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중.서 3대 지역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nalysis on the Incom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mong the Three Major Areas in China (중국(中國) 3대(3大) 지역(地域) 도농(都農) 간(間) 소비격차(所得隔差) 현황(現況) 및 형성원인(形成原因)에 관(關)한 실증연구(實證硏究))

  • Nan, Xuefeng;Jin, Shizh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5
    • /
    • pp.537-548
    • /
    • 2010
  • As the rapid development of economy in China, the problem in income gaps become a tough and sensitive social problem. Under this social background, this research try to find the main reasons of the income gap among the East China, West China, and the central China, basing on the analysis of its actuality and forming, and then put forward some solution plans. The research shows that in different development levels of China influencing factor of urban-rural income gap is also different. Take East China for example, the education support plays an important part of narrowing income gap. The influence of education support on urban-rural income gaps more significant than industrialization, what is more, its influence has the more reinforce trend, while in the less developed central and western part in China, what can narrowing income gap significantly is industrialization and the support for agricultur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com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China radically, it is not enough to perform medical insurance reform and social insurance reform in the whole county. Besides this, we should perform other kinds of reformation countermeasures which have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example, in eastern, the regional governments should reinforce the education system; in central china, they should focus on developing industry; in western, the regional governments should increase the expense to support the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so on. With these countermeasures, they could not only relieve th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China, but also ensure to develop economy substantially and stably in the whole country.

  • PDF

Geological Structure of Precambrian to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in the Janggunbong area, Korea-Crustal evolution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장군봉지역 선캠브리아대-고생대 변성퇴적암류의 지질구조-북부 소백산육괴의 중앙부지역의 지각진화와 환경지질)

  • 강지훈;김형식;오세봉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3
    • /
    • pp.224-259
    • /
    • 1997
  • The Janggunbong area(this study area) at the central-south part in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consists mainly of Precambrian(Wonnam and Yulri Formations)-Paleozoic [Joseon Supergroupuangsan Quarzite, Dueumri Formation and Janggun Limestone) and Pyeongan Group (Jaesan and Dongsugok Formations)l metasedimentary rocks and Mesozoic granitoid(Chunyang granite). This study is to interpret geological structure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in the Janggunbong area by analysing rock-structure and microstructure of the constituent rocks. It indicates that its geological structure was formed at least by four phases of deformation after the formation of gneissosity(S0) in the Wonnam Formation and bedding plane(S0) in the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The first phase deformation(D1) formed tight isoclinal fold(F1). Its axial plane(S1) strikes east-west and steeply dips north. Its axis(L1) subhorizontally plunges east-west. The second phase deformation(D2), which was related to ductile shear deformation, formed stretching lineation(L2) and shear foliation(S2). The sense of the shear movement indicates dextral strike-slip shearing(topto-the east shearing). The third phase deformation(D3) formed open inclined fold(F3). Its axial plane(S3) strikes east-west and moderately or gently dips north. Its axis(L3) subhorizontally plunges east-west. The F3 fold reoriented the original north-dipping S1 foliation and D2 shear sense into south-dipping S1 foliation(top-to-the west shear sense on this foliation) at its a limb. The four phase of deformation(D4) formed asymmetric-type open inclined fold(F4) of NE-vergence with NW striking axial plane(%) and NW-NNW plunging axis(L4). The F4 fold partly reoriented pre-D4 structural elements with east-west trend into those with north-south trend. Such reorientaion is recognized mainly in the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 PDF

Structural Analysis of the Danyang Area, Danyang Coalfield, Korea (단양지역의 지질구조)

  • Kim, Jeong Hwan;Koh, Hee Ja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5 no.1
    • /
    • pp.61-72
    • /
    • 1992
  • The Danyang area consists of the thrust and folded sedimentary rocks of Paleozoic and Mesozoic Era. The area is bounded by major tectonic units which are the Gagdong Thrust to the west and the Okdong Fault to the east. According to the structural analyses, the area is affected by polyphase deformation. This study establishes deformational sequence in the area. Mylonite zone along the Okdong Fault corresponds to the first generation of structures ($D_1$). $D_1$-structures are discrete shear zone in the Jangsan Formation and bedding parallel extensional deformation in the Cambro-Ordovician sequences. $D_2$-structures were formed prior to the sedimentation of the Jurassic Bansong Group, which are the NW-trending fold and linear structures. After sedimentation of the Bansong Group, the area is strongly affected by the Daebo Orogeny which produces NE-trending thrusts, folds and linear structures. Earlier structures were tightened and rotated toward NE. Some thrust faults did not propagate into the Bansong Group. It is suggested either the Bansong Group acted as a decoupling horizon or rest on unconformably on the thrust faults. The area is weakly affected by $D_4$-event of which structures are E-W trending folds and faults. The Jugryeong Fault clearly cut the earlier folds and thrust faults. The rocks within the fault zone were sliced and rotated during the strike-slip movements. Block rotation and transpressional features can be commonly observed.

