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 정보활용

Search Result 3,27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mpact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Capabilities on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Digital Information Self-efficacy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Woo-Hong Cho;Jun-Su Kim;Young-Eun Jang;Dea-Hu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203-206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서 "2022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에서 결혼이민자 중 여성의 응답을 SPSS 25.0, AMOS 24.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을 독립변수로 하고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은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이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부트스트랩핑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 PD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the Elderly's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Choi, Hyeong-Im;Song, In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6
    • /
    • pp.246-255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r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from 396 adults over the age of 60 years in a welfare center for senior citizens in D Metropolitan Cit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Moreover, higher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Furthermore, the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using digital devic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satisfaction of life in old age is increased by the medium of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measures for improving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were discussed.

Factors Affecting Marriage Immigrant Women's Satisfaction with Digital Information Change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Jun-Su Kim;Woo-Hong Cho;Young-Eun Jang;Dea-Hu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207-21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 이주 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 중 결혼이주여성 응답을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결혼 기간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폰 이용일수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정보화기기 활용 역량 중 PC 활용 능력은 부(-)적 영향을 미쳤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은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디지털 정보활용 역량 중 취미여가에 활용은 결혼 이주 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디지털 사회자본 중 가교형 사회자본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은 결혼 이주 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Usage of Digital Device Based on Digital Literacy (디지털 리터러시에 기반한 디지털 기기 활용방안 연구)

  • Go, HakNeung;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19-222
    • /
    • 2019
  • 4차 산업혁명이 언급되면서 3D 프린터, 로봇,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이 발전하고 이는 사회 구조를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새로운 디지털 기기, 기술들을 이해하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중요해지고 있다. 2015 OECD PISA에서 ICT 배경조사 중 한국은 접근성, 활용성 부분과 2018 국가수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연구,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의 인식 여부 및 활용 여부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기 활용 공간 구성 및 디지털 기기 활용 콘텐츠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먼저 구체적 조작기인 초등학생임을 고려하여 디지털 기기 위주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였다. 디지털 기기 활용 공간은 기반 기기로 컴퓨터(노트북), 유 무선 인터넷, 디지털 기기로 3D 프린터 및 3D 프린팅 펜, 스마트폰 기반 VR기기, AR마커, 블록코딩 기반 피지컬 컴퓨팅 교구 등을 이용해서 구성하였다. 활용하는 콘텐츠는 학생들의 인식 여부 및 수준에 맞춰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과 학습, 콘텐츠 제작, 문제해결 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 PDF

Design the Lesson using a Digital Media for the Growth Creativity (창의성 신장을 위한 디지털미디어 활용 수업 설계 - 디지털카메라를 중심으로 -)

  • Chun, Byung-Jin;Lee, Jae-I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127-132
    • /
    • 2010
  • 창의성은 21세기 지식기반 정보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정보홍수에서 새로운 정보를 재창조하는 중요한 능력이다. 그리고, 디지털미디어는 현대인들의 가장 빠르고 쉽게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도구이다. 현 교육현장에서는 학습자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이미지와 영상을 투입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교수자의 입장에서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교수학습자료를 투입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가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창의성있게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디지털미디어 중에서 디지털카메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에서 적합한 학습차시를 선택하여 학습자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수업을 설계하여 적용해 보기로 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Digital Capacity and Digital Utilization among Older People (고령층 디지털 정보 역량과 디지털 정보 활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Kim, Yuna;Byun, Angi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3
    • /
    • pp.89-97
    • /
    • 2021
  •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determinants of both digital capacity and digital utilization among older people by using the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Using '2019 Survey of Digital divide', the study ha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erceived usefulness, self-efficacy and confidence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igital capacity; second, not only self-efficacy and confidence but also digital support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igital utilization. By examining the common factors and differential factors which explain digital capacity and digital utilization, it contributes to broadening and deepening knowledge on digital divide and building effective strategies for overcoming digital divide among older people in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Capital: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e Efficacy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과 사회자본의 관계: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 Jun-Su Kim;Woo-Hong Cho;Young-Eun Jang;Kil-Hee Byon;Dea-Hun Choi;Mee-Ky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27-3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정보화기기 중 PC, 모바일 기기 활용능력,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남성보다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았고, 나이가 많은 사람, 월평균 소득이 높은 사람, 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인 PC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pc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경로와 모바일기기 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매개효과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정보화기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육기관의 노력과 단순한 컨텐츠 위주의 교육에서 보다 실용적이고 즉시적인 교육 콘텐츠 전환 등 실천적 노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nd Old People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Focusing on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Future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지능정보사회에서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미래 지능정보기술의 인지와 태도를 중심으로)

  • Choi, A-Reum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2
    • /
    • pp.11-19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life, digital information competency,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wareness of future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need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nfidence in new technology, and attitude to middle and old people classified as vulnerable to digital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raw data of the digital divide survey were used in 2019. Studies have shown that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futur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Group with high awareness of the futur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showed high ability to use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The more people recognize the need for futur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s a factor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life among middle and high-aged people, and the more confident and active their 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new technology,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It is believed that a policy focusing on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and utilization will be needed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middle and old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inclusion.

The Study on the Digital Media Literacy for Knowledge Sharing (지식공유 촉진을 위한 디지털 미디어 활용능력에 관한 연구)

  • Kim, Seong-Hee;Lee, Hyung-Mi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40 no.1
    • /
    • pp.47-67
    • /
    • 2009
  • Digital literacy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iscourses on the knowledge sharing on the campus. This article analyzed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of knowledge-sharing capabilities in the university. As a result, digital literacy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student knowledge-sharing capabilities in the university studied. Results show that video and animation literacy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image literacy is the second-most influential factor for student knowledge-sharing. Those results can be used as a framework for developing digital literacy program.

Analysis of the Vulnerable Class on Digital Divide (디지털 정보격차에 대한 취약계층의 계층별 분석)

  • Sun Hee Kwon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3 no.4
    • /
    • pp.1-19
    • /
    • 2022
  • As the untact culture spreads, the digital divide, which is a problem of access to digital information for the vulnerable, can appear as information inequality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social and cultural field. This study identified the digital divide level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 and analyzed the effect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on the information level. As a result, the higher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he smaller the digital divide and the greater the digital utilization,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devices and increase the ability to utilize them. In addition, the higher the age, the more women than men, and the lower the income level, the greater the digital divide,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digital capabilities through detailed class-specific programs for the vulnerabl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divide and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 vulnerable. The expansion of competency-building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information utilization capabilities by changing the paradigm to a digital inclusion policy should be continuously op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