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디 수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28초

요각류 Paramphiascella vararensis(T, Scott) (Harpacticoida: Diosaccidae)의 유생 발생: II. copepodid 유생의 발생 (The larval development of Paramphiascella vararensis(T. Scott) (Copepoda: Harpacticoida: Diosaccidae) reared in laboratory: II. Larvae development of copepodid stages)

  • 정민민;이화자;김형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3호
    • /
    • pp.238-244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갑각강, 요각아강, Harpacticoida 목, Diosaccidae과, Paramphiascella 속의 Paramphiascella vararensis의 copepodid유생단계 및 성체의 발생과정에 대하여 보고한다. P. vararensis는 구멍 갈파래의 건조 분말을 먹이로 수온 22${\sim}$23$^{\circ}$C, 염분 33${\sim}$34 ppt의 배양 조건하에서 copepodid I 단계에서 copepodid VI 단계인 성체까지 발생하는데, 15일이 소요되었다. 성 분화는 제 IV copepodid기에서 이루어지며, 크기, 제 1 촉각, 제 2 흉지, 제 5 흉지 및 제 6 흉지 등에서 발생을 거듭하면서 형태적 차이를 보였다. 즉, 크기에서는 숫컷이 암컷보다 훨씬 작으며, 제 1 촉각은 암컷에 비하여 숫컷이 매우 변형되었고, 특히 제 1 촉각의 네 번째 마디가 암컷에 비해 매우 부풀어져있었다. 그리고 암컷의 제 2 흉지의 내지는 3마디이나, 숫컷은 2마디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제 5 흉지의 내엽의 강모수는 암컷이 3개, 숫컷이 2개였고, 제 6 흉지에서는 암컷은 2개, 숫컷은 3개의 강모를 갖는다.

  • PDF

Sulfonylurea계 제초제가 처리된 다년생 잡초의 재생양상과 저장전분량의 변화 (Regrowth Patterns of the Perennial Weeds Treated with Sulfonylureas and Starch Degradation in the Rhizome)

  • 황인택;이관휘;홍경식;김진석;이병회;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6-41
    • /
    • 2002
  • Sulfonylurea계 제초제 pyrazosulfuron-ethyl과 bensulfuron-methyl을 대상으로 다년생 잡초의 재생특성과 저장전분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Pyrazosulfuron-ethyl을 처리하였을 때 너도방동사니가 24일 후 재생되어 5가지 다년생 잡초 중 가장 빠르게 재생하였으며, 올방개, 올미, 벗풀 등이 각각 $30{\sim}39$일 이후부터 재생하였고, 가래는 55일 이후 재생되었다. 너도방동사니의 마디의 수와 엽기별 처리에 따른 재생력의 차이에서는 bensulfuron-methyl에 대하여 4마디 식물체가 2마디 식물체보다 약 2배의 재생력을 보였고, 처리시기가 2엽기, 3엽기, 4엽기로 늦어질수록 재생력이 증가하였다. 크기에 따른 올방개의 재생력은 $0.3{\sim}0.5g$ 크기의 올방개보다 $1{\sim}1.5g$ 크기의 올방개가 bensulfuron-methyl에 대하여 재생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시기에 따른 올방개의 재생력은 2엽기 처리보다 3엽기 처리에서 재생율이 감소되었다. 모경에 대한 의존기간은 벗풀의 경우 맹아된 후 12일이며, 올방개는 18일로 나타났다. 정상적으로 생장할 경우 영양번식체 내의 전분이 고갈되는 시기는 벗풀의 경우 맹아 후 18일, 올방개의 경우 27일로 나타났으며, 유리당의 최고치는 벗풀의 경우 맹아 후 9일, 올방개의 경우 18일로 나타났다. 올방개 괴경은 벗풀 괴경보다 1.5배 많은 전분을 함유하고있었다.

Pat Metheny 연구 (A Study of Pat Metheny)

  • 김민근;조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80-85
    • /
    • 2016
  • 팻 메스니는 1976년도에 데뷔한 이후 현재까지 장르를 재즈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하고 실험적인 음악으로 대중에게 어필하였다. 50여장에 이르는 그의 앨범들은 그래미상(Grammy Award)를 20차례나 수상하였고, '골드 디스크(Gold Disc)' 상을 3차례나 수상할 정도로 '예술성'과 '음악성'을 인정받았다. 이러한 이유로 그의 음악은 단순히 재즈라는 한 단어로 표현하기는 힘들다. 기초 화성학에서는 기본적으로 메이저 코드에서 사용하는 스케일과 마이너 코드에서 사용하는 스케일이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메이저 코드에서는 Ionian Scale이나 Lydian 스케일을 주로 사용하고, 마이너 코드일 때는 Dorian Scale이나 Phrygian Scale, 그리고 Aeolian Scale을 주로 사용한다. 또 m7b5 코드 일 때는 당연히 Locrian Scale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팻 메스니의 스케일을 분석한 결과 메이저 코드일 때 Dorian Scale을 사용한다던지, 또 마이너 코드일 때 Lydian Scale을 사용하여 Lick을 만들었다. 그리고 도미넌트 코드 일 때 사용하는 여섯 가지 스케일도 다양하게 사용하지만 의외로 Dorian Scale이나 Lydian Scale을 자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어떤 마디에서는 Ionian Scale과 Aeolian Scale을 같이 사용하여 Lick을 만들었는데, 이런 경우에는 그 마디의 전체적인 느낌이 메이저의 밝은 느낌과 마이너의 어둡고 쓸쓸한 느낌을 동시에 표현하기 때문에 아주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또 블루스의 열두 마디 패턴을 빌려와서 사용하면서 블루스 스케일은 사용하지 않고 Ionian Scale과 Lydian Scale, Mixo-Lydian Scale을 주로 사용하여 Lick을 만드는 스타일을 보여 주기도 하였다.

큰개현삼과 근연분류군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and its relatives)

  • 장현도;김태훈;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45-352
    • /
    • 2011
  •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과 근연분류군인 좀현삼(S. kakudensis var. microphylla), 일월토현삼(S. pilosa) 및 몽울토현삼(S. cephalantha)을 대상으로 원기재문과 기준표본에 근거하여 외부 형태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줄기 마디의 수, 잎의 크기, 개화기의 차이, 화서의 발달유형 및 줄기와 잎에 털의 분포 양상 등은 큰개현삼과 근연종들의 분류에 매우 유용한 형질로 밝혀졌다. 큰개현삼은 개화기가 7-9월이고, 줄기에 7개 이상의 마디를 가지며, 화서는 정단과 엽액에서 발달하는 특징을 가진다. 반면에 몽울토현삼은 개화기가 5-6월이고, 줄기에 3-6개의 마디를 가지며, 화서는 정단에만 짧게 발달하는 특징을 가짐으로써 큰개현삼과 뚜렷이 구분되었다. 변이의 폭이 큰 큰개현삼 집단과는 달리 좀현삼은 모두 소형화된 집단을 형성하기 때문에 현재 분류계급(var. microphylla)을 유지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일월토현삼은 액생화서, 줄기 및 잎의 흰털이 주요식별형질로 알려져 왔지만, 기준표본 및 기준표본지 조사에서 이들 형질들이 큰개현삼의 형질 변이 폭 내에 포함되므로 큰개현삼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생사검사에 있어서 현행방법과 전자식 방법에 대한 비교분석 I. 전자식 검사방법에 의한 검사성적과 등급비교 (Comparison of the Electronic Methods of Raw Silk Testing and Grading with Those of the Current Methods I. Defference in Inspection Results and Grading to the Electronic Methods)

  • 최병희;김한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7-71
    • /
    • 1992
  • I.S.A 전자식 생사검사 및 등급매기 방법에 따라 조사를 실시, 그 성적을 등급매기표에 적용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가. I.S.A 검사방법에 의거 매겨진 시험생사의 등급은 현행 우리나라의 검사바업에 의한 것보다 1개 등급 내지 2개 등급 낮은 등급으로 매겨진다. EH한 일본이나 중국의 방법보다도 낮게 평가되었다. 나. 섬도고름새(편차 또는 변동율)에 대한 I.S.A 검사방안에서의 등급결정 반영도를 우리나라의 것과 비교하면 편차 2.0 이상의 저급에 대하여는 크게 완화시켰으나 고급생사에 대하여는 2개 등급이상 강화시켰다. 다. 실무늬 결점에 대한 I.S.A 검사방법에서의 각 결정 반영도는 우리나라보다 1- 2개각을 완화시켰고, 일본이나 중국의 그것과 비슷하도록 되어 있다. 라. 현행 큰마디 검사를 대신하는 극세, 극태점(개/1,00m) 검사방법은 현행의 검사방법보다 1등급 내지 2개 등급 낮게 각부되었다. 마. 잔마디검사를 대신하는 I.S.A의 Nepsrja사는 현행보다 5개등급 이상 낮은 등급으로 판정될 수 있도록 극히 불량한 검사성적을 보임으로써 I.S.A 검사방법에서의 잔마디 결점에 대한 각결정 반영도를 대폭 강화하였다. 바. 8개 보조검사항목 중 신설한 소구간 섬도변동율(CV size 50m, %)의 등급결정 영향율은 높지 않으나 강력변동율(CV tenacity, %)과 신도변동율(CV elongation, %)의 반영도를 비교적 높게 정하고 있다. 사. 나머지 섬도최대편차, 평균강력, 평균신도, 재소 및 포합검사의 대한 등급결정영향도는 완화하였다.

  • PDF

멤브레인의 주름 형상이 응력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적 해석 (Numerical Analysis on the Stress Behaviours Due to Geometry Effects of the Membrane Corrugation)

  • 김청균;이영숙;차백순;김영규;윤인수;홍성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26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초저온 액체에 의한 정압과 열하중을 받는 멤브레인 구조물의 응력기동과 응력수준을 6가지 주름모델에 대한 수치적 해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맴브레인 판재의 상면을 따라 최대 평균법선 응력분포에 관한 여러 가지 기하학적 주름의 3차원 해석을 수행하였고, 이들 주름형상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비교$\cdot$고찰하였다. 링 마디식 모델의 주름 형상은 작은 코너반경과 정점곡률을 갖는 테크니가즈식 주름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거동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한요소해석 결과예 의하면 LNG 저장탱크에 이들 모델을 사용할 경우 링 마디식 주름이 여타 주름 모델에 비하여 가장 깊은 180m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경북지역 논 잡초 발생분포 조사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Gyeongbuk Province in Korea)

  • 김상국;김학윤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6-12
    • /
    • 2014
  • 본 조사는 2013년에 경북지역 13개 시 군의 320지점에서 논 잡초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경북지역의 논잡초 조사결과, 27개과(family) 51초종(species)이었고 과별로는 벼과(family) 9초종, 사초과(family) 5초종, 마디풀과(family) 4초종, 국화과(family) 4초종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 잡초종의 생활형태는 일년생잡초 34종, 다년생잡초 17종으로 대부분 일년생잡초였다. 경북지역의 우점잡초는 물달개비(10.80%) > 좀개구리밥(10.74%) > 가막사리(8.77%) > 강피(7.17%) > 올챙이고랭이(6.20%) > 올방개(6.13%) > 벗풀(5.85%) 순이었다. 물달개비, 좀개구리밥, 가막사리, 강피,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벗풀의 우점도는 전체 잡초종의 50%이상 차지하였고 TWINSPAN 분석을 통한 지역별 잡초종의 유사성은 여뀌바늘, 올챙이고랭이, 미국외풀, 마디풀, 뚝새풀에 의해 구분되어 추후 경북지역 논 잡초의 발생 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 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메조코즘 실험에 의한 염생식물의 서식안정성 평가 (Assessment in Habitat Stability of Halophyte by using Mesocosm Experiment)

