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망조정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8초

GNSS 망조정에 종속기선이 미치는 영향 (Impact of Trivial Baseline into GNSS Network Adjustment)

  • 윤성현;이흥규;박종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93-60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GNSS 단일기선해석과 망조정을 통한 측량기준점 성과 산정에서 종속기선 포함여부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망조정 이론을 바탕으로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토지리정보원 운영 위성기준점 50 개소의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종속기선 포함여부에 따라 3가지 형태의 기준점 측량망 구성 및 조정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정확도 표현과 산정성과의 차이 측면에서 분석 하였다. GNSS 망조정에 종속기선을 포함하는 경우 조정성과 차이는 밀리미터 수준으로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망의 자유도와 기하강도 왜곡으로 그 정확도가 과대평가되는 결과를 얻었다. 3가지 경우에 대한 조정성과를 국토지리정보원 고시좌표와 비교했으며, 그 결과 독립기선으로만 이루어진 망의 성과가 가장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 그러나 종속기선을 포함한 조정결과는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어 성과의 정확도 표현에 왜곡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따라 GNSS 단일기선해석으로 얻어진 기선벡터의 망조정에서는 기존 성과와의 일치성, 현실적인 정확도 표현 그리고 과대한 데이터 처리에 따른 시간 및 비용 부담을 고려할 때 종속기선을 제외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평위치 결정을 위한 망조정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twork Adjustment Analysis for Planimetric Positioning)

  • 유복모;조기성;이현직;곽동옥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7-48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단열망 형태와 유심조합망 형태를 고려하여 기존 망조정 방법 및 조합 망조정 방법에 의해 계산된 각 점의 평균제곱근 오차와 표준오차 타원을 계산하여 자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써 기존의 망조정 방법에서는 삼변측량, 다가측량, 삼각측량의 순으로,.조합 망조정 방법에서는 다변측량, 조합 다각측량, 삼각 삼변측량의 순으로 정확도가 좋게 나타났으며, 중요한 신설점을 추가할 경우 망의 형태는 단열망 형태보다 유심조합망 형태로 구성하여 잉여관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조합 다각측량의 경우, 관측 가능한 측선거리를 추가시킴으로써 삼변측량의 성과에 준하는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고, 시통이 양호하고 넓은 지역에는 다변측량 방법이 효과적이며, 도시 지역과 같은 시통이 어려운 시가지에서는 조합다각 측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

수학적 모형화 기법이 GPS 기준점 측량 정확도 표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Mathematical Modeling Schemes into Accuracy Representation of GPS Control Surveying)

  • 이흥규;서완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45-458
    • /
    • 2012
  • GPS 기준점 측량은 관측과 데이터 처리를 통해 측지계에 대한 물리적인 표지의 위치를 목표 정확도 범위 이내로 결정하기 위해 실시하며, 이러한 이유로 측량 정확도를 실제와 유사하게 표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망조정을 통해 산정되는 기준점 성과의 정확도는 사용되는 수학적 모형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추정좌표의 분산-공분산 행렬에 의해 정량적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는 GPS 망조정에 사용되는 함수모형과 통계모형이 기준점 위치 추정과 정확도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향후 정확도 표현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일기선해석 다중세션 망조정 이론과 절차와 방법을 실제 관측데이터 처리를 통한 수치적 분석을 병행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그 결과 절대정확도와 상대정확도를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하여 표현하기 위해서는 잔존하는 관측오차의 모형화가 가능한 경험적 통계모형을 사용하는 다점가중제약조정이 GPS 기준점 성과산정을 위한 수학적 모형으로 보다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GPS/Leveling의 실용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for Practical Use of GPS/Leveling)

  • 박병욱;최윤수;신상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7-11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홍성지역의 수준점 및 삼각점에서 GPS 측량을 실시한 후 EGM96, OSU91A, KGEOID99 등의 지오이드모델 기반에서 정표고를 산정한 것과, 기지점 고정의 망조정에 의한 정표고 산정을 상호 비교하여, GPS/Leveling을 수준측량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한계와 그 정확성을 평가함으로써 GPS/Leveling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하였다. 기존 지오이드모델에 의한 정표고 산출 결과, RMSE는 $EGM96\;{\pm}0.061m,\;OSU91A\;{\pm}0.725m,\;KGEOID99\;{\pm}0.598m$로 EGM96 지오이드모델에 의한 결과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GPS 망조정 결과에서는 수준점 3점 고정시 ${\pm}0.043m$의 RMSE를 나타내 고정점을 이용한 망조정이 효과적인 GPS/Leveling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준측량의 허용오차를 감안할 때, GPS/Leveling은 공공측량시 4급 수준측량, 공공기준점의 표고 결정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

국가기준점 망조정에 관한 연구 - EDM 관측지역 (The Korean Geodetic Network Adjustments for EDM Area)

  • 양효진;최윤수;권재현;김동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93-398
    • /
    • 2007
  • 국가 기준측지계가 세계측지계로 변경됨에 따라 모든 국가기준점의 좌표를 기존의 동경측지계에서 세계측지계로 변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삼각점자료 중에서 현재까지 남아있는 EDM 단일 관측지역의 세계측지계 좌표를 산정하였다. 이전의 정밀 2차 데이터 셋을 확보하여 이설자료를 조사 및 검증하여 데이터 셋에 갱신하고, 새로운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 셋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고시한 변환파라미터를 이용하여 KGD2002 좌표계로 변환하였으며, EGM96 모델을 이용하여 지오이드고를 산정하고, 이전에 보정하지 않았던 지오이드고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보정하였다 보정된 자료를 데이터 셋에 반영하고, GPS 2등 및 GPS망과 EDM망의 경계부분의 GPS 3등 기준점을 확보하여 경위도(BL) 망조정을 수행하여 최종 성과를 산출하였다. 최종 망조정 결과 표준편차(Mo)가 최소 1.37", 최대 2.13"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산출된 성과는 국가기준점성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타원점지역 지적측량기준점의 통일 좌표 산출 연구 (A Study on Computation of Unified Coordinate of Cadastral Control Points over the Field with Different Surveying Origins)

