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며느리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9초

고부관계에서의 스트레스 유형과 대처

  • 박경란;이영숙
    • 한국가정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정과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
    • /
    • pp.69-69
    • /
    • 2003
  • 우리 사회의 고부관계는 예로부터 갈등관계로 인식되어져 왔다. 핵가족화, 여성취업 등 오늘날의 많은 사회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고부관계는 복잡하고 갈등적인 가족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부관계에서 일어나는 스트레스 유무 그 자체보다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방법이 더 중요함을 인식하고 첫째, 고부관계에서 며느리가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유형과 그 정도는 어떠하며 둘째, 스트레스에 대한 며느리의 대처유형과 그 정도는 어떠하며 셋째, 대처유형과 스트레스 정도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PDF

다문화 가족 시부모들에 대한 연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접근- (The Qualitative study about parent's in law of multiculture family -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methology -)

  • 김영숙;이근무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41-70
    • /
    • 2011
  • 본 연구는 다문화 가족의 시부모들에 대한 연구로 시부모들의 구술자료를 토대로 시부모들과 외국출신 며느리들과의 상호작용 내용과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는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으로 접근했으며 6명의 다문화 가족 시부모들이 참여했으며 자료는 심층 면담과 문서기록 수집을 통해 구성했다. 자료분석 결과 83개의 의미단위 22개의 범주 그리고 9개의 해석학적 주제를 구성했으며 해석학적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상호작용 내용과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들은 해석학적 주제와 연구내용을 근거로 하여 다문화 가정 시부모들과 며느리들의 문화접변 과정을 ① 자기의 영역 고수하기 → ② 전략적 수용 → ③ 상호이해에 기초한 공존의 그늘 만들기 → ④ 자기의 해체와 재구성으로 기술했다. 그리고 다문화 가족의 가족 안정성과 관계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으로 「문화 유능성 강화를 위한 시부모·며느리 연계 프로그램」을 제언했다.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ersicaria perfoliata Extracts)

  • 안유진;김선영;옥주형;왕현;박창화;김성호;허윤석;전영희;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5-24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며느리배꼽 추출물들의 항산화 효능 및 tyrosinase,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aglycon 분획($12.38{\mu}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0.35{\mu}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며느리배꼽 추출물에 대하여 광증감제인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추출물의 aglycon 분획을 제외하고 다른 추출물들은 농도 의존적($1{\sim}50{\mu}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 분획이 각각 $136.00{\mu}g$/mL, $68.10{\mu}g$/mL으로 나타났으며,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 분획이 각각 $67.20{\mu}g$/mL, $43.50{\mu}g$/mL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며느리배꼽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활성으로 부터 항산화,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작잡초(田作雜草)로부터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 탐색(探索) (Identification of Phytotoxic Compounds and Allelopathic Effects of Various Upland Weeds)

  • 백경환;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83-290
    • /
    • 1988
  • 개비름, 쇠별꽃, 쇠무릎, 며느리배꼽, Galinsoga ciliata 등(等)으로부터 추출용매(抽出溶媒)에 따른 상치 발아억제현상(發芽抑制現像)과 penol, 지방산(脂肪酸) 및 유기산(有機酸) 등(等)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추출용매제(抽出溶媒劑)로는 ethanol과 ether 추출액(抽出液)에서 상치의 발아억제(發芽抑制)가 가장 강(强)하게 나타났다. 총(總) phenol 함량(含量)은 Galinsoga ciliata에서 27.5 mg/10 g으로 가장 많았고, 며느리배꼽이 18.1 mg, 쇠별꽃 17.0 mg, 개비름 12.9 mg, 쇠무릎 12.8mg 순(順)이였다. Diphenol함량(含量)은 free fraction에서 Galinsoga ciliata가 9.4 mg/10g, 며느리배꼽 5.1 mg, 쇠별꽃 4.8 mg, 개비름 2.2 mg 및 쇠무릎 1.8 mg 순(順)이었으며 대체로 수용(水溶) 및 alcohol 추출(抽出)에서 강(彈)하게 억제현상(抑制現像)을 보인 종(種)들이 많은 phenol 함량(含量)을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Phenol 물질(物質)로는 개비름에는 p-cresol, hydroquinone, ferulic, caffeic, p-cl-benzoic, p-coumaric, catechol 산(酸) 등(等)이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쇠별꽃, 쇠무릎, 며느리배꼽 및 Galinsoga ciliata 등(等)에는 ferulic, caffeic, 7-OH-cumarin, protocatechuic 산(酸) 등(等)이 공통(共通)으로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지방산(脂肪酸)으로는 개비름에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인 palmitic산(酸)이, 쇠별꽃, 쇠무릎, 며느리배꼽 및 갈린소가 등(等)에는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 oleic산(酸)이 다량함유(多量含有) 되어 있었다. 유기산(有機酸)은 Galinsoga ciliata를 제외(除外)한 모든 식물종(植物種)에서 oxalic산(酸)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으며, 대체로 14~22 mg/g 정도이었다.

