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 대전환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ndustrial Complex Innovation Plans and Tasks in the Era of Great Transformation (대전환의 시대 산업단지 혁신방안과 과제)

  • Seung-Hee, Lee
    • Journal of Digital Policy
    • /
    • v.1 no.2
    • /
    • pp.41-45
    • /
    • 2022
  •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current address of industrial complexes and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for industrial complexes so far, examin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industrial complexes in the era of great transformation, and then suggest how to innovate industrial complexes, and suggest the plans and tasks. want to report. To summarize the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and innov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which are the main axis of the national economy, a governance system in which the government, regional innovation organizations, and businesses cooperate must be established to transform industrial complexes suitable for the transition period and foster excellent industrial complexes. It is urgent to actively support the policy and budget input of each government department.

Digital twin river geospatial information, water facility modeling, and water disaster response system (디지털 트윈 하천 공간정보 구축, 시설물 모델링 및 수재해 대응 시스템 구축 사례)

  • Park, DongSoon;Yoo, Hojun;Kim, T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6-6
    • /
    • 2022
  • 최근 수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물관리 환경은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피해 심화와 댐과 하천 시설의 노후화 점증, 하천관리일원화 등 정책적 변화, 그리고 포스트코로나 디지털 혁신 등 복합적 대전환 시대 진입에 따라 복잡다단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디지털 트윈은 디지털 대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지능화와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본 국가 시범사업에서는 170 km에 달하는 섬진강 유역 전체를 대상으로 홍수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K-Twin SJ)을 구축하고 있다. 본 플랫폼은 국가 인프라 지능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공간정보와 시설물 모델링, 홍수 분석 등 수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수자원 분야의 다학제적인 강소기업들과 K-water에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의 내용은 섬진강 댐-하천 유역에 대하여 고정밀도 3D 공간정보화, 실시간 물관리 데이터 연계, 홍수 분석 시뮬레이션, AI 댐 운영 최적화, AI 사면 정보 생성, 하천 제방 안전성 평가, AI 지능형 CCTV 영상분석, 간이 침수피해 예측, 드론 제약사항 조사 체계 개발을 포함하고 있다. 물관리 데이터와 하천 시설정보를 트윈 플랫폼 상에서 위치기반으로 시각화 표출하기 위해서는 유역의 공간정보를 3차원으로 구축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GIS 기반의 섬진강 하천 중심 공간정보 구축을 위해 유역의 국가 정사영상과 5m 수치표고모형(DEM)은 최신성과를 협조 받아 적용하였으며, 홍수 분석을 위한 하천 중심 공간정보는 신규 헬기에 LiDAR 매핑을 수행하여 0.5m 급 DEM을 신규 구축하였다. 또한 하천 시설물 중 섬진강댐과 79개 주요 하천 횡단 교량과 3개 보 시설을 지상기준점 측량과 드론 매핑, 패턴 방식의 경량화 작업을 통해 트윈에 탑재할 수 있는 시설물 3D 객체 모델을 제작하였다. 홍수 분석을 위해서는 섬진강 유역에 대해 K-Drum, K-River, K-Flood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AI 하천 수위 예측 학습 모델을 개발하였다. 섬진강 디지털 트윈 유역 물관리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똑똑한 물관리를 구현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Singapore's Smart Nation: Focusing on the Implemental Means of Smart City Initiative (싱가포르 스마트 네이션의 분석과 함의: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의 실행적 수단을 중심으로)

  • Kim, MyungHee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1
    • /
    • pp.1-11
    • /
    • 2021
  • This study focuses on that, unlike evolving smart technology, goals, policies,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elements are tools that do not change in smart city implementation, and by applying the concept of policy implemental mea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gapore Smart Nation Initiative are analyzed, results are derived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this end, literature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case analysis framework with "Smart Nation" as an analysis unit and "project, administration, citizen engagement" as analysis elements. The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tate-led initiative for a major transformation into a digital society.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xecutive agencies directly under the president or prime minister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initiative. Third, complementary programs at the level of detailed strategie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citizen participation as a means of implementa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flow of the recent digital ecosystem should be reflected.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mote a national movement for a great transformation into a digital society where all the people participate.

미래 스마트시티에서의 바이오인식 기술표준화

  • Kim, Jason
    • Review of KIISC
    • /
    • v.32 no.4
    • /
    • pp.135-146
    • /
    • 2022
  • 포스트 코로나시대에는 다가올 디지털 인프라 사회에서의 스마트시티에서 안전하고 편리한 사이버 경제활동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특히 비대면 디지털 환경에서 바이오인식기술의 중요성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바이오인식 관련 국제표준화기구인 ISO/IEC JTC1 SC37(Biometrics)/SC27(Security)과 ITU-T SG17 Q10(ID Management & Telebiometrics) 등 바이오인식기술 국제 표준화 동향과 아시아바이오인식협의회(Asian Biometric Consoritum) 사실 표준화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모바일기기·웨어러블 디바이스 응용분야, 디지털 헬스케어분야, 자율주행 응용분야, 국제공통·국가공용 ID카드분야, 동물보호 공학분야 등 미래의 스마트시티에서 활용될 바이오인식기술에 대한 전망과 함께 관련되는 국제표준에 대한 주요내용과 적용분야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향후 디지털 사회로의 대전환 시대가 도래함에 따른 생체인식기술을 적용한 스마트시티의 발전전망을 고찰하고자 한다.

Approaches to Creating a Digital Encyclopedia of Korean Archaeology (한국고고학 디지털 사전 구축 방안 연구)

  • LEE Choro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2
    • /
    • pp.28-45
    • /
    • 2023
  • Although we have entered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re is currently no system that efficiently collects, manages, integrates, and services a large number of archaeological digital source materials produced as a result of cultural relics research, i.e., an intelligent integrated management and service platform for archaeological academic information. In this regard, the need to build a digital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was confirmed by examining the problem of the Digital Encyclopedia of Korean Archaeology, which is currently available in PDF format on the web, the current status of the publication and use of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and the cases of building digital platforms at home and abroa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general direction for creating a digital encyclopedia of Korean archaeology based on the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which includes quality knowledge information, to reconsider the accessibility of archaeological data in conformity with data access limitations. The application of the series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published since 2001, and the necessity for digital transformation were examined,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data from the archaeological data archiving platforms of Europe, the USA, Japan, and cases of establishing platforms corresponding to specialized encyclopedias from Korea. Based on these, a three-step implementation plan and detailed projects were suggested to create the Digital Encyclopedia of Korean Archaeology. Through this, we proposed the design of metadata for computerized records and the expansion to semantic (meaning-based) data that gives and shows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produced metadata as the implementation tasks to build the Digital Dictionary of Korean Archaeology. It is hoped that such research will help create an integrated intelligent management and service platform for archaeology, raise awareness, and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archaeology to the general public.

ITU-T SG17 텔레바이오인식 국제표준화 동향

  • Jason Kim;Taehyun Kim;Eunjeong Park
    • Review of KIISC
    • /
    • v.33 no.4
    • /
    • pp.89-93
    • /
    • 2023
  • 포스트 코로나시대에는 다가올 디지털 인프라 사회에서의 안전하고 편리한 사이버 경제활동을 구현하기 위해서 비대면 인증수단으로서 텔레바이오인식기술의 중요성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바이오인식 관련 국제표준화기구인 ITU-T SG17 Q10(ID Management & Telebiometrics)에서 추진중인 반려동물 개체식별 인증서비스, 헬스케어 응용서비스, 인공지능서비스에서의 생체정보 보호기술 등에 관한 텔레바이오인식기술 표준화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향후 디지털 사회로의 대전환 시대가 도래함에 따른 동물 개체식별 인증서비스, 디지털 헬스케어 응용서비스, 주율주행 응용서비스 등 폭넓게 생활속에 적용되고 진화하고 있는 텔레바이오인식기술 국제표준화 추진현황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Designing a Digital Competency-enhancing Education Model for the Digitally Underprivileged -Focused on the Case of Chungcheongnam-do-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디지털역량 강화 교육 모델 설계 -충청남도 사례 중심-)

  • Lee, Keun-Ho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1
    • /
    • pp.73-78
    • /
    • 2022
  • Due to COVID-19, the digital transformation centered on unmanned and non-face-to-face is accelerating. Like a digital civilization, it is changing into a digital age, but for those who cannot use digital, the inconveniences in daily life are falling to the level of digital illiteracy. There is a social gap between digital users and non-users, and digital non-users are separated from society. For the digital socialization of the digitally underprivileged,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world is accelerating, and the ability to use digital in everyday life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world accelerates, individual social and economic differences are occurring. These problems are hindering the sustainable growth of society. In this study, in order to receive digital education conveniently, we intend to design an education model with excellent accessibility as an education that can be received by all citizens. It is intended to propose a digital education model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and solve the inconvenience of life through digital comprehensive competency education that can be received step by step and can be easily received.

The use of iTokTok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측면에서 아이톡톡의 활용)

  • Eun-Ji Kim;Young-J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237-238
    • /
    • 2023
  •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역량을 함양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디지털 대전환에 중점을 두고 지능정보기술 활용과 디지털 학습 환경 구축을 강조하고 있다. 경상남도 교육청에서는 미래교육 환경 구축을 위해 빅데이터-AI 플랫폼 아이톡톡을 개발하여 이에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측면에서 아이톡톡의 활용을 살펴보았다.

  • PDF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Productive Failure (생산적 실패 기반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 Dagyeom Lee;Youngj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217-218
    • /
    • 2023
  • 인공지능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핵심적인 기술로 사회 전반에 변화를 주도하였다. 우리나라는 인공지능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역량을 길러주기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은 체험 및 놀이 실습으로 한정되어 교육적 효과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생산적 실패를 활용하여 인공지능에 대한 개념적 이해 및 실생활 전이를 촉진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이며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 역량과 실생활 연계 교육을 반영하여 설계한 6차시 분량의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은 향후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거쳐 현장에 적용하는 후속 연구로 이어질 것이다.

  • PDF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 Moon, Young-Im;Lee, Seong-Gyu;Kim, Ji-Hye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8 no.4
    • /
    • pp.36-53
    • /
    • 2021
  • Recently, Korean society has emphasized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in each individual's life due to the advent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the great digital trans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ffects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nd whether social suppor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2,200 people with disabilities taken from the 2020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hen they are employed and have a higher than average monthly income and higher levels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social support.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 played a negative moderator role betwee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This shows that life satisfaction can increase when the disabled frequently use digital devices and technologies in their daily lives without relying on social support, and suggested the need for intervention in policies and practice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