  • 류성훈;이인철;김경회;윤한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19-6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갯벌토 및 준설토를 기질로 이용한 Mesocosm 실험을 통하여 염생식물의 서식안정성을 평가하였다. Mesocosm 실험구는 기질 및 식생의 식재 여부에 따라 Mesocosm A(갯벌토+퉁퉁마디 식재), Mesocosm B(준설토), Mesocosm C(준설토+퉁퉁마디 식재)로 조성하였다. 그리고 Mesocosm 실험구 내 염생식물의 서식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질(COD, T-N, T-P, 수온, 염분), 저질(COD, T-N, T-P), 식생성장률의 서식환경 인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서식안정성지수(HSI)를 산정하였다. Mesocosm C에서의 HSI는 0.87~0.95로서 Mesocosm 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HSI가 높게 산정되어, 준설토를 이용한 해안염습지의 복원/조성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베르누이 원리와 bolt-clamped Langevin type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정상파 음파 공중부양의 탐구 (Investigation of standing wave acoustic levitation with Bernoulli principle and bolt-clamped Langevin type ultrasonic transducer)

  • 박민철;박두재;김영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22-42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소형 물체가 음파 정상파의 압력 마디 부근에 소형 물체가 부양하는 정상파 음파 공중부양(standing wave acoustic levitation) 현상에 대해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하여 부양의 원인이 되는 음향 방사힘(acoustic radiation force)의 근원과 개형을 기존에 알려진 진동자에서 떨어진 거리에 따른 음향 방사힘의 그래프와 비교함을 통해 개념적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설명을 뒷받침하는 일련의 실험들을 BLT(Bolt-clamped Langevin Type)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해서 수행하여, 물체들이 공기의 압력 마디 부근에 부양하고 있음을 확인했고, 물체가 부양하고 있는 상태에서 정상파가 형성되는 조건임을 확인했다. 더불어, 정상파 음파 공중부양 현상에서 부양하는 물체들이 수직하게 일렬로 정렬하는 현상 역시 설명할 수 있었다.

갯봄맞이(Glaux maritima L.) 실생의 단마디배양을 통한 기내증식 (In vitro Multiplication through Single-Node Culture of Sea-Milkwort (Glaux maritima L.))

  • 배수지;강범창;정미혜;김수종;김창길;한증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3호
    • /
    • pp.461-471
    • /
    • 2016
  • 본 연구는 원예적 가치가 높은 멸종위기 해안식물인 갯봄맞이(Glaux maritima L.)의 기내번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9년 개인 원예가로부터 갯봄맞이가 심겨진 화분을 분양 받아 줄기와 꽃의 색을 기준으로 'Red type'(RT)과 'Pistachio type'(PT)으로 구분한 후 본 연구의 식물 재료로 사용하였다. 분양 받은 모식물체는 예전 연구 보고에서와 일치하는 꽃, 삭과 및 종자의 외형을 나타내었다. 기내 파종 후 $4^{\circ}C$의 저온에서 4주 이상 처리하였을 때 종자 발아율이 최대에 달했는데, 이는 종자흡습에 이어서 저온처리가 종자의 발아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기내 실생은 모식물체와 동일하게 'RT'와 'PT' 표현형으로 분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새롭게 신장한 액아 유래 신초의 마디 수 합을 기준으로 판단한 증식 효율은 표현형과 배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했지만 기내 실생에서 절취한 제4절과 제5절을 배양했을 때 가장 높았다. 더불어, 'RT'와 'PT' 표현형의 마디를 BA $0.5mg{\cdot}L^{-1}$ 단용 배지와 BA $0.5mg{\cdot}L^{-1}$ + IAA $0.5mg{\cdot}L^{-1}$ 혼용 배지에서 각각 배양하는 것이 신초 분화율을 가장 높였다. 마디배양 유래 유식물체는 배양실에서 양호하게 기외 순화되었고, 비록 내륙 환경에서 담수 관수를 하는 재배법을 사용했지만 염습 자생지에서와 동일하게 유사일년생 생활환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갯봄맞이의 기내 번식에 관한 한 최초인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이 희귀 종의 서식지외 보존, 자생지 복원 및 원예용으로의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