  • PDF

치매노인을 돌보는 며느리의 삶 -해석학적 분석- (The Lives of Daughters-in-Law Who Care for Parents with Dementia)

  • 강현숙;고금자;김원옥;김은심;김순용;김현리;신순옥;오상은;원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33-1243
    • /
    • 1999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lives of the daughters- in- law caring for parents with dementia and participate in their lives through having quality time with them Data were collected by depth interviews and interpreted through the hermeneutic circle as follows. These daughters-in-law have conflict between social custom and subjective self. They had ambivalence toward their demented partents-in- law and were fighting a battle between rationality and emotions in their mind. These daughters-in law and mothers-in- law did not get along and the parents' dementia aggravated the relationships. They were alienated from their family by the parents with dementia. The indifference of their family especially their husbands, made these subjects live in misery. They cared for the demented mother-in-law with hatred. Even though they had this yoke, there daughters- in-law were not able to throw off the shackles of convention.

  • PDF

건강과 식생활 - 겨울을 이겨내는 힘을 봄 부추에서 받다

  • 이광연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5권1호
    • /
    • pp.54-56
    • /
    • 2012
  • "봄 부추는 아들 대신 사위에게 준다." 는 속담이 있다. 몸에 좋다면 아들에게 줄 것이지, 왜 사위에게 주는 것일까? 봄 부추는 몸에도 좋지만 남성의 양기(陽氣)를 돋우는데 뛰어난 효능이 있어서 아들에게 주면 며느리가 좋아할 것이니 차라리 사위에게 먹이는 게 낫다는 뜻이 담겨져 있다.

  • PDF

한국 드라마와 중국 드라마의 며느리 이미지에 나타난 여성상 비교 (A Research on Comparing the Women's Portrayal between Chinese Family Dramas and Korean Family Dramas)

  • 이문행;하일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3-7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가족 드라마에 나오는 여성상을 비교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 드라마 <며느리 전성시대>와 중국 드라마 <며느리의 아름다운 시대>를 분석 대상으로 채택했다. 여성의 이미지는 가족 드라마에 나타나는 중요한 부분이며, 그 시대의 모습을 반영한다. 따라서 가족 드라마에 나오는 여성상을 연구하는 것은 사회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양국 드라마의 내용을 분석하여 성역할정형화모델과 여성상을 비교한 결과, 양국 간에 큰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지역과 전남 여수지역 주부들의 제례준비 및 제례의식 조사 연구 (A Study on Ancestral Service Preparation and Sacrificial Consciousness of Housekeepers Living in Pusan and Yeosu Area)

