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적분석

Search Result 5,52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omparative Analysis of SSM/I and AMSR-E Sea Ice Concentration using Kompsat-l EOC Images of the Antarctic (Kompsat-l EOC 영상을 이용한 남극의 SSM/I 와 AMSR-E 해빙 면적비 비교 분석)

  • Han, Hyang-Sun;Lee, Hoon-Yo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8-13
    • /
    • 2007
  • 2005년 남극의 해빙을 촬영한 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하여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를 비교, 분석하였다. EOC 영상은 남극의 봄철에 해당하는 9-11월 사이에 남극 대륙의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는 11 개 궤도로부터 총 676개 영상이 획득되었으며, 이 중 대기 및 광량 조건이 양호한 68개 의 영상을 선별하였다. EOC 영상에 감독분류 방볍 을 적 용하여 표면 유형 을 White ice(W), Grey ice(G), Dark-grey ice(D), Ocean(O)로 분류하였고 해빙 면적비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NASA Team Algorithm(NT)으로 계산된 SSM/I 해빙 면적비, NASA Team2 Algorithm(NT2)으로 계산된 AMSR-E 해빙 면적비와 비교하였다. 남극의 봄철에 SSM/I 해빙 면적비는 EOC W+G 면적비와 잘 일치하였고,AMSR-E 해빙 면적비는 EOC W+G+D 면적비와 좋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남극 SSM/I NT 해빙 면적비는 W와 G만을 반영하며, AMSR-E NT2 해빙 면적비는 D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MSR-E가 SSM/I보다 높은 해빙 면적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두 수동 마이크로파 해빙 면적비의 차이는 EOC D 면적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로부터 EOC 영상에서 분류된 D와 NT2에 서 고려되는 Ice type C가 서로 유사한 해빙 유형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the Change in the Area of Haeundae Beach Based on Wave Characteristics (파랑특성을 고려한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빈면적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Jong-Beom;Kim, Jong-Kyu;Kang, Tae-S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2
    • /
    • pp.324-339
    • /
    • 2021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av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in the area of Haeundae Beach,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wav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in beach area, and derived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hange in beach area. The change in beach area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derived formula to wave observation data corresponding to a period of approximately 10 months, and the formula was subsequently validated by comparing the obtained results with the observed area. It is found that the error associated with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hange in beach area ranges from 1.5 m to 2.7 m based on the average beach width,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observed area ranges from 0.91 to 0.94. Furthermore, it is observed that the change in beach area is af ected by the wave direction in the western zone, wave height in the central zone, and wave height and wave period in the eastern zone.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impact of a coastal improvement project on the beach area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Haeundae Beach and the ef ectiveness of such a coastal improvement project. By applying the aforementioned derived formula to highly accurate wave prediction data, the change in beach area can be calculated and incorporated for predicting significant long-term changes in beach areas. Furthermore, such a prediction can be considered as the basis for making decisions while establishing preemptive countermeasure policies to prevent coastal erosion.

A Study on the Method of Representing Anchorage Using Occupancy Rate - Simulation Based on Ulsan E Anchorage - (정박지 점유율을 이용한 집단 정박지 면적 제시 방법 연구 - 울산항 E 정박지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

  • Park, Jun-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2
    • /
    • pp.167-17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present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anchorage area through the simulation reproduces the maritime transport environment, and analysis of the adequacy of anchorage applied at Ulsan E anchorage, suggests the formula of anchorage occupancy rater per hour and necessary anchorage area for this purpose. And configured simulation algorithm and modeling using MATLAB program, and applied Ulsan E anchorage, compared anchorage area with anchorage occupancy rate per hour. As a result, E1 necessary anchorage is 1.41 times, E2 necessary anchorage is 0.90 times and E3 necessary anchorage is 0.96 times compared to total anchorage area. If the result of adequacy analysis of anchor area reflect anchorage design criteria, it is determined to be helpful for the safety of the vessel using the anchorage.

