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메기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33초

메기 Silurus asotus 염색체조작을 위한 온도 의존적 체세포분열 간격지수 결정 (Determination of the Temperature-Dependent Index of Mitotic Interval (${\tau}_o$) for Chromosome Manipulation in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박인석;임재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5-88
    • /
    • 2001
  • 메기 Silurus asotus에서 염색체조작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여러 온도 조건에서의 난할율과 제2, 제3 난할 시간의 평균화에 의한 체세포분열 간격지수 (${\tau}_o$)를 조사하였다. 빠른 난 발생과 비동시적 발생은 고온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메기의 체세포분열 간격지수는 $22^{\circ}C$에서 $21.5{\pm}1.4$분, $24^{\circ}C$에서 $18.5{\pm}1.2$분 그리고 $26^{\circ}C$에서 $14.0{\pm}2.1$분이었다. 3가지 수온조건과 ${\tau}_o$ 간에는 Y=-1.85X+21.9 ($R^2=0.9868$, Y는 ${\tau}_o$ 그리고 X는 수온)의 직선회귀가 성립되었다.

  • PDF

기아에 따른 양식 메기, Silurus asotus의 성장 및 생리적 반응 (Effects of Starvation on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Cultured Catfish, Silurus asotus)

  • 이정열;허준욱;김선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1-89
    • /
    • 2008
  • 메기, Silurus asotus에서 포식과 기아가 생존과 성장, 내장괴지수, 간중량지수, 생식소중량지수, 외형계측형질 변화 및 혈액 parameter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80일동안 기아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아군의 생존과 성장은 포식군의 생존과 성장에 비해 낮았다(P<0.05). 기아는 체중성장률, 일간성장률과 비만도에서 성장 정지 효과를 나타낸 반면, 포식군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다. 외형 계측형질 중복강 부위 횡단길이 관련에서 포식군은 실험 시작시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기아군은 차이를 나타냈다 (P<0.05). 실험 기간 중 혈액성상(cortisol, glucose, AST, ALT, RBC 및 hemoglobin)에서 포식군과 기아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포식과 기아 파악에 사용된 모든 parameter들은 본 종의 영양 상태 확인의 지표로 유용하며, 양식 메기의 성장 시기 평가 결정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차넬메기의 산란 유도 (Induced Spawning of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Teleostomi : Siluriformes))

  • 김동수;최경철;김인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5-30
    • /
    • 1990
  • 차넬메기(Ictalurus punctatus)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양식어종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대량산란이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 양식 대상종으로 각광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차넬메기를 염색체공학 기법을 이용, 배수체를 생산하기 위한 일환으로 온도자극과 호르몬처리를 통해 산란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처리하지 않은 군은 산란하지 않은 반면 온도자극시, $24^{\circ}C$로 부터 $30^{\circ}C$$6^{\circ}C$를 증가시킨 군이 $24^{\circ}C$ 부터 $27^{\circ}C$까지 온도를 증가시킨 군보다 약 4배 정도의 높은 산란유도율을 보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호르몬 중 잉어뇌하수체를 어체중 1 kg당 4.4mg의 농토로 1$\~$3회 주사한 군은 $78.6\%$의 산란유도율을 보였고, 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을 어체중 1kg당 1,100 IU의 농도로 1$\~$3회 주사한 군은 $66.6\%$의 산란유도율을 나타내었다.

  • PDF

과메기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 3. 토마토페이스트소스첨가 과메기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Kwamaegi 3.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Kwamaegi using tomato paste sauce)

  • 박태호;권순재;이인석;이재동;윤문주;백광호;노윤이;공청식;김정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348-1359
    • /
    • 2013
  • 상온에서 저장이 용이하고 기호도가 우수한 토마토페이스트소스첨가 과메기통조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절단한 시판과메기($3cm{\times}2.5cm$ 크기) 90 g을 301-3호관에 넣고 $100^{\circ}C$의 레토르트내에서 10분간 예비 탈기하였다. 상층부의 물을 부어서 버리고 토마토페이스트 소스(토마토페이스트 42%, 식염 2%, 구아검 1%, 물 52%, 물엿 2%, 맛술 1%) 60 g을 넣은 후 이중밀봉기로 탈기, 밀봉하여 $121^{\circ}C$에서 Fo 값이 8-12분이 되도록 살균하여 토마토페이스트소스첨가 과메기통조림을 제조하였으며, 각 살균 조건별로 제조한 시료에 대하여 내용물의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 및 관능적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Fo 값이 8-12분이 되도록 살균한 토마토페이스트소스첨가 과메기통조림의 경우 모든 살균조건에서 생균수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Fo 값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감소하였고 조단백질 및 조지방함량은 증가하였다. 살균조건의 차이에 따른 pH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VBN, 아미노질소량 및 조직감은 Fo 값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증가하였으나 TBA 값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색조의 경우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색차(${\Delta}E$)는 증가하였다. 주요 무기질 성분은 Na, P, K, Ca 및 Mg이었으며 Fo 값의 차이에 따른 함량 변화는 거의 없었다. 총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은 Fo 값이 증가할수록 약간씩 증가하였으며, 총아미노산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proline, aspartic acid 및 lysine이었으며,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istidine 및 glutamic acid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조, 냄새, 맛 및 조직감은 Fo 값에 따른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고, 관능검사원들이 관능적 차이를 구별하기 힘들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살균원가가 가장 저렴하고 상업적 살균 조건에도 만족되는 Fo 값 8분인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바이오플락과 아쿠아포닉스를 이용한 도심형 양식시스템에서의 메기양식 (Urban aquaculture of catfish, Silurus asotus, using biofloc and aquaponics systems)

  • 김석렬;장진우;김범주;장인권;임현정;김수경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545-553
    • /
    • 2019
  • 도심형 양식시스템을 바이오플락 양식기술과 아쿠아포닉스 배양대로 구성하여 사육수를 교체하지 않고 메기를(사육조 3.3톤 2개) 양성한 결과 151일의 사육 후 2.8 g의 종묘가 평균 무게 171.3 g (총중량 56.53 kg)과 235.5 g (총중량 71.1 kg)로 성장하였다. 입식에서 수확까지의 누적 생존율은 65% 보였고, 성장 구간별로 입식에서 1차 성장 후 분조 이전까지 77.7%, 분조 이후 생존율은 수조에 따라 차이를 보여 각각 92.9%와 78.0%로 나타났다. 초기 바이오플락 사육수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일부 폐사가 발생하였고, 수질이 안정된 이후에는 폐사가 감소하였다. 메기의 혈액분석결과 사육초기 BFT 사육수가 안정화 이전인 4월에 간 손상 지표인 AST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ALT, triglyceride는 전 사육기간 내에 차이가 없었다. Glucose, cholesterol, total protein은 7월에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이고 다른 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메기 사육수를 이용한 아쿠아포닉스 가동 시 생산된 식물은 상추, 바질, 적근대, 적치커리 등이 원활한 성장을 보여 5개월간 총 148.85 kg의 식물을 수확하였다. 또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서 식물재배에 따른 사육수 내의 질산 제거능력과, 질산이 제거된 사육수는 메기 사육수로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심형 양식시스템으로 물을 교환하지 않고 어류를 양식할 때 사육수에 축적된 질산을 제거하고 재사용이 가능한가를 아쿠아포닉스 기술을 결합하여 연구하였으며, 양식생물(메기) 수용량에 따른 적정 식물량을 유지하면 농수산 복합양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 정자의 미세구조와 계통적 고찰 (경골어류, 메기목, 동자개과) (The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of the Ussuria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Teleostei, Siluriformes, Bagridae) with Phylogenetic Considerations)

  • 김구환;이영환
    • 생태와환경
    • /
    • 제33권4호통권92호
    • /
    • pp.405-412
    • /
    • 2000
  • 대농갱이 정자의 미세구조를 투과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대농갱이의 정자는 그 길이가 68.8 ${\mu}$m로서 구형의 핵, 짧은 중편 및 하나의 편모로 구성되어 있었다. 정자의 미세구조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핵와는 핵의 기부에서 약 2/3 깊이까지 함입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기부중심립과 말단부 중심립을 포함하고 있었다. 두 중심립 사이의 각도는 약 180$^{\circ}$를 이루고 있었다. 미토콘드리아는 그 수가 약 10개 정도로 두 층의 배열을 하고 있었다. 축사는 9+2의 미세소관 구조를 하며 디네인 내완만이 관찰되었는데 이러한 양상은 동자개과의 다른 종에서만 나타나고 있어서 동자개과의 특징으로 보여진다. 두 개의 axonemal fins는 중심미세소관의 축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었다. 두 개의 axonemal fin를 가지고 디네인 외완이 소실되어있는 대농갱이 정자의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동자개과에서는 공유형질로 나타나며 또한 깊이 함입된 핵와의 특징은 메기목 전체에서 공유형질로 나타난다. Axonemal fins는 메기목의 동자개과와 퉁가리과에서는 관찰되는 반면에 메기과와 챤넬동자개과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보고되지 않았다. 잉어목과 Characiformes에서도 이러한 구조가 관찰되지 않아서 Ostariophysi내에서 이 구조는 파생형질로 사료된다.

  • PDF

메기(Silurus asotus) 기아 시 조직학적 변화 (Effect of starvation on tissues in Far Eastern catfish(Silurus asotus))

  • 구인본;김영수;박인석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315-322
    • /
    • 2020
  • 메기(Silurus asotus)의 기아 시 생존율, 생식소 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 간 중량지수(hepatosomatic index; HSI) 및 장 중량지수(intestinosomatic index; ISI)와 신장세포, 장 상피세포 및 간세포의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섭이군이 92.2±0.47%, 기아군이 74.4±2.59%를 보였으며, GSI, HSI 및 ISI는 기아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신장세포 핵의 높이, 장 상피세포 핵의 높이, 간세포 핵의 크기 및 간세포의 크기는 섭이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p<0.05), 신장세포핵의 높이, 장 상피세포 핵의 높이 및 간세포 핵의 크기는 기아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p>0.05). 멜라닌대식세포(melano-macrophages; MMs)는 기아 동안 신장에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신장의 MMs 증가 및 간세포의 수축현상은 메기의 기아 상태를 식별하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메기의 영양 상태 확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남 의창군 주남저수지산 담수어의 흡충류 피낭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with trematode metacercariae in the fresh-water fish from Chunamchosuchi (pond), Uichang-gun, Kyongsangnam-do, Korea)

  • 손운목;최연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65-170
    • /
    • 1997
  • 1995년 11월에서 1996년 5월 사이에 경상남도 의창군 동면에 위치한 주남저수지에서 담 수어를 포획하여 흡충류 피낭유충 감염상황을 조사하였다. 큰납지리는 조사한 20마리 중 8마리 (40.0%)에서 간흡충의 피낭유충이 감염 어체당 평균 1.9개가 검출되었고 일본극구흡충. 동양배 반흡충 중구흩충류. 메기장흡충 및 미동정 극구흡충의 피낭유충이 각각 검출되었다. 붕어에서는 동f:t배반흡충 메기장흡충 및 미동정 극구흡층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백조어는 조사한 20마리 모두에서 간흡충의 피낭유충이 감염 어체당 평균 31 7개가 검출되었고. 동양배반흡충. 중구흡충류 및 미동정 극구흡충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치리에서는 조사한 45마리 중 31마리(68.9%)에서 간흡충의 피낭유충이 감염 어체당 평균 15.3개가 검출되었고. 동양배반흡충 중구흡충류 및 메기 장흡충 등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참붕어는 조사한 25마리 중 21마리(84.0%)에서 간흡충의 피낭유충이 감염 어체당 평균 73.0개 검출되었고. 동양담날흡충. 일본극구흡충. 동양배반흡충 중 구흡충류. 닭주걱흡충 메기장흡충 및 미동정 극구흩충 등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 로 주남저수지산 담수어에 동양배반흡충, 닭주걱흡충, 동양담낭흡충 일본극구흡충 및 중구흡충 등의 조류 기생 흡충류의 피낭유충이 고도로 감염되어 있음을 알았고. 참붕어. 치리, 백조어. 큰 납지리 등에는 간흡충의 피낭유충이 다수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과메기 첨가 김치의 숙성과 품질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wamaegi added Kimchi)

  • 정유경;오승희;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26-530
    • /
    • 2007
  • 과메기 김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김치에 대하여 과메기를 0, 6, 12 및 18% 되게 첨가하여 $1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pH, 산도 및 관능검사를 행하였으며, 14일간 숙성시킨 김치에 대하여 총균수(T), 젖산균수(L), L/T(%), 경도 및 김칫국물 내 알코올불용성물질(AIS)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pH는 담금 첫날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숙성 7일 째부터 감소되었으며 그 감소율은 과메기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둔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T)는 $8.64{\sim}8.68\;log\;CFU/g$ 수준으로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젖산균수(L)는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L/T(%)는 무첨가 김치에서는 78.41%이었으나 6% 첨가에서는 85.76%, $12{\sim}18%$ 첨가에서는 $93.68{\sim}94.25%$로 높았다. 김치조직의 경도는 무첨가에서는 $2.67{\times}10^7\;dyne/cm^2$이었으나 첨가김치에서는 $2.98{\sim}3.66{\times}10^7\;dyne/cm^2$로 높았다. 김칫국물 내 AIS 함량은 무첨가에서는 1.45 g/100 g이었으나 첨가김치에서는 $1.28{\sim}1.08\;g/100\;g$으로 낮았다. 과메기 첨가김치는 무첨가 김치에 비하여 외관과 조직감이 좋으며, 비린 맛이 다소 감지되었으나 보통수준이하로 기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과메기 김치는 신맛이 낮고, 숙성된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가 높았으며 12% 첨가가 양호하였다.

메기 (Parasilurus asotus)의 장기내 젖산수소이탈효소 아이소자임 형에 미치는 동이온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Copper Ion on the Lactate Dehydrogenase Isozyme Patterns in Organs of Catfish, Parasilurus asotus)

  • 정영훈;이춘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5-92
    • /
    • 1984
  • 메기 (Parasilurus asotus)의 심장, 간장, 신장, 골격근 및 난소내의 젖산수소이탈효소 isozyme 형에 미치는 동이온의 영향을 cellulose acetat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법으로 연구하였다. 1. 정상인 메기의 심장에서는 LDH-1과 LDH-2가 나타났으나 동이온 처리구에서는 LDH-1, LDH-2, LDH-3 및 LDH-4가 나타났다. LDH-1의 양은 감소되고 LDH-2, LDH-3 및 LDG-4의 양은 증가되었다. 2. 정상인 메기의 간장에는 LDH-4만 있었으나 동이온 처리구에서는 LDH-4의 양이 감소되고 LDH-5가 새로 나타났다. 3. 신장에서는 대조구와 처리구, 2군에서 LDH-1, LDH-2 및 LDH-4가 나타났는데, 동이온 처리후 LDH-1의 양은 증가되고 LDH-2와 LDH-4는 감소되었다. 4. 대조구의 골격근에는 넓은 band의 LDH-5가 하나 있었으나 처리구에서는 LDH-4와 LDH-5가 나타났는데 특히 LDH-5는 하나의 M형 sub-band를 가지고 나타났다. 5. 정상인 난소에서는 LDH-3 하나만 나타났으나 동이온 처리구에서는 LDH-1에서 LDH-5RK지의 5개 LDH isozyme이 모두 나타났다. 6. 동이온 처리 기간중 심장, 간장 및 골격근에서는 대개 유기대사와 연관된 심장형 LDH isozyme은 감소되었지만 무기대사와 연관된 근육형 LDH isozyme은 증가되었다. 이들 기관은 동중독시의 무기대사의 중요한 기능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