  • 양철수;진중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3
    • /
    • 2008
  • 통일원점과 구소삼각원점 계열의 성과가 혼재되어 있는 지역의 지적측량기준점에 대하여 GPS관측거리를 이용하는 삼변망조정계산 방법에 의하여 단일 원점계열의 성과를 산출하였다. 삼변망조정계산의 적용은 각 원점계열별로 성과가 상호 부합하는 점들을 추출하여 자유망조정을 실시하고, 다음으로 이들 자유망조정의 성과에다 나머지 점들을 연결하는 고정망조정계산에 의해 지역 내 모든 점들의 좌표를 산출하였다. 실제 계산은 인천광역시의 가리계열 18점, 계양계열 17점, 중부계열 33점 등의 원점계열별 기준점을 이용하여 지역 전체의 합계 68점의 기준점에 대한 단일 원점계열의 성과를 산출하였다. 새로이 산출한 각 원점계열의 좌표 간에는 정량의 방위각과 축척계수의 차이가 있고 수작업으로 이를 보정하는 계산에 의해서도 서로 다른 원점 계열의 근사 좌표 산출이 가능하였다.

  • PDF

국가기준점망의 KGD2002성과산출과 현지검측에 의한 분석 (Examination of KGD2002 Results of the National Geodetic Network Adjustment)

  • 이영진;최윤수;고형곤;황병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65-474
    • /
    • 2007
  •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한국측지계2002(KGD2002)의 성과를 산출하기 위해 전국의 대규모 삼각점에 대한 국가기준점의 망조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평망조정의 결과를 분석 및 점검하고 성과를 고시하여 실용성과로 사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점검지역의 137개 삼각점에서 GPS방식으로 관측을 실시하고, 데이터의 처리과정을 거쳐 점검을 위해 관측된 137점의 정밀한 망조정성과를 산정하여 KGD2002성과와 좌표차를 비교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GPS망조정 지역의 경우 RMSE의 평균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서 각각 ${\pm}2.7cm$, ${\pm}6.5cm$로 나타났고, EDM망조정 지역의 경우 RMSE의 평균이 수평방향에서 ${\pm}3.0cm$로 나타났으나 지역적으로 GPS고정점이 부족한 EDM지역의 경우에는 정확도 확보대책이 요망된다.

직교분해법에 의한 측지망의 조정 (Network Adjustment by Orthogonal Decomposition)

  • 이영진;이석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95-101
    • /
    • 1990
  • 이 논문은 정규방정식을 사용하지 않고서 관측방정식으로부터 직접 직교분해법을 이용하여 측지망을 조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이 방법은 자유망이나 가중측점조건에 의한 망조정의 경우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안정된 해를 제공하고 정규방정식에서의 Cholesky factor를 활용할 수 있는 등 중규모의 망조정에 적합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GAMIT/GLOBK를 활용한 통합기준점 성과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Unified Control Point Coordinate Using GAMIT/GLOBK Software)

  • 조재명;윤홍식;이동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3-11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통합기준점의 통합망 조정을 위해 학술용 망조정 소프트웨어에 대해 비교하고, 전국 단위로 통합망 조정을 실시하였다. 기존 통합기준점의 평면좌표 결정에서는 연도별로 다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측량 시점과 데이터처리 해석 방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다년간에 걸쳐 관측한 세션별 관측망을 하나의 망으로 구성하여 통합망 조정을 수행하였다. 통합망 조정을 위해서 Quasi-Observation Combination Analysis(QOCA)와 Global Kalman filter VLBI and GPS analysis program(GLOBK)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최종적인 통합망 조정 처리에는 GLOBK를 사용하여 단일 망조정을 실시하였다. 전국 단위의 통합망 조정을 실시한 결과, 수직방향의 RMSE는 ±0.03m 로서 다소 크게 나타났지만, 수평방향의 RMSE는 ±0.006m로서 기존결과와 근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G-5 상대중력계를 이용한 중력관측 및 중력망조정에 관한 연구 (Research for Gravity Measurements Using CG-5 Autograv System and Network Adjustment)

  • 황학;윤홍식;이동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3-722
    • /
    • 2009
  • 중력측량은 지구중력장 결정, 지각의 수직운동, 지오이드면의 변화, 해수면변화, 기후변화 등 측지학적, 지구동력학적 연구의 기초이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최근 들어 FG-5 절대중력계를 도입하여 절대중력 기준망의 구축을 위한 틀을 마련하였고 다차원 다기능 기준점인 통합기준점을 전국에 약 1,200점을 설치하여 상대중력측량을 실시함으로써 한국의 고정밀 지오이드모델의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중력측량의 기본적인 이론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최신 상대중력계 Scintrex CG-5를 이용하여 총 21점에 대한 상대중력측량을 수행하였으며, 자유망조정 및 무게제한 망조정 방법을 이용하여 중력성과를 계산 및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가지 방법 모두 높은 정밀도의 중력성과 계산이 가능하지만 자유망조정이 무게제한 망조정 방법에 비해 상대적인 우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