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맞벌이 기혼남성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맞벌이 기혼남성의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녀양육참여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Dual-Income Married Men' Job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Involvement)

  • 서종수;조희금;이재법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5호
    • /
    • pp.119-129
    • /
    • 2018
  • 오늘날 벤처기업을 비롯한 많은 조직들은 훌륭한 인재의 확보 유치와 더불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벤처기업을 비롯한 많은 조직에서는 일과 가정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과 가정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맞벌이 기혼남성의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양육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맞벌이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29일부터 9월 22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577명의 설문이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 및 기술통계분석을 통하여 각 변인별 특성을 파악하고,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변인 간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맞벌이 기혼남성의 직무만족은 직무자율성과 생활지도, 여가활동공유, 월소득, 직종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자율성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양육참여의 하위요인인 생활지도와 여가활동 공유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벤처창업기업을 비롯한 노동현장에서는 남성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하여, 직무자율성의 증대뿐만 아니라, 자녀양육참여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직무만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가정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A Study on the subjective cognition and conflict degree of work-family balance and family strength of a dual career men)

  • 윤소영;김혜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2호
    • /
    • pp.19-3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 factors that influence subjective cognition, conflict degree of work-family balance, and cognition of family strengt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factors, working environmental factors, and home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subjective cognition, conflict degree, and cognition of family strength. The main data source for analysis in this study is the Second National Survey of Korean Families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10. The survey includes the analysis of 419 respondents who have a dual income and live with their wife.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using SPSS 19.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bjective cognition of work-family balance is influenced by satisfaction of work, division of housework, and care of family. Second, the conflict degree of work-family balance is influenced by age, working week, and satisfaction with work.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cognition and conflict degree of work-family balance is a negative corre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cognition of work-family balance and cognition of family strength is a positive correlation but the difference between conflict degree of work-family balance and cognition of family strength is not significant. Finally, for the married men, the working environmental factor is a significant factor for the work-family balance.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work and division of domestic work, the greater is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This suggests that they also have a higher cognition of family strength.

  • PDF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An Empirical Study on the Dual Burden of Married Working Women : Testifying the Adaptive Partnership, Dual Burden and Lagged Adaptation Hypotheses)

  • 김진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51-7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경제참여 증가에 따른 무급가사노동의 분담정도를 설명하고 있는 세 가지 가설을 한국 상황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는 것이다. 이 세 가지 가설이란 기혼여성이 취업할 경우 남성배우자가 적극적으로 가사노동을 분담한다는 협조적 적응 가설, 남성배우자의 가사노동분담이 이루어지지 않아 근로기혼여성은 유급과 무급의 이중적인 노동부담에 처하게 된다는 이중노동부담 가설, 그리고 어느 한 시점에서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이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나 그 정도는 세대간에 달라질 수 있으며, 장기적인 추세를 관찰하면 맞벌이 남성의 가사노동분담도 역시 증가해 왔다는 적응 지체가설이다. 이상의 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핵심 독립변수로 성별, 연령, 맞벌이 여부가, 종속변수로는 총 노동시간과 무급가사노동시간이 설정되었고, 분석자료는 1999년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원자료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근로기혼여성은 남성배우자에 비하여 하루 평균 100분 이상을 더 일하고 있었으며, 한국 남성들의 가사노동시간은 23-25분 정도로 여성의 5-10% 수준에 불과하여, 무급가사 노동의 분담수준이 매우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남성의 무급가사노동시간의 변이를 설명하기 위한 독립변수로 설정되었던 맞벌이 여부나 연령의 통계적 유의성은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한국의 상황에서는 협조적 적응 가설은 물론 세대간의 행위차이를 가정한 적응지체 가설도 채택될 수 없었으며, 이중노동부담가설이 근로기혼여성의 현실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취업여성의 이중노동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제도의 확충, 보살핌노동에 대한 보상체계 등을 제안하였으며, 시간자료를 이용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취업한 기혼 남녀의 일과 가족 전이 :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의 통합적 접근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for Married Workers : Negative, Positive and Global Spillover)

  • 이윤석
    • 한국인구학
    • /
    • 제33권2호
    • /
    • pp.1-31
    • /
    • 2010
  • 최근 맞벌이 부부가 늘어가면서 가족(family) 영역과 직장(work) 영역의 전이(spillover)에 대한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취업한 기혼남녀가 느끼는 두 영역 간 부정적인 전이와 긍정적인 전이에 대한 경험적 분석이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많은 연구가 부정적인 혹은 긍정적인 전이만을 다루었을 뿐 이 두 가지를 통합적으로 다루지 못하였다. 그러나 모든 개인들은 일상생활에서 두 영역을 넘나들면서 두 가지 상반된 전이를 매일 느끼고 살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고자 많은 학자들은 두 가지 전이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직장을 다니고 있는 기혼 남성 721명과 기혼 여성 359명을 대상으로 일-가족 그리고 가족-일의 통합적 전이를 분석하였다. 특히 남녀가 통합적 전이 수준이 어떻게 다르며 그리고 어떤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았다.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를 합쳐서 본 통합적인 일-가족 전이는 여성과 남성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렇지만 통합적인 가족-일 전이는 남성들에 비해 여성들이 더 부정적 상황에 놓여있었다. 여성 10명 중 4명이 부정적인 전이 수준이 높고 긍정적인 전이 수준이 낮은데 비해 10명 중 1명만이 부정적인 전이 수준이 낮고 긍정적인 전이수준이 높았다.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훨씬 많은 가족 관련 책임(예를 들어 가사노동이나 자녀양육 등)을 지고 있다. 그리고 가정을 남성들은 휴식처로 그리고 여성들은 또 다른 일터로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아버지의 부성경험: 다양한 역할수행의 긴장과 갈등 (Men's fathering experiences focused on tensions and conflict of multiple roles)

  • 양소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375-383
    • /
    • 2013
  • 본 연구는 기혼 유자녀 맞벌이 남성의 부성역할 수행 경험을 탐색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층면담과 문서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맞벌이 아버지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2년 9월부터 12월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분석적 귀납에 근거한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참여자들은 바람직한 아버지 상에 대한 인식과 실제적인 역할 수행의 불일치, 생계부양자와 돌봄 제공자 역할 수행으로 인한 긴장, 그리고 자녀에 대한 헌신과 직업적 성취욕구 간의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갈등은 점진적으로 가족 의사소통과정에서의 소외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를 토대로 아버지의 적극적인 가족생활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인식 제고방안과 함께 가족, 노동시장, 지역사회, 그리고 정부 차원의 다각적인 접근과 제도의 운영을 제안하였다.

기혼 남성들의 가사노동 참여 유형에 관한 사례 연구-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Husbands' Housework Type-focused on dual-earner couples-)

  • 조성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35-48
    • /
    • 1998
  • The Korean family is changing. The growth in dual-earner households has been the 'revolution' of the century, implying inevitable modification of the role division in marriage toward greater symmetry of responsibility for breadwinning and homemaking.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usbands' housework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husbands' housework. This means to investigate how the husband is related to housework. For these research purpose, 60 dual-earner couples were deeply interviewed. The major discus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are four types of housework in men's work, the type of refusal, the type of avoidance, the type of inevitability, and the type of participation. These types are taken order to understand change in housework is women's work. Men in the type of avoidance in household work is 25%, they have a tendency to avoid housework with making any excuses. People in the type of inevitability is 20%. These men are compelled to work in household owing to circumstances beyond control. 13% of couples is type of participation. These have a new idea of housework. They don't get the gender role division. They can become a good husband. and eventually solve conflicts and problems in coup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