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결-용매추출법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추출용매와 농도에 따른 배 페놀성물질의 추출

  • Jang, Sun;Eun, Jong-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8-139
    • /
    • 2003
  •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배의 생산은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고 2010년까지 계속 증가될 전망이다. 한편 재배기술에 의한 미숙, 태풍에 의한 낙과, 수확 후 저장중 손상으로 약 15%의 배가 유실된다. 이러한 상품성이 낮은 배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배를 기능성식품 소재로 이용하고자 배의 페놀성물질 추출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용매와 농도에 따른 추출율을 비교하였다. 신고배 과피를 신선시료, 열풍건조시료와 동결건조시료 3가지 상태로 하여 methanol, ethanol, acetone과 물 추출물을 Folin-Denis법으로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시료의 상태에 따라 추출효율에 약간의 차이를 볼 수 있었는데 신선시료에서 모든 농도범위에서 아세톤의 추출효율이 가장 높았고 메탄올, 에탄올과 아세톤 3용매에서 모두 60∼80% 농도범위에서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다. 그리하여 3가지 용매에서의 최적추출농도를 알아보고자 60∼80% 범위내에서 5%농도 간격으로 페놀성물질을 추출하여 그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메탄올에서는 70%와 75%에서, 에탄올에서는 70%에서, 아세톤에서는 65%, 70%, 75%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신선시료에서 메탄올, 에탄올과 아세톤으로 페놀성물질 추출 시 약 70% 농도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물 추출은 가장 낮은 효율을 보였다. 열풍건조시료에 대한 각용매의 농도별 추출효율은 아세톤의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효율이 떨어졌고 특히 무수 아세톤에서는 그 효율이 물 추출효율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20∼80% 범위에서 아세톤의 추출효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에탄올, 메탄을 순이었다. 아세톤은 40∼60% 범위에서, 에탄올은 60∼80% 범위에서, 메탄올은 60∼99% 범위에서 높은 추출효율을 보여 각각 이 농도범위에서 다시 총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각농도에 따른 추출함량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동결건조시료에서 아세톤에 의한 추출효율은 열풍건조시료에서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고 또한 20∼80% 농도범위에서 메탄올의 추출효율이 가장 낮았고 다음은 에탄올, 아세톤의 순으로 높았다. 물 추출효율은 20% 메탄을 추출효율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메탄올에서는 60∼80%, 에탄올과 아세톤에서는 40∼60% 범위에서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이 농도범위에서 최적의 추출농도를 확인하고자 각 용매와 농도별로 페놀성물질을 추출하여 그 함량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에서는 5% 농도차이가 그 추출효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에서는 40%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 측정되었고 아세톤에서는 50%에서 측정되었다. 따라서 시료의 상태와 상관없이 배 과피의 페놀성물질 추출용매로는 40∼70%의 함수 아세톤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Application of Abelmoschus manihot jinhuakui Extracts as Cosmetic Ingredient (금화규(Abelmoschus manihot jinhuakui)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 Jeon, Yun-Hong;Kang, Sang-Mo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10
    • /
    • pp.290-297
    • /
    • 2020
  • This study focuses on figuring out the possibility of cosmetics raw materials, especially the A. manihot jinhuakui, The viscosity of the frozen-dried extracts were all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ded concentration, and the high viscosity of the WF extracted with water-based alkaline solvent was confirmed. We used snail mucus to compare the viscosity of the A. manihot jinhuakui. We generated the emulsions of experimental groups with 10% of freezing and drying A. manihot jinhuakui and control group emulsions with 10% of freezing and drying snail mucus. By the results, it shows that the WF experimental group had the highest incremental viscosity rates as 129,200 cPs. In the elastic changes and moisture measurement of the skin, the A. manihot jinhuakui extracts growth rate was the highest more than snail mucus. It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cosmetics raw materials in A. manihot jinhuakui,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properties of natural products.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Mistletoe Cultivated on Prunus mume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 Heo, Jeong Won;Azad, Md Obyedul Kalam;Park, Cheol 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83-83
    • /
    • 2018
  • 최근 매실나무를 기주로 한 겨우살이의 인공재배에 성공함에 따라, 식 의약품과 화장품의 소재 및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80% 에탄올 및 증류수 초음파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인공재배한 매실나무겨우살이(동결건조) 및 강원도 홍천에서 채취한 자연산 굴참나무겨우살이(열풍건조, $30^{\circ}C$, 7day)의 80% 에탄올, 증류수 초음파추출물에 대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함량 그리고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시료의 농도에 비례하여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매실나무겨우살이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5,000ppm에서 $192.63{\mu}g/ml$로 가장 많았으며, 굴참나무겨우살이의 물 추출물이 100ppm에서 $4.86{\mu}g/ml$로 가장 낮고 매실나무겨우살이가 모든 용매에서 더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굴참나무겨우살이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5,000ppm에서 $83.59{\mu}g/ml$로 가장 높았으며, 매실나무겨우살이 물 추출물이 $4.6{\mu}g/ml$로 가장 낮았고 굴참나무겨우살이가 모든 용매에서 더 많은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80% 에탄올 추출물 5,000ppm에서 매실나무겨우살이 81.75%로 시료 중 가장 높았고, 굴참나무겨우살이 물 추출물 100ppm이 3.55%로 가장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겨우살이를 초음파추출법으로 추출할 때, 80% 에탄올 초음파추출물이 더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여 80%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비교적 적합하였다. 80% 에탄올로 초음파추출 하였을 때 동결건조 한 매실나무겨우살이가 열풍건조한 자연산 굴참나무겨우살이보다 더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고, 더 높은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보여줌에 따라 식 의약품 그리고 화장품의 소재화 및 산업화의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Flavour of Garlic Extract (마늘 추출물의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 Park, Chul-Jin;Kim, Sang-Duk;Oh, Sung-Ki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5 no.6
    • /
    • pp.593-595
    • /
    • 1993
  • The volatile components of garlic extracts were investigated. For experiment both crushed- and sliced-garlic were dried by air-drying and freeze-drying methods, followed by ether extraction. The extracts were analysed by GC and GC/MS. Sliced- and freeze-dried garlic extracts showed larger number of volatile components than crushed- and air-dried garlic extracts. The volatile components, allyl propyl disulifde, 2-vinyl-1,3-dithiane, 3-vinyl-〔4H〕-1,2-dithiin, 1,2-Bis (allyl)disulfane were found in sliced- and freeze-dried garlