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을특성

검색결과 398건 처리시간 0.029초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파 측정 및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ropagation for the Digital Radio Village Broadcasting System)

  • 최다솜;강영흥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68-573
    • /
    • 2016
  • 현재 아날로그 방식의 마을방송 시스템은 기술 적용의 문제 및 시설 노후화로 인한 성능 저하 등의 문제로 인하여 디지털 시스템으로의 전환과 이에 따른 시스템 표준이 요구되고 있다. 효율적인 디지털 무선 마을 방송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 파라미터를 토대로 전파환경 특성에 기반을 두어 전파의 실측값과 예측 값의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지역 환경을 고려하여 도시지역, 산간지역, 평야지역으로 경로를 설정하여 전파 측정을 하였으며, 측정을 통한 실측값과 예측 값을 SMIS (spectrum management intelligence system) 및 Matlab을 이용하여 전계강도 및 오차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전파수신 전력 및 지형별 환경 등의 전파 특징을 예측하고 마을 방송 표준의 확립과 시범 사업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농촌마을 공간구성에 관한 특성 분석 - 고드미녹색마을, 명심체험마을, 오박사마을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in Rural Village - Focused on Godeumi Village, Myeongsim Experience Village, Ohbaksa Village -)

  • 정다영;리신호
    • 농촌계획
    • /
    • 제19권4호
    • /
    • pp.329-33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suggest space composition in rural village so that it can had foundations for Activation of regional community by analysis and re-organization of rural community places based on regionality and historicity. First, this study have been investigated about changes of overall space configuration and community places that has been lost or were ongoing in rural village. Factors of changes were changes in lifestyle, rural policy, social and political system, economic principles and ect.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basic principles of rural village space configuration and inherited it. Second, basic principle of the space configuration of rural village were entryway and center that improve community cohesion in the community space. This study figured out improving of "Ma-Dang" and functional mix-use community hall was important for more efficient management. Third, This study set direc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space configuration of each village and suggested detail plans.

도시마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전통마을 공간 구조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raditional Villages for Re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in Urban Villages)

  • 문지원;김주현;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85-93
    • /
    • 2008
  • This study analyzes areas, traffic lines and characteristics of block of traditional villages in order to suggest how to build urban village in the way that can solve problems occurring in residential areas these days.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Traditional villages have definite boundary and entrance, and the community area for the villages is close to the entrance to encourage community activities of villagers. 2) With an access in the form of a blind alley branched from the main road, traditional villages form a small-sized clustering and encourage community activities in a natural way. 3) Formed of block with a pattern of net, blind alley or standing in a line on both sides, traditional villages help residents to form close relations betwe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building desirable urban villages, 1) they should have definite boundary, 2) size and location of community area should be determined in the way to activate community activities of residents, 3) roads inside the village should have branched form rather than standardized check pattern so that small-sized clustering could be formed along the branched inner roads, and 4) clustering in villages should be arranged in a line on both sides or in the form of a blind alley giving consideration to the length and width of roads. The roads should be also of a closed type so that residents could create strong bonds with their neighbors.

어촌마을 공간인식과 이용행태 연구 - 화성시 국화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Perception and Usage Behavior of Fishing Villages - Focused on Gookhwa-Island in Hwasung-Si -)

  • 박혜정;변준식;성종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22-138
    • /
    • 2023
  • 오늘날의 어촌은 심각한 고령화와 인구유출로 지역소멸의 위기에 처해있다. 최근 어촌지역을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는 사업이나 연구들의 경우 어촌을 외부인 중심적 시각으로 바라봄으로써, 일상생활 공간으로서의 어촌 공간에 대한 지역민 중심적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촌 지역 정주환경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어촌 거주민들의 이용 행태를 분석하여 어촌지역 외부공간 이용행태의 특성과 생활상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래 어촌공간 계획의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과 마을주민들이 직접 작성한 마을지도를 통해 마을 거주민의 공간인식을 살펴보았으며, GPS를 통해 주민들의 마을 공간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어촌 주민들은 어업 등의 생산활동에 집중하여 그 밖의 여가활동 등의 공간에 대한 인식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태분석을 통해 나타난 실제 이용 공간도 어항구역을 중심으로 어촌계사무실·선착장 등 생산활동 관련 시설 및 공간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마을 내 공간의 단조로운 이용행태는 대상지 내 이용 가능한 시설의 절대적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마을 내 시설들이 관광객 유치를 목적으로 도입되어 주민들의 생활 편의성과 이용성이 고려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어촌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마을 재생사업 추진 시에는 어촌지역민들의 공간인식과 이용에 대한 이해가 선제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가 이러한 어촌마을 공간과 주민들의 공간이용에 대한 이해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칠석동 민속축제복식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ostume for the Folk Festivals of Chilseok-dong)

  • Kim, Eun-J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397-1404
    • /
    • 2003
  • 2002년 월드컵 전야제에서는 한국문화를 소개해 세계인의 환호를 받았는데 그 중에는 칠석동 민속축제인 고싸움놀이가 펼쳐졌다. 칠석동 민속축제는 일반 서민복식의 전통복 형태를 보여주는 복식(服飾)을 실제 착용하고 축제를 행하고 있으므로, 점차 사라져 가는 전통복식을 놀이문화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가치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화 시대에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 시대적 변화에 따라 변해 가는 민속복식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칠석동 고싸움놀이를 중심으로 시대적 흐름을 통한 고싸움놀이의 전수과정에서 형성되어 온 민속축제복식의 구성과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광주지역인 광산구 칠석동 마을을 중심으로 자료조사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자료조사는 민속에 관련된 전공서적과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행사팜플렛 등을 참고하였고, 현장조사는 고싸움 축제에 참가하여 복식 전반에 대한사진촬영과 마을축제 참여하는 마을사람들을 중심으로 축제복식에 관한 면담조사를 하였다. 칠석동 고싸움 축제복식은 행사가 진행되는 내용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본격적인 고싸움이 시작되기 전날 밤에 당산나무에 제를 지내는 당산제 복식, 마을의 평안과 고싸움의 흥을 돋우기 위한 농악복식, 고싸움이 시작되기 전에 아낙네들이 손과 손을 맞잡고 둥글게 돌며 화합을 다짐하는 강강수월래 복식, 한해 풍년을 기원하는 고싸움복식이 있다. 칠석동 고싸움 축제복식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면에서는 농경제의(農耕祭衣)와 안택축원(安宅祝願的)을 기원하는 민속놀이축제복식으로 일상생활에 착용하는 복식을 이용한 농경 의례복의 다(多)기능성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색상은 우리조상의 백의(白衣)의 상징인 일상복인 백색 위에 오방색을 사용하여 화려하고도 강렬한 원색의 색상조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형태면에서는 양쪽어깨와 허리선의 면 분할이나 비례를 통해 허리부분의 동작에 따른 유동적인 선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평면구성의 단조로움은 흔들리는 몸동작에 따른 고름의 율동미와 축제복식의 착장 방법에 따른 한국복식의 형태미를 보여주었다.

농어촌 정주생활권 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마을특성분석 방안 연구 -성내면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Village Characteristics for Planning Rural Settlement Area Development - Mainly on Sungnae-Myun District -)

  • 김학응;오무형;이신호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1-63
    • /
    • 1996
  • This study is about the problems found in the process of the current governments planning rural settlement area development. As a measure to solve them, It proposed the analysis method of village characteristic in terms of standard score and tried to use this method as a basic material in planning more effective rural settlement area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is, which is an objective basic material to solve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bottom-up development planning by the residents' demands, It shows the following conclusion about what method should be applied to each part according to a village's characteristics and its development level. 1. Accessibility can be a basic material for setting the local area, analyzing its settlement system, and them such development facilities as village-linking roads, rural road, or various kinds of bridges and determining the investment priority. 2. With the index of the industrial basis, we can see what village has plenty of social, economical resources including advanced industrial facilities and looking into the advance level of the industrial basis, we can get some information about determining the local area development direction such as estashing the plan to build a farm product gathering center, a collective work place, storage facilities, and special housing development. 3. Since the issue about living environment is raising it's head, compared to weakened agricultural competitive power, with the analysis of this living environment, we can get an objective basic material for solving problems caused by the local egoism and the effective investment strategy of the limited resour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abstain from expert-centered planning and formal public opinion-collecting and on the basis of this analytic result, we should plan development. We need to continue our research about index selecting and differentiation, weight etc. and using these analysis methods, we should make up a systematic development plan by analyzing village characteristics and set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 PDF

농촌지역의 재난발생에 따른 안전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Level from Disasters in Rural Area)