  • PDF

Geological Structure of Precambrian to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in the Janggunbng area, Korea -Crustal evolution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장군봉지역 선캠브리아대-고생대 변성퇴적암류의 지질구조 -북부 소백산육괴의 중앙부지역의 지각진화와 환경지질)

  • Gang, Ji Hun;Kim, Hyeong Sik;O, Se Bong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3
    • /
    • pp.244-244
    • /
    • 1997
  • The Janggunbong area(this study area) at the central-south part in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consists mainly of Precambrian(Wonnam and Yulri Formations)-Paleozoic [Joseon Supergroup(Jangsan Quarzite, Dueumri Formation and Janggum Limestone) and Pyeongan Group(Jaesan and Dongsugok Formations)] metasedimentary rocks and Mesozoic granitoid(Chunyang granite.) This study is to interpret geological structure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in the Jang-gunbong area by analysing rock-structure and microstructure of the constituent rocks. It indicates that its geological structure was formed at least by four phases of deformation after the formation of gneissosity(S0) in the Wonnam Formation and bedding plane(S0) in the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The first phase deformation(D1) formed tight isoclinal fold(F1). Its axial plane(S1) strikes east-west and steeply dips north. Its axis (L1) subhorizontally plunges east-west. The second phase deformation(D2), which was related to ductile shear deformation, formed stretching lineation(L2) and shear foliation(S2). The sense of the shear movement indicates dextral strike-slip shearing(top-to-the east shearing). The third phase deformation(D3) formed open inclined fold(F3). Its axial plane(S3) strikes east-west and moderately or gently dips north. Its axis(L3) subhorizontally plunges east-west. The F3 fold reoriented the original north-dipping S1 foliation and D2 shear sense into south-dipping S1 foliation(top-to-the west shear sense on this foliation) at its a limb. The four phase of deformation(D4) formed asymmetric-type open inclined fold(F4) of NE-vergence with NW striking axial plane(S4) and NW-NNW plunging axis(L4). The F4 fold partly reoriented pre-D4 structural elements with east-west trend into those with north-south trend. Such reorientation is recognized mainly in the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Planting Guidelines for Home Energy Savings (주택 에너지 절약을 위한 식재계획 지침)

  • 조현길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2 no.4
    • /
    • pp.63-74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의 냉방 및 난방에너지 절약을 위한 적절한 식재계획의 지침을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미국 중동부 내륙의 한 도시인 쉬카고(Chicago)의 북서쪽에 위치한 주거지였다. 쉬카고 는 온대 기후대에 속하는 도시로서, 본 연구는 한국 중부지역의 주택들에 있어서 식재를 통해 냉방 및 난방에너지를 절약하고, 또한 그 에너지 절약 으로부터 대기오염물의 배출을 저감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주택의 에너지 절약에 기여하는 주택주변 현존 식생 의 차양(Shading), 증발산 및 방풍의 효과를 모델링하였다. 식재로부터 절 약된 에너지의 총비용은 식생피도가 58.9%인 주거블럭에서 1993년 한해동 안 한 가구당 46.3달러였다. 그 중, 증발산효과가 53.7%, 방풍효과가 26.1%, 차양효과가 20.2%를 각각 차지하였다. 한편, 피도가 36.3%인 주거블럭에서 의 연간 총 에너지 절약은 가구당 8.6달러였다. 식생피도가 높은 주거지에 서 식재에 의한 에너지 절약의 효과는 더욱 증대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존 수목은 부적지에 위치되어 겨출철에 주택내로의 광선의 입자를 차단 함으로써 난방에너지의 요구를 증가시켰다(수목 한 개체당 최대 6달러). 차 양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주택건물의 남쪽가까이에서는 교목의 식재 를 가급적 회피하고, 수관이 가능한 한 넓은 교목을 주택건물의 서쪽과 동 쪽가까이에 식재하여야만 한다. 증발산과 방풍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건 물의 북쪽, 북동쪽 및 북서쪽에서의 고밀도 식재가 요구된다.

  • PDF

The Changes of Coastal Water Level due to the Development of Mokpo Harbor and Construction of Daebul Industrial Complex (목포항 개발 및 대불 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연안해역 해면변화)

  • 정명선;이중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1991.06a
    • /
    • pp.37-44
    • /
    • 1991
  • 영산강 하구언 방조제의 건설로 인한 항만 및 이의 인접해역 해면의 변화는 예상한 바 있으며 실제 여러개소에서 월 2회정도의 주기로 목포 구항부근 상업지역에서 해면상승에 따라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목포항의 영산강 하구언 방조제 조성으로 인한 조류성분중 최고기록을 가진 수로에서는 6kts 정도로 감소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주위자연환경 변화에 따른 수면 상승 및 해수면의 주기적인 변화 등에 대한 상세한 언급 및 깊이 있는 분석은 회피되어왔다. 수자원의 효율적관리를 위해 하구언 방조제는 이미 건설되었고 앞으로 대규모의 항만개발과 대불산업단지조성을 위해 추가 3개의 만입해안해역에 댐으로 해역을 막아 매립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에 대한 분석은 타당성의 여부만을 강조한 상업적 용역이 이루어지고 있고 장래 개발에 대해 학술적이고 실질적인 문제점 추출과 해결방아네 대해서는 무시하거나 경시한 바가 많다 더구나 태풍 저기압 등과 같은 자연재해를 고려한 분석은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개발전후의 현상에 대한 상세한 자료 및 현장 조사와 극한 상태를 고려하여 개발에 따른 수위상승 부진동, 조류 수질등 이해역의 변화요소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과학적 접근방법에 기초를 둔 수치모델의 실험을 포함하여 현장관측 및 측정자료를 검증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사료되어 종합분석의 한단계로 여기서는 하구언 및 하구간척(Land Reclamatic of Estuary barren)으로 해역축소에 따른 해면변화의 실제현상을 조사하여 정리하고 이를 수치모델을 통해 시뮬레이션하여 보았다 이는 종합개발의 좋은 기초자료로 이용됨은 물론이로 이지역의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본다.적절하게 가정된 지반의 응력-변형률 관계와 간극수압특성에 의하여 고려되었다. 그 결과 응력 및 변위가 심하게 발생하는 지역은 황색 점토층이었으며 이로부터 황색 점토층에서 부터 파괴면이 생성되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form trap with 2.88[eV] deep of injected space charge from the chathode in the crystaline regions. The origin of ${\alpha}$$_2$ peak was regarded as the detrapping process of ions trapped with 0.9[eV] deep originated from impurity-ion remained in the specimen during production process of the material, in the crystalline regions. The origin of ${\beta}$ peak was concluded to be due to the depolarization process of "C=0"dipole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0.75[eV] in the amorphous regions. The origin of ${\gamma}$ peak was responsible to the process combined with the depolarization of "CH$_3$", chain segment,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ca

  • PDF

Neotectonic Crustal Deformation and Current Stress Fiel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A Review (한반도 신기 지각변형과 현생 응력장 그리고 지구조적 의미: 논평)

  • Kim, Min-Cheol;Jung, Soohwan;Yoon, Sangwon;Jeong, Rae-Yoon;Song, Cheol Woo;Son, Moo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3
    • /
    • pp.169-193
    • /
    • 2016
  •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Neotectonic crustal deformation and current stress fiel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to interpret their tectonic implications, this paper synthetically analyzes the previous Quaternary fault and focal mechanism solution data and recent geotechnical in-situ stress data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rustal deformations and tectonic settings in and around East Asia after the Miocene. Most of the Quaternary fault outcrops in SE Korea occur along major inherited fault zones and show a NS-striking top-to-the-west thrust geometry, indicating that the faults were produced by local reactivation of appropriately oriented preexisting weaknesses under EW-trending pure compressional stress field. The focal mechanism solution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isclose that strike-slip faulting containing some reverse-slip component and reverse-slip faulting are significantly dominant on land and in sea area, respectively. The P-axes are horizontally clustered in ENE-WSW direction, whereas the T-axes are girdle-distributed in NNW direction. The geotechnical in-situ stress data in South Korea also indicate the ENE-trending maximum horizontal stress. The current crustal deform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s thus characterized by crustal contraction under regional ENE-WSW or E-W compression stress field. Based on the regional stress trajectories in and around East Asia, the current stress regime is interpreted to have resulted from the cooperation of westward shallow subduction of the Pacific Plate and collision of Indian and Eurasian continents, whereas the Philippine Sea plate have not a decisive effect on the stress-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its high-angle subduction that resulted in dominant crust extension of the back-arc region. It is also interpreted that the Neotectonic crustal deformation and present-day tectonic setting of East Asia commenced with the change of the Pacific Plate motion during 5~3.2 Ma.

The Diversity of Reproductive and Foraging Behaviors on Breeding Season of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검은머리물떼새의 번식행동 및 번식기 섭식행동의 다양성)

  • Yoon, Moo-Bo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7 no.6 s.122
    • /
    • pp.383-390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ites, Si-Hwa Lake, Dongman and Seoman island and Janguyeop island, from march, 1999 to september, 2002. The behaviors of pre-breeding season, territorial behaviors, reproductive ecology, foraging sites and behaviors, and the competition of reproduction and foods between intraspecific or interspecific of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were observed in each studying sites. The breeding of Eurasian Oystercatcher started on the middle of April in Si-Hwa Lake and on the middle of May in Dongman and Seoman island and Janguyeop island. For intension of pair bond on pre-breeding season, Eurasian Oystercatcher foraged with pair and behaved male-female chasing flight behavior. The pair foraged with male and female before copulation. If other pairs and individuals approached in feeding site of pair, this pair attacked them with piping calling and intruder chasing flight. If continuos serial behaviors were not observed, the discrimination of male-female chasing flight and intruder chasing flight was difficult. Territorial behaviors classified four types; butterfly flight, calling behavior, chasing behavior, fight behavior. The important foraging sites in Si-Hwa Lake are the land place in Daeboo island, tidal flat of Bangameori, tidal flat a front of a stationary net for catching fishes and tidal flat a front of a view station for bird watching. Eurasian Oystercatcher foraged at tidal flat on low water of the tide and foraged at feeding sites near island on flood tide in Dongman and Seoman island. Eurasian Oystercater in Janguyeop island usually foraged feeding sites near island, because water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low water of the tide and flood tide. Eurasian Oystercatcher competed on foods of intraspecific and interspecific. They chased for taking foods by force in feeding sites and drove out intruders in feeding sites. The foods interspecific competition happened with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Eurasian Oystercatcher was robbed of foods and attacked by Black-tailed Gull. The individual of food competition with Black-tailed Gull was low foods intake rate comparison with other feeding sites and this individual flied out other feeding sites.

Geology and Mineralization of East Africa Rift System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지질 및 광화작용)

  • Koh, Sang-Mo;Lee, Gilljae;Kim, Eui-Jun;Ryoo, Chung-Ryul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4
    • /
    • pp.331-342
    • /
    • 2013
  • 동아프리카 열곡대는 아라비아반도와 아프리카 북동부의 경계에서 부채꼴 형태로 남쪽으로 뻗은 대단층 함몰지구대이다. 아프리카 판 내부에 발달한 열곡대의 폭은 35~60 km이며 연장은 약 4,000km로 알려져 있다. 열곡대는 에티오피아에서 남서방향으로 발달하다 에티오피아 남부에서 동, 서 및 남서 열곡대로 나누어진다. 이 열곡대는 제3기초 올리고세(30~35 Ma)부터 에티오피아 북부 아파르 침강대를 중심으로 주 에티오피아 열곡대가 형성되고, 남쪽으로 확장되면서 마이오세에 활성화된다. 서부 열곡대는 동아프리카대지의 가장자리와 빅토리아 호의 서편을 따라 발달하며, 고각의 정단층에 의해 특징되는 전형적인 반지구대이다. 동부 열곡대(주 에티오피아 열곡대와 케냐 열곡대)는 30 Ma 전 화산활동과 지구조활동이 시작되었으나, 서부 열곡대는 Albert 호 북부에서 12 Ma 전에, Tanganyika 열곡에서는 7 Ma 전부터 시작되었다. 서부 열곡대의 남서 방향으로 분기된 남서 열곡대는 DR-콩고 남부와 잠비아의 Tanganyika 호에서부터 남서 방향으로 확장되어 보츠와나 Okavango 열곡대와 연결된다. 주 에티오피아 열곡대(MER)의 화산암류와 관련 퇴적암류는 지열, 소다회, 포타쉬(K), 천열수 금, 벤토나이트, 유황 및 부석자원으로 중요한 관련암으로 역할을 한다. 열곡관련 대표적인 광상으로는 Afar 열곡대에 분포하는 Danakhil K-광상과 Megenta 및 Blackrock 천열수 금광상이다. Danakhil K-광상은 제4기 화산활동과 높은 지열류에 의해 열곡대 내 분포하던 소금 선상지(salt fan)에서 증발작용에 의해 형성된 증발형 K-광상으로서 총 자원량은 약 12.6억톤으로 평가되었다. 이 광상에서는 4종의 K-광물인 실바이트, 카날라이트, 포리하라이트, 카이나이트가 산출한다. 아파르 침강대 내 분포하는 대표적인 천열수 금광상은 텐다호 지구대에 위치하는 Megenta 및 Blackrock 광상이다. 제4기에 EMR에서 산성의 과알칼리 화산활동에 의해 열수활동이 초래되어 현재까지도 활동하여 지열대가 형성되고, 저유황형금 광상들이 형성되었다. Megenta 저유황형 금 광상은 2009년 발견되었으며, 현재 영국의 Startex International사에 의해 탐사가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의 탐사 결과 옥수질 규화 변질암 분포지에서 5개의 광체가 분포하며, 그중 Hyena 광체에서는 규화 변질된 열수각력암에서 최고 16.75 g/t의 금 품위가 보고되었다.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서편인 부룬디에 분포하는 Gakara REE 광상은 카보너타이트 유형의 REE 광상이다. 이 광상은 $400km^2$ 면적 내 수 cm부터 수 m까지의 폭을 가지는 맥상 또는 망상세맥상의 광체를 형성한다. 주로 조립의 바스트너사이트와 모나자이트로 구성된다. 바스트너사이트의 형성시기는 $587{\pm}4Ma$인 신원생대로 알려져 있으며, 이 지역에 분포하는 카보너타이트와 알칼리암들이 신원생대에서 신생대까지의 광범위한 연대를 보이는 것은 동일한 구조선을 따라서 일어나는 반복되는 열곡활동으로 해석된다. 또한 REE, U, 인회석 자원의 관련암체로 생각되는 알카리 조면암(네펠린-조면암 포함)과 카보너타이트는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남동부 끝자락인 말라위와 모잠비크에 우세하게 분포한다.

