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정보 활용

Search Result 3,31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 Life Satisfaction (디지털정보화와 일상생활만족도의 관계: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 효과 분석)

  • Kim, Ban-Ya;Kwon, Jong-Sil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9 no.2
    • /
    • pp.91-105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digital informatization (i.e. access, skill, utilization)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re also tested. The '2020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referenc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findings show that in general, digital informatization contributes to improving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medi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magnitudes of the effects of digital informatization and mediation effect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igital informatization. This study support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for a digital informatization policy and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that helps establish and promote digital informatization policies. In addition,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inform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A Study on Social Tagging for Promoting Users' Participation in Digital Archives (디지털 아카이브의 이용자 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소셜 태깅 활용 방안 연구)

  • Park, Hee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4 no.3
    • /
    • pp.269-290
    • /
    • 2017
  •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framework for promoting active engagement of users in digital archives through social tagging. It analyze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volved with digital archives, and the user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through social media. The analysis explored the aspects of social tagging in terms of communic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in digital archives. Based on the analysis and reviews, it developed the model of social tagging for user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n digital archives. The study proposed the application of open and game platforms for promoting active engagement of users in digital archives through social tagging.

A Study on the Application Environment and Utility of Mulitimedia Contents in Digital Library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응용환경과 활용에 관한 연구)

  • 문경화;남태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1 no.2
    • /
    • pp.107-126
    • /
    • 2004
  •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igitalization in these days, information network of library has been accomplished rapidly. The use and concern on Multimedia contents are increasing in the digital library based on information network.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definition of Multimedia contents and analysed the contents services and contents management for the use of Multimedia contents in digital library. As a result. the effect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important for changing of information environment. Moreover, the multimedia which are resources whose information demand of the user is various contents with it is changing the possibility of knowing it was with application.

A Research on Personalized Advertising using a Smartphone connected to Multimedia Digital Devices (멀티미디어 디지털 기기와 연결되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광고 연구)

  • Kang, MinGu;Kim, ByungJoo;Kim, HyunIl;Jung, Minjae;Lee, Seokkee;Ro, Kw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331-33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디지털 기기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을 통한 개인 맞춤형 광고에 대해 연구하였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TV, 인터넷, 디지털 사이니지 등 광고를 적용 할 수 있는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지만, 광고를 대처하는 방법은 광고에 나오는 정보를 검색해서 구매하는 방식을 넘어서는 크게 발전하지 않았다. 이러한 발전의 제약을 해소하고자 광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기에서 보여주는 광고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정보를 전달해주고 어플리케이션은 광고에서 받은 정보를 자신의 선호도 및 필요정도에 따라 저장 및 구매까지 바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향후 와이파이 통신 연결 개발을 통해 1:1 통신이 아닌 1:다(多)인 연결로 광고 정보를 전달하여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광고에 대한 정보를 활용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해외지역 연구를 위한 지식지도시스템 설계

  • Kang, Ji-hoon;Moon,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335-337
    • /
    • 2014
  • 최근에 디지털융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디지털융합의 한 분야인 전자문화지도는 연구자들의 학문연구방법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전자문화지도는 특정지역의 문화를 나타내기 위해 지도를 인터페이스로 활용하여 점, 선, 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도위에 정보화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지도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특정지역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지도시스템을 설계한다. 세부적으로 해외지역 가운데 지중해지역을 중심으로 시스템을 설계하며 지중해지역과 관련된 연구결과물에 대한 요약정보를 주제, 지역, 시간값의 매핑을 통해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학문동향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인문 지역학 연구자들의 연구방법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a Personalized Mobile Advertising Model with Digital Signages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개인형 모바일 광고 모델 연구)

  • Song, Jihye;Lee, Mihee;Jin, Taewoo;Ro, Kw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441-44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스마트폰간의 양방향 광고 및 정보 전송이 가능한 차세대 광고 모델을 제안한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옥외라는 공간의 특성상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짧은 시간 동안 주목을 유도해 광고를 노출시켜야 하고 설명형 광고 표출이 어려운 공간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반면 스마트폰은 사용자들과 물리적으로나 심리적 거리상으로 가장 밀접한 위치에 있고 언제 어디서나 무선인터넷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어 광고효과가 뛰어난 매체이다. 따라서 디지털 사이지니 앞을 지나가며 관심있는 정보나 광고를 스마트폰으로 전송 받고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스마트폰으로 본다면 디지털 사이지니 광고매체의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개인형 모바일 광고에 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고, 향후 실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 PDF