A Study on Prediction Method of Inundation Area by Using the result of 1D Runoff Model and Urban hydrology model (1차원 강우-유출모형과 도시유출모형의 모의결과를 이용한 침수면적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 Hwang, Sung Hwan;Lee, Jung Hwan;Kang, Ho Yeong;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8-38
    • /
    • 2017
  • 본 연구는 내수침수에 의한 침수면적 예측을 위한 강우특성과 1차원 유출모형의 유출특성 및 월류특성 자료를 이용한 침수면적의 정확도를 다양한 호우사상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침수 취약지역 예측을 위해서 강우-유출모형의 유출량 예측 즉 홍수추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모형이 홍수추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은 대유역의 경우에 XP-SWMM 모형과 같은 정밀모형을 이용할 경우 긴 모의시간으로 인하여 예경보 발령을 위한 골든타임 확보가 어려우며, 홍수량 예측을 통하여 예측된 침수피해에 대한 정밀도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컴퓨터 하드웨어의 발전에 따른 연산속도의 증가와 빅데이터 처리기술을 발전에 따라서 10년 전과 비교하여 2차원 침수면적 예측시간이 단축되기는 하였지만, 실제 침수면적 예측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모의시간이 짧은 1차원 강우-유출모형, 1차원 도시유출모형을 이용한 침수면적 예측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홍수피해 예측을 위하여 다양한 수문학적 인자의 영향 분석을 위해서 XP-SWMM 모형의 다양한 형태의 강우입력자료에 따른 1차원 유출 모의결과와 2차원 지표류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2차원 침수면적 예측결과를 추정하기 위한 수문학적 인자의 적용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의시간이 짧은 강우-유출모형과 1차원 도시유출모형을 이용하여 도출한 수문학적 인자를 이용한 침수면적의 추정방법을 분석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침수면적 예측 시스템 구축방안에 대하여 구체적인 수문학적 인자들 생성을 위한 단계적 모형 적용방안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of the crop monitoring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한 작물재배면적 파악의 개선 전략)

  • Seo, Do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71-272
    • /
    • 2009
  • 우리나라의 농업통계조사방법은 과거의 조사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비표본오차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작물재배면적의 통계조사에 위성영상을 활용함으로써 조사 및 통계자료의 제공에 효율성 및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UN, 미국, 캐나다, 유럽 등을 중심으로 위성영상을 사용한 경지면적조사, 재배면적조사, 작황예측분석 등 농업통계의 생산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후 국내 활용동향을 분석하여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한 작물재배면적 파악의 개선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Study on Areal Reduc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공간분포에 따른 가능최대강수량의 감소율 분석)

  • Kim, Soo-Young;Heo, Jun-Haeng;Lee, Ky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8-192
    • /
    • 2009
  • 2002년의 태풍 루사와 2003년의 태풍 매미 이후 수공구조물의 설계기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댐 설계기준인 가능최대강수량 및 가능최대홍수량 산정의 일관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은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기후, 강수형태, 지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어야 할 연구로 단기간 내의 분석을 통한 해결책 제시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능최대강수량의 공간분포 시 등우선 배치에 따른 가능최대강수량의 면적별 감소율을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 유역인 한강 유역, 낙동강 유역, 금강 유역의 수자원단위유역을 기준으로 유역면적과 배치된 등우선 면적간의 차에 대한 가능최대강수량의 감소율을 분석하였다. 이때 대상유역별 가능최대강수량은 국토해양부에서 제공하는 가능최대강수량도에서 값을 읽었고, 가능최대강수량의 포락방법에 따라 기존 방법 및 Horton 경험식과 spline식을 이용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공간분포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포락방법을 적용하여 가능최대강수량을 산정한 경우에는 한강, 낙동강, 금강 유역의 지속기간별 면적차에 대한 감소율을 회귀식의 형태로 도출할 수 있었으나, Horton 경험식과 spline 방법을 이용하여 포락을 수행한 경우에는 PMP의 감소량 및 감소율은 지속기간, 면적차 또는 면적차비율에 대해 뚜렷한 경향성을 나타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Maximum Areal Rainfall of Korea in the 20th Century (20세기 우리나라 관측최대강수량의 특성)

  • Kim, Nam-Won;Won, Yoo-S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5
    • /
    • pp.425-435
    • /
    • 2004
  • Mainly, observed maximum rainfall has been evaluated by point rainfall, but actually it should be considered by means of average areal rainfall. Average areal rainfall is an estimated value computed through DAD(rainfall Depth-Area-Duration) analysis. By using this value, an average and maximum areal rainfall according to area-duration relationship could be computed. In this study, we assume that the whole Korea region is hydrologically homogeneous, and then analyze using the storm-centered DAD(moving-area DAD) method for the past century data. From this analysis, we evaluate the yearly variation of observed maximum areal rainfall through area-duration relationship. And we also construct an IDF(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 by using the annual time series data which is composed of maximum areal rainfall. The characteristics of IDF and observed maximum areal rainfall is also evaluated.

Analysis of runoff by change of impervious surface ratio in Anseong-cheon (안성천 유역의 불투수면적률 변화에 따른 유출량 분석)

  • Lee, Hyunji;Kang, Moon Seong;Kim, Kyeung;Kim, Ji Hye;Kim, Seok 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58-358
    • /
    • 2019
  •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해 물순환 구조 왜곡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집중 호우시 첨두유량 증가로 인한 도시 침수, 자연적 침투량 감소로 인한 지하수 고갈 및 하천 건천화, 도시 열섬 현상 등 다양한 물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건강한 물순환 체계 회복을 위해, 환경부에서는 소권역별 불투수면적률에 대한 중장기 물순환 목표를 포함하여 물환경보전법을 개정하였으며, 2020년부터 시행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소권역별 불투수면적률을 산정하고 불투수면적률 저감에 따른 유출량 등의 유역 물순환 구조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불투수면적률은 연속수치지도, 연속지적도, 용도지역 지구도 3개의 지리정보자료를 중첩하여 최신 불투수면적 정보가 반영되도록 계산하였으며, 물순환 구조는 HSPF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불투수면적과 물순환 요소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n ero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omorphologic factor thresholds in the watershed (유역내 지형학적 인자의 임계특성에 따른 침식특성 분석)

  • Oh, Sung Ryul;Yoon, Eui Hyeok;Jung, Kwan Soo;Kim, Jeong Yup;Choi, Y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8-628
    • /
    • 2015
  • 유역의 형상은 강우, 산사태 등과 같은 지배적인 침식작용과 더불어 지형 지질학적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그러므로 유역형상에 대한 공간특성 분석을 위해서는 지형학적 요인과 다양한 침식작용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국내 외 많은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형학적 인자에 의한 침식 형태는 국부경사와 집수면적의 크기에 의해 다양한 구간으로 나뉘며, 그 특성에 따라 지표침식, 세굴, 산사태 등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 일례로 유역 내 세굴과 관련된 지배인자는 집수면적보다는 국부경사에 반대로 지표침식, 산사태는 국부경사보다는 집수면적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지형학적 인자(국부경사, 집수면적)의 임계치(threshold) 산출을 통해 침식특성(불안정지역)을 검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물리적 검증은 여러 연구를 통해 물질플럭스(유량, 에너지)에 대한 Power Law로써 검증된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형학적 침식특성 분석을 위하여 2006년 집중호우에 의해 광역적 산사태가 발생한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일대의 $10m{\times}10m$ DEM로부터 국부경사, 집수면적을 산출하고 경사-면적한계곡선(Slope-Area Threshold Curve, SATC), 배수면적 확률분포곡선(Probability distribution of Drain Areas Curve, PDAC), 에너지지수 확률분포곡선(Probability distribution of Energy Index Curve, PEIC)를 실제 산사태지점과 중첩하여 도시하였다. 그 결과, 특정 임계구간(Threshold Area, Unstable area, 2~3권역)내에서 산사태 발생지점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지형학적 인자만을 고려하여 미계측 유역에 대한 잠재적 불안정지역의 판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광역적 사면안정해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Storm-centered Areal Reduction Factors by Durations and Return Periods Using Radar Rainfall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에 따른 레이더 강우 호우중심형 ARF의 산정)

  • Kim, Eunji;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3-163
    • /
    • 2017
  • 설계홍수량은 수공구조물의 규모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며, 국내에서는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지속시간과 재현기간에 따라 면적강우량을 추정한다. 지점강우량은 제한된 지역을 대표하는 값이므로 지점강우량을 기준면적에 대한 면적강우량으로 환산하기 위하여 면적우량환산계수(ARF, Areal Reduction Factor)를 적용한다. ARF를 산정하는 방법은 과거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하는 경험적 방법(empirical method)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경험적 방법은 크게 면적고정형(Fixedarea) 방법과 호우중심형(Storm-centered) 방법으로 분류된다. 면적고정형 방법은 국내 하천설계 기준에서 적용하고 있는 방법으로 면적강우 및 지점강우의 연 최대치를 독립적으로 빈도 해석하여 ARF를 산정하므로 실제 강우사상으로부터 산정된 값과 편차를 보인다. 반면 호우중심형 방법은 각각의 강우사상을 분석 대상 유역 중심에 공간 전이시켜 최대 강우량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레이더 강우를 활용하면 실제 강우사상의 공간분포 특성을 반영한 현실적인 ARF 산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홍수기(6-9월)의 10분 단위 단일편파 전국합성 레이더 자료를 활용하여 지속시간 1, 3, 6, 12, 24시간에 대한 호우중심형 ARF를 산정하였고, 면적강우 산정 시, 강우사상의 면적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선정하여 강우의 형상 및 방향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레이더 강우의 중심강우를 지상강우 자료로 산정된 확률강우량 기준으로 분류하여 재현기간별 호우중심형 ARF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준면적, 지속시간, 재현기간에 따른 ARF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