Application of Moving Design Storm for Rainfall-Runoff Simulation (이동설계강우의 적용성 연구)

  • Oh, Kyoung-Doo;Lee, Soon-Cheol;Ahn, Won-Sik;Jun, Byong-Ho;Ryu, Jae-H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44-248
    • /
    • 2008
  • 홍수량산정과 관련하여 국내 실무에서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문제는 설계강우의 결정이다. 설계강우와 관련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강우의 시간분포(예를 들면 Huff, Mononobe, 교호블록 등), 강우의 공간분포(ARF 적용 등)의 두가지 문제로 집약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우의 시간분포와 공간분포에 관련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호블록형 이동설계강우에 대한 적용 방법을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연구된 강우의 이동속도와 여름철 저기압기단과 태풍의 이동속도 등을 감안하고 나아가 표준화된 방법으로서 적용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강우의 이동속도 $\upsilonv\;=\;10km/hr$, $\Delta\;=\;10km$ 간격으로 직사각형 띠 형태로 연결되는 이동강우를 채택하였다. 강우의 이동방향은 서$\rightarrow$동, 남$\rightarrow$북, 남서$\rightarrow$북동의 3가지 방향을 기준하였다. 유역특성 이동강우 3가지(서$\rightarrow$동, 남$\rightarrow$북, 남서$\rightarrow$북동)와 정체강우 2가지(유역평균, 유역특성) 등 총 5가지 경우에 대하여 100년 빈도 48시간 설계강우를 한강유역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체강우에 있어서 유역평균강우와 유역특성강우에 대한 홍수량 비교를 통하여 해당 유역의 홍수량과 강우량과의 관계를 판단할 수 있었다. 충주댐유역의 경우 한강유역 전체에 대한 평균 100년 빈도 강우가 내린다면 23,000cms까지도 발생할 수 있으나 충주댐유역 100년 빈도에 해당하는 강우량으로는 18,000cms 정도의 홍수량이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강우량이 적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임진강하류부는 한강유역평균강우 보다 더 많은 강우량이 내림으로 인하여 홍수량이 증가하는 유역임을 알 수 있었다. (2) 이동설계강우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유역이 매우 크거나 매우 작으면 강우의 이동방향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감소해가는 반면에 중규모 유역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한강하구와 같은 대유역의 경우 여러 방향의 유역들이 유출에 기여하기 때문에 강우의 이동방향에 대한 영향이 상쇄되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매우 작은 소유역의 경우는 전체 유역이 단일 강우강도의 영향권에 놓이게 되므로 이동방향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정체설계강우와 이동설계강우의 비교를 통하여 한강하구와 같은 대유역의 이동강우에 대한 ARF 효과를 간접 측정할 수 있었다. (4) 정체설계강우 보다 이동설계강우가 오히려 더 큰 첨두홍수량을 발생시키는 유역들이 있었다. 이와 같은 수문현상은 기존 정체형 설계강우로는 분석이 어려운 현상으로서 강우와 유역특성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 필용성을 제기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