  • 정복미;정해옥;김은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5-154
    • /
    • 2004
  • 본 연구는 부산과 여수 지역 주부들을 대상으로 제사시간, 제기 등 제례준비에 관한 일반적 사항 및 제례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으로 연령은 40∼49세가 35.56%, 불교가 57.79%로 가장 높았고, 고졸이 52.54%, 가족구성원은 부부와 자녀가 63.45%로 가장 높았다. 며느리 순위는 맏며느리가 53.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의 유무에서 직업이 없다가 53.33%, 직업의 종류로는 주부가 58.44%로 가장 많았고, 지역별로는 부산 지역이 59.82% 여수 지역이 40.18%로 나타났다. 2. 두 지역 모두 제사 지내는 시간은 23:00∼01:00시에 지낸다가 47.16%로 가장 높았고 직장에 다니는 주부들은 약간 이른 시간에 제사를 지내는 경향이었으나, 직장에 다리지 않는 주부들은 아주 늦은 시간에 제사를 지내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 직장의 유무에 따라 유의성이 있었다.(p<0.05). 3. 기제사의 범위는 3대가 34.4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사는 장남이 지낸다가78.28%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이 높음에 따라 장남이 제사를 지내는 비율이 높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사람이 제사를 지내는 비율이 높아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p<0.05). 4. 제례의식에 대한 결과에서 제사의 필요성에 대하여 꼭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이 57.32%로 가장 높았고, 연령별로 50세 이상이 꼭 지내야 한다라고 답한 비율이 70.7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낮을수록 제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여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p<0.05). 불교가 타종교에 비해 제사를 꼭 지내야 한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종교별 차이가 있었다(p<0.0001). 또한 제사는 가족의 화목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가 50.43%로 가장 높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우리의 전통이니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는 응답률이 높은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가족의 화목도모에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 연령에 따라 유의성이 있었다(p<0.05). 가톨릭과 기타 종교에서 가족의 화목도모에 대한 응답률이 높게 나타난 반면 불교와 기독교는 계승 발전에 대한 응답률이 더 높게 나타나 종교에 따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1). 미래의 제사에 대한 생각은 대상자들의 37.04%가 내려오는 법도에 따르겠다고 하여 가장 높았고, 불교에서 43.17%가 내려오는 법도에 따르겠다, 기독교의 경우 26.47%는 예배드린다, 기독교의 경우 현재 어른이 생존하신 중이라도 차차 추도식 형태로 바꾸겠다고 답하였으며, 가톨릭, 불교, 기타에서는 나름대로 정성껏 모신다의 비율이 기독교에 비해 높게 나타나 종교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p<0.0001). 또한 맏며느리에 비해 둘째 며느리는 내려오는 법도에 따르거나 어른이 하시는 대로 하겠다고 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은데 비해 맏며느리는 나름대로 정성껏 모시겠다고 한 점으로 며느리의 순위에 따라 미래의 제사에 대한 생각에 유의성이 있었다(p<0.05).지역적으로 보면 부산 지역이 여수 지역에 비해 법도에 따르거나 나름대로 정성껏 모시겠다는 비율이 더 높은 반면, 여수 지역은 부산 지역에 비해 차차 추도식 형태로 바꾸거나 예배 드리겠다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 지역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 PDF

노인에 대한 가족의지지 : 가족원 유형별 연구 (Family Support for the Elderly : A Study by Types of Family Members)

  • 홍순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9권
    • /
    • pp.322-349
    • /
    • 1999
  • 이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노인은 서로 다른 가족원 유형으로부터 어떤 종류의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는가? 노인이 가족원으로부터 지지를 받느냐 혹은 받지 못하느냐와 관련된 노인의 개인적 특성, 가족망의 특성은 무엇인가? 어떤 가족원이 제공하는 어떤 종류의 지지가 노인의 정신건강(우울)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가? 이 연구를 위해 가족원 유형으로는 배우자, 아들, 며느리, 딸, 사위, 손자 손녀, 부모, 형제자매가 포함되었으며, 지지의 종류로는 정서적, 활동적, 도구적, 금전적 지지의 4가지가 조사되었다.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08명이 유의 표집되었다. 분석결과, 노인들은 여러 가족원들로부터 다양한 지지를 받고 있었다. 배우자는 정서적 지지를, 아들은 금전적 지지를, 며느리는 도구적, 딸은 정서적, 금전적 지지를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었다. 부모, 형제가 있는 경우에는 정서적 지지를 받는 비율이 높았으며, 그 밖에도 사위, 손주의 지지제공자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노인의 특성과 관계망의 특성 중 여러 요인들이 각 가족원 유형이 제공하는 다양한 지지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는데, 일반적으로 남자보다는 여자가, 나이 적고, 도구적 일상생활동작능력이 좋고, 그 가족원과의 접촉빈도가 높은 노인들이 지지를 받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며느리의 지지는 기능이 떨어지는 노인들이 더 많이 제공받고 있었다. 배우자의 지지여부는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이 많았으며, 아들과 며느리의 경우는 지지의 제공 여부보다는 그들의 존재여부에 의해 우울정도가 달라지고 있었다. 노인의 정신건강을 위해 다양한 지지적 활동을 강화해 줄 수 있는 실천적 방안들이 요구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