  • Koo, Wonhoi;Shin, Hojoon;Baek, Min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393-399
    • /
    • 2015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재난발생에 따른 안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농촌지역 재난발생이력을 검토하고 피해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방재 개념을 농촌지역에 접목하여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만들기를 위한 기초방향을 설정하였다. 농촌의 특성상 인구 및 가구수가 적고 각종 재난안전 시설과 인프라가 부족하며, 지리적 특성상 외부로의 이동에 한계가 있어 신속한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농촌지역의 인문사회, 시설 인프라, 지리적인 특성을 반영한 지역단위의 재난안전마을 만들기 구축방향과 운영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마을단위 농업경영체 조직전략 및 운영요소 도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al Strategy and Operational Elements of Community-based Agricultural Management Bodies)

  • 김종안;길청순;김기태;김원경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3호
    • /
    • pp.777-822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농업 농촌의 쇠퇴와 공동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농업경영 주체로서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조직전략 및 운영요소를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농업조직화 이론의 틀 속에서 마을 단위 공동경영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최신 논의 동향을 검토하였으며, 마을단위 공동경영 사례에 대한 조직관리 및 경영관리 실태를 조사였다. 이를 통해 한국 농업 농촌의 현실 여건에 적합한 조직전략 및 운영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는 농업생산의 효율화만을 추구하는 단순한 협업조직이 아니며 '농업생산력 유지, 농업소득 증진, 농촌사회 유지'라는 복합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 경영체이다. 이러한 관점을 반영하여 본 논문에서는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를 '농업생산력 유지, 농업소득 증진, 농촌사회 유지 등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농업인과 주민이 협조적, 집단적, 조직적 의사결정을 통해 개별적으로 보유한 농업자원을 마을 단위로 공동으로 이용하거나 공동 자본을 조성하여 운영하는 법인'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마을단위 공동경영을 실천하는 국내 사례에 대한 조사 결과 공동경영의 영역은 '생산'보다는 '가공, 유통. 체험' 등 2~3차 영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소규모 전업농이 다수를 차지하는 국내 농업구조에서는 일본 수도작 지역의 집락영농 유형과 같이 '1마을 1농장' 방식의 경영통합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는 '생활공동체' 성격과 '농업경영체'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기 때문에 조직운영 방식과 의사결정 체계도 두 가지 틀 속에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을 반영하여 본 논문에서는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추진체계, 최고의사결정기구의 조직관리 요소, 사업조직 관리 요소, 단계별 운영요소, 공동 농작업 관리 요소, 조직전략 수립요소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지원 방향에 대해서는 한국 농업 농촌의 사회문화적 특성, 각각의 마을 여건 등을 고려하여 획일화된 지원보다는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를 설립하고 운영해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지원하고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방식의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마을평생교육지도자 양성과정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리더십유형과 프로그램 만조도와의 상관관계 (The Relation between Program Satisfactions and Leadership -Types of Who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of Village Lifelong Education Leaders-)

  • 김남선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1호
    • /
    • pp.177-217
    • /
    • 2014
  • 본 연구는 마을평생교육지도자양성과에 참여한 학습자의 개별적 리더십특성에 따라 프로그램 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중요한 연구목표를 보면, 마을평생교육지도자 양성과정의 개념을 살펴보고, 마을평생교육지도자에 관련된 이론을 탐색하며, 참여자의 개별적 특성별 리더십유형과의 프로그램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거래적 리더십과 예외적 관리 리더십과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평생교육에 대한 경험유무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유형의 하위 유형인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하위유형인 예외적 리더십유형과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의 평균값이 거래적 리더십의 평균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변혁적 리더십을 지니고 있는 참여자의 하위리더십의 유형의 순위는 인간관계, 정신적 동기, 지적자극 및 카리스마 등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거래적 리더십을 지니고 있는 참여자의 하위리더십의 순위는 성취에 대한 보상, 예외적 관리 등으로 나타났다.

지역적 특성과 리더에 의한 농촌마을만들기의 지속가능성 고찰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in the Making Rural Villag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leaders)

  • 박광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41-4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the Sustainability in the Rural living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would be referred the natural heritage in the rural areas and the different particular na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based on this results, the local peoples who live in rural villages, will be possible to maintain and improve their life by their own effort continuously.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ing. At the first, The case study carried out for Japan's rural village, that how the residents would be participated of the town development and What is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to make their town well. and then, this paper analyzed the causing and problems the decline and developing possibilities of village targeting 'Bosanwonri' which is traditional rural village located in Kwangdukmean, Cheonansi, Korea. and in its final analysis, this paper proposed an possible alternatives which can retains the sustainabl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