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라이프스타일 특성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라이프 스타일 요인에 따른 웨트슈트(wetsuits) 선택속성, 인구통계적 특성, 구매행동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Wetsuits Selection Criteria,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Lifestyle Factors)

  • 김지우;김영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6-58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lifestyle on wetsuits purchasing behavior and identifies various characteristics among lifestyle groups. A questionnaire survey of 213 domestic consumers with water sport activity and wetsuits experience indicated the following results: 1) Lifestyle factors were analyzed as 6 factors: social relation ships, development orientation, trend & appearance, domestic, positive acknowledgement of hobbies, pursuit of practicality. And the wetsuits selection criteria was 4 factors: wearing fitness, product information, design, reputation. 2) Social relationships, development orientation, positive acknowledgement of hobbies and pursuit of practicality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fitness. Trend & appearance, development orientation, and pursuit of practicality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formation factors ; in addition, development orientation, and trend & appearance, a positive acknowledgement of hobbies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design factors. Social relationships, trend & appearance, and pursuit of practicality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reputation factors. However, trend & appearance factors negatively affected the wearing fitness factors and the positive acknowledgement of hobbies factors had negative effect on product information, reputation factors. 3) The three groups of lifestyle factors showed differences in monthly average purchasing of clothes, average annual purchasing expenditures for water sports related products, number of water sport activity days and frequency, product selection criteria.

등산복 구매행동의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urchase Behaviors of Outdoor Wear Consumers)

  • 박옥련;이지나;이동철;진금옥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JOINT CONFERENCEOF KDISS AND KDAS
    • /
    • pp.267-278
    • /
    • 2006
  • 소득 수준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의식의 강화는 보다 쾌적한 라이프스타일의 추구와 여가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웰빙 문화확산에 따른 레저 인구의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등산에만 국한되던 아웃도어 이미지가 점차 다양한 레저활동으로 확대되고 등산복과 캐주얼웨어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아웃도어 브랜드 업체들도 캐주얼 의류보다 화사하고 편안한 등산복을 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등산복 소비자의 일반적인 구매행동 특성 및 인구통계적 특성과 브랜드 선호도에 환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등산복의 구매 목적은 '등산만을 위해서'와 '등산복과 일상복으로' 구매하는 경우도 비슷하게 나타나 등산복을 일상적인 캐주얼웨어로도 겸하여 입는 소비자가 많다. 그리고 여자는 '등산만을 위해서'가, 남자는 '등산과 일상복으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성 소비자들에 비해 남성 소비자들이 등산복 한 벌 당 가격대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모든 연령대에서 구매 정보원으로서 '친구 소 소속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산복 브랜드의 선호도와 보유현황은 전체 선호도는 코오롱 스포츠가 1위, 노스페이스가 2위, 케이투가 3위로 나타났나.

  • PDF

베이비부머의 라이프스타일과 은퇴 후 선호하는 주거특성 - 재미 한인 베이비부머를 중심으로 - (Baby Boomers' Lifestyles and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Postretirement Homes - With a Focus on Korean-American Immigrants -)

  • 김미희;김석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85-94
    • /
    • 2013
  • This research investigates and characterizes lifestyles and housing preferences of Korean-American Baby Boomers in the USA, and proposes future housing design and planning directions to meet their nee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to September 2012 examining lifestyles and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postretirement homes. We targeted Korean-Americans born from 1955 to 1963 in either Korea or the USA who currently reside in New York, Washington DC, Chicago, Dallas, Detroit, Lansing, Grand Rapids, and San Francisco. To analyze the 247 responses, we employed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crosstabs. Respondents preferred three-bedroom, singlefamily housing types with a size of 26-35 pyong, favoring city outskirts or suburbs over urban areas. Four groups having different lifestyle types were identified: innovators, believers, fashion experiencers, and makers. Housing preference differed depending on lifestyle types. The 'innovator' group desired homes 56 pyong or larger, while the other groups preferred 26-36 pyong. The four lifestyle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of preferred housing features, community facilities, or indo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ach group still showed slightly different preferences in some housing planning characteristics, which future planners can refer to when providing postretirement homes for them.

방향성 섬유제품의 소비현황 및 소비자 특성에 따른 차이 연구 (Research on Consumption Status and Differences by Consumer Characteristics about ScentedTextile Products)

  • 여은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3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nsumption status of scented textile products an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consumption behaviors of scented textile products among subject groups separated by demographic (sex, age) and lifestyle (health concern, fashion involvement, innovativenss) characteristics. A total of 530 consumers who had used scented textile products participated in the web survey for the study. Consumer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LSD test. In the results, the most often used products were small commodities, socks, bedding, and underwear of hub and flower scents. Consumers considered a product test as the most crucial information source and scent as the most significant decision making factor for purchase. Demographic and lifestyle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some of the product types in use as well as in purchase behaviors (total spending amount, purchase venue, information source, considering factors when purchasing). The applicability of the study result to the theory of innovation adoption was discussed. Marketing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소비자 특성, 지각된 위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농식품 구매결정 및 온라인 구매채널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grifood Purchase Decision-making and Online Channel Selection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Perceived Risks, and Eating Lifestyles)

  • 이명관;박상혁;김연종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1호
    • /
    • pp.147-159
    • /
    • 2021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현상 이후에 소비자들의 온라인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무점포 온라인 소매판매채널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소셜미디어가 기업의 브랜드와 제품을 알리는 홍보수단에서 직접적인 거래가 발생하는 SNS마켓으로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현상 이후 달라진 소비자들의 행동변화가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경우 기존 인터넷 쇼핑몰과 개방형 SNS마켓과 폐쇄형 SNS마켓 등의 온라인 쇼핑매체를 선택하는데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농식품 제품 선택에 있어서 어떠한 유형의 제품을 선호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독립변수로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소비자 지각위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로 설정하여 온라인 구매채널 유형과 농식품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경우 인터넷 쇼핑몰과 개방형 SNS마켓, 폐쇄형 SNS마켓 등의 쇼핑채널을 선택하는데 있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소비자지각위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세부요인에서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SNS마켓을 선택하는 소비자는 여성보다 남성이 높고, 가구소득이 낮으며 건강과 맛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높게 나타났다. 폐쇄형 SNS마켓을 선택하는 소비자는 지방에 거주하며 배송에 대한 위험인지도가 높은 소비자들로 분석되었다. 기존 인터넷 쇼핑몰을 선택하는 소비자는 학력이 높고 개인소득이 높으며 맛과 경제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자신의 제품특성에 적합한 온라인쇼핑매체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농업인들에게 판단의 단초를 제공하여 실무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농식품 쇼핑채널로서 소셜미디어를 단순 홍보채널이 아닌 직접적인 거래가 발생하는 마켓으로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 할 수 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배달음식의 소비성향 분석 (Analysis of the consumption pattern of delivery food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 허소정;배현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5호
    • /
    • pp.547-561
    • /
    • 2020
  • 배달음식 소비시장을 세분화하여 고객 성향 맞춤형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배달음식 이용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 총 6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평가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안전지향, 편의지향, 맛지향, 경제지향 요인이 도출되었고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 고객을 식생활 저관심군, 편의·경제 추구군, 미식·경제 추구군으로 분류하였다. 군집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일반 특성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연령 (p < 0.001), 결혼 여부 (p < 0.001), 가족 유형 (p < 0.01), 주거 형태 (p < 0.05) 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식생활 저관심군은 기혼 (67.1%),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비율 (85.4%),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율 (74.2%)이 다른 군집에 비해 높았고 편의·경제 추구군은 1인 가구 비율 (28.9%)이, 미식·경제 추구군은 미혼의 비율 (62.0%)이 다른 군집에 비해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편의·경제 추구군(32.3세)과 미식·경제 추구군 (32.5세)에 비해 식생활 저관심군 (40.0세)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01). 식생활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른 배달음식 소비 실태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주문횟수 (p < 0.001), 주로 주문하는 요일 (p < 0.05), 배달음식의 정보 습득 경로 (p < 0.001), 주문 방법 (p < 0.001), 같이 섭취하는 사람 (p < 0.01)에서 군집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편의·경제 추구군은 배달음식 주문횟수 (p < 0.001)와 배달음식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 (p < 0.001)에서 식생활 저관심군과 미식·경제 추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음식점 경영자와 배달 플랫폼 업체는 배달음식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고객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특성을 고려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배달음식의 품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Features of Unisex Young Casual Wear)

  • 김현순
    • 복식
    • /
    • 제51권6호
    • /
    • pp.85-9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국내브랜드를 중심으로 고찰한 후 그 디자인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한 시대의 패션현상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국내 패션시장의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에 대한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신세대의 하위문화와 국내브랜드 시장조사를 통한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동향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한 후 영 캐주얼웨어의 브랜드를 디자인의 차이에 따라 분류하고, 그 디자인 특성을 컬러, 소재, 스타일, 아이템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00 S/S, '00 F/W의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패션 정보잡지와 인터넷의 패션사이트를 검색하였다.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브랜드별 시장조사를 통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상매체, 대중음악. 스포츠, 스타문화로 나타난 신세대의 하위문화는 탈중심성, 탈국경화, 의미의 해체 등의 포스트모던적 문화현상이며.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는 자유와 개성을 추구하는 신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잘 반영한 하위문화의 복식양식으로서 현대 패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기성복업체는 신세대가 가지고 있는 새로운 욕구와 감성을 겨냥한 브랜드를 개발하고 판매촉진을 위해 전력을 다하는 과정에서 신세대의 하위문화를 반영한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일반적인 복식양식을 형성하였다. 3. 국내시장의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는 디자인 특성에 따라 컴포터블 캐주얼웨어, 스포츠 캐주얼웨어, 힙합 캐주얼웨어로 구분된다.

  • PDF

성인남성의 성적지향에 따른 의복행동과 심리적 특성의 관련연구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omosexual and Heterosexual Men)

  • 고애란;남미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60-46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homosexual and heterosexual men in clothing behaviors(fashion leadership, preference for up-to-date style and sexual attractiveness), lifestyle and sex-role attitudes, and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 ships between clothing behaviors and lifestyle and sex-role attitudes. The data was collected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183 adult men(88 homosexual, 95 heterosexual men) living in Seoul, and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test,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wo factors of fashion leadership. were identified: fashion opinion leadership and fashion innovativeness. Four factors of lifestyle were identified: appearance awareness, self-confidence, authoritativeness, and achievement. 2. The result of t-test between homosexual and heterosexual men in cloth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omosexual men showed higher scores in fashion innovativeness, fashion opinion leadership, preference for up-to-date style, and appearance awareness of lifestyle characteristics. 3.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4 variables of clothing behaviors, appearance awareness of lifestyle characteristics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all the clothing behavior variables in both groups.

  • PDF

원산지 표시가 미국소비자의 한국산 의류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untry-of-Origin on American Consumers' Evaluation of Apparel Products Made in Korea)

  • 유혜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04-715
    • /
    • 1994
  • 본 연구는 원산지 표시 (country-of-origin)가 미국 소비자의 한국산 의류상품 평가와 제품 이미지 (product image)에 비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소비자 특성과 원산지 표시의 영향, 의류 상품의 제품이미지와의 관계를 집중 분석하였다. 미국 전역의 성인을 무작위 추출하여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 회수하여 284부의 설문지가 자료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미국 소비자들은 한국과 중국, 한국산 의류제품과 중국간 의류제품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소비자들은 한국산 의류와 중국산 의류는 모두 저가의 위신성이 낮고 대량 생산되어 부분처리가 떨어지는 평범한 제품이라고 인식라고 있었다. 한국산 의류는 유행색의 사용이나 유행성에서는 많이 뒤떨어지지 않으나, 위신성과 부분처리에서 특히 낮게 평가를 받았다. 라이프스타일, 점포유형에 따른 쇼핑빈도, 성별, 교육정도, 소득수준, 인종에 따른 제품 이미지 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였다. 50세 미만의 연령층이 50세 이상치 연령층보다, 결혼한 사람이 걸혼하지 않은 사람보다(독신, 이혼 등) 좀 더 긍정적인 제품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보다는 전업주부의 제품이미지가 더 긍정적이었다. 의류제품이 다주 어떤 제품보다도 한국을 대표하는 상품으로 나타나서, 한국산 의류제품의 이미지 향상은 섬유업계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산업계와 정부, 단체가 모두 힘을 모아서 노력하여야 할 과제임을 시사하였다.

  • PDF

멀티헤비테이션의 발전 가능성 및 수요특성 분석 (A Study on the Growing Trend of Multi-habitation and its Demand Analysis)

  • 최정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89-10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the necessity, and the increase of popularity of multi-habitation, a new life style in which inhabitants in urban areas reside in primarily condominiums during weekdays and retreat to dwellings in rural areas on the weekends. This paper also focuses on finding implication messages from analyzing the demand of multi-habitation in a survey which was conducted for 735 people who live in Seoul and the surrounding metropolitan areas in July 2009. Analysis of literature shows that based on five aspects (population structure, social economy, lifestyle, tourism, and housing market) this dynamic lifestyle, multi-habitation, is believed to be common in South Korea, and may increase in popularity in the near future. The results of the survey illustrate that the respondents show high interest in multi-habitation, and their most preferred locations are the green areas arou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are one to two hours away by car. Moreover, regarding the participants' preferences in rural areas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ose who want to reside in a nature environment, those who want to reside near family and in a close community, and those who want to reside in an environment that has essential facilities and easy acces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