Area in Forest from Korea)

  • 박진영;박종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159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지역에서 유일하게 잔디가 식재되어 있는 집단묘지에서 출현하는 곤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11목 39과 77속 86종이 조사되었으며, 그 중 노린재목(Hemiptera)이 25종(29.1%)으로 가장 많은 종수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딱정벌레목(Coleoptera)이 17종(19.8%), 메뚜기목(Orthoptera) 13종(15.1%), 나비목(Lepidoptera) 11종(12.8%), 잠자리목(Odonata) 5종(5.8%), 벌목(Hymenoptera) 4종(4.7%), 파리목(Diptera) 2종(2.3%), 바퀴목(Blattaria), 사마귀목(Mantodea), 집게벌레목(Dermaptera)이 각각 1종(1.2%) 순으로 조사되었다. 노린재목(Hemiptera)과 메뚜기목(Orthoptera)의 출현이 많은 것은 대부분 조사지의 식물상이 잔디와 더불어 서식하는 억새풀, 띠풀, 넝쿨딸기 그리고 가시박, 칡 등 키 작은 화본과 식물, 개망초, 바랭이, 호밀풀 등의 초본식물로 구성된 초지형태로 식식성 곤충들에게 적합한 서식처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조사지점별 분석에서 도로변과 인접하고 여러 가지 인공적인 영향(St. 1)으로 곤충의 다양성이 묘지 중앙이나 산림과 인접한 조사지(St. 2, 3)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다양성을 보였다. 비록 산림내에서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묘지지역이지만 잔디구역은 묘지잡초들과 더불어 잔디를 먹이원으로 하는 노린재목, 메뚜기목 곤충들 그리고 이 곤충들을 포식하기 위해 모여드는 사마귀, 딱정벌레류의 포식성 곤충 등, 묘지지역 역시 산림 속 하나의 조그만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결과 산림내 잔디지역의 곤충다양성은 주로 식식성 곤충 위주로 분포 되어 있었으며 향후 산림생태계 내에서 잔디지역을 유일하게 포함하고 있고, 인위적으로 잔디지역이 조성되며, 지속적으로 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잔디지역의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및 산림생태계 및 산림다양성 연구에 이바지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인망에 채집된 거제도 남동지역 해약의 어류상 (Fauna of Fish Collected by Otter Trawl at Coast off the Southeast Area of Geoje Island)

  • 윤창호;심재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7-174
    • /
    • 2000
  • 거제도 남동 해안지역의 한려해상국립공원 보호구역에서 해상자원의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거제도 일운면 예구리, 남부면 다대리 및 남부면 저구리 해얀지역에서 1999년 6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어류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어류는 총 16목 47목 69속 85 종 2, 789개체가 채집되었으며, 45종이 출현한 농어목(Perciformes), 10종씩 출현한 가자미목 (Pleuronectiformes) 및 횟대목(Scorpaseniformes)의대부분 저서생활을 하는 어류가 주로 채집되었다. 전체 조사기간 동안 가장 만하은 개체가수가 채집된 어류를 줄비늘치(Coelorhyncus multispinulosus) 458개체(16.4%)로 확인되었고 칠서대(Cynoglossus interruptus) 384개채(13.8%), 노랑촉수(Upeneus bensasi) 285개체(10.2%) 등의 순 이었다. 조사시간 6월에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어류가 채집되었다.

  • PDF

한반도에 자생하는 침엽수의 종 구성과 분포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 공우석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53
    • /
    • 2004
  • 나자식물은 구과목(Coniferales), 주목목(Taxales) 그리고 은행목(Ginkgoales)이 있으며 바늘잎을 가져 흔히 침엽수로 알려졌다.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의 침엽수전문가그룹에 따르면 지구상에 살아있는 구과목과 주목목의 침엽수는 8과 68속의 600여종에 이르며 송백류로 부른다. 남한 면적의 67%에 이르는 660만ha에 삼림 중 침엽수림은 273만ha(42.4%), 침엽수와 활엽수 혼합림은 185만ha(28.8%)로 활엽수의 168만 ha(26.0%)에 비해 훨씬 넓지만 침엽수에 대한 관심은 적다. (중략)

  • PDF

초저속 후방 추돌시 BioRID-II를 이용한 목 상해 지수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k Injury Criteria Using BioRID-II during Very Low Speed Rear-end Collision)

  • 홍승준;유한규;김영은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4-61
    • /
    • 2013
  • Although typically classified as AIS 1, whiplash injuries continue to represent a substantial social problem with associated costs estimated at over $1 billion annuall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at positions(seatback angle, headrest height) on risk for whiplash injury in very low speed(${\Delta}V$=4~10km/h) rear-end impact. To accomplish this, rear impact seat carriage tests and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BioRID-II dummy seated in a mass production seat, which allowed for the adjustment of seatback angle and headrest height. Neck injury criteria(NIC, Nkm) were then compared for different ${\Delta}V$ and seat pos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