Research Trend Analysis of Digital Divide in South Korea (디지털 정보격차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Ko, Jeonghyeun;Kang, Woojin;Lee, Jongwook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2 no.4
    • /
    • pp.179-203
    • /
    • 2021
  •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key issues and the direction for digital divide research in South Korea. Based on the 488 KCI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3 and 2020, the authors analyzed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articles per year and the subject areas of journals. Furthermore, the topic modelling and keyword network anlaysis were applied to identify the subjects of research. The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ble trend for a while after the number of articles had increased by the year of 2007, and then there has been a sharp increase since 2019. Second, digital divid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rom diverse fields including social science, multidiscipline, and engineering. Third, the six subject areas were identified which are 'digital divide among regions', 'digital divid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technical environment of digital divide', 'divide from information use and its consequence',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of digital divide', and 'digital divide of the elderly'. Finally, it was shown that the areas of 'divide from information use and its consequence' and 'technical environment of digital divide' have attracted attention recently.

Analysis of IFC and Digital QDB for BIM Based Cost Management (BIM기반 공사비 관리를 위한 IFC 및 디지털 수량산출정보 교환표준 비교 분석)

  • Moon, Jin-Seok;Won, Ji-Sun;Kim,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198-1199
    • /
    • 2012
  • 국내에서는 수량산출정보의 전자적인 교환, 납품 등의 활용을 위한 자료구조 및 파일포맷 등을 규격화 하여 디지털 수량산출정보 교환표준을 개발하였다. 국외에서는 IFC 국제표준을 통해 BIM 발주시 데이터 납품 포맷으로 IFC를 활용하고 있으며 건축분야를 중심으로 공사비 정보의 표준 개발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수량산출정보 교환표준의 Type 및 Element와 IFC 국제표준의 공사비 정보 Entity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토목분야 실정에 부합하는 공사비 분야 정보모델 표준개발의 기반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 Moon, Young-Im;Lee, Seong-Gyu;Kim, Ji-Hye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8 no.4
    • /
    • pp.36-53
    • /
    • 2021
  • Recently, Korean society has emphasized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in each individual's life due to the advent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the great digital trans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ffects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nd whether social suppor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2,200 people with disabilities taken from the 2020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hen they are employed and have a higher than average monthly income and higher levels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social support.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 played a negative moderator role betwee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This shows that life satisfaction can increase when the disabled frequently use digital devices and technologies in their daily lives without relying on social support, and suggested the need for intervention in policies and practice sites.

Repertory Grid 방법을 활용하여 디지털콘텐츠 특성 도출

  • Lee, Jeong-U;Park, Se-Beom;Im, Seong-Ju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3-38
    • /
    • 2007
  • 인터넷이 생활의 저변에 확산된 현재의 환경에서 디지털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고 더불어 디지털콘텐츠를 통해 부가가치를 생산해 내려는 산업적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의 장점을 적절히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디지털콘텐츠가 가지는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재로써의 디지털콘텐츠에 초점을 두고 사용자가 디지털콘텐츠를 경험하면서 느끼게 되는 특성을 도출해 내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디지털콘텐츠를 이루는 8개의 element를 찾아내어 각 element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디지털콘텐츠 인식 구조를 도출해내기 위해 Repertory Grid 방법을 수행하였다. 5점 척도로 점수를 부여하는 Repertory Grid 방법으로 인터뷰와 인터넷을 이용한 설문을 동시에 시행하여 피험자로부터 48개의 construct을 도출해냈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는 미리 정의된 특성을 부여하지 않고 순수하게 사용자의 경험으로부터 도출되는 디지털콘텐츠의 특성을 도출해 내었다는 데 있다. 즉 디지털콘텐츠의 본질을 정의하고 분류체계, 품질체계를 규정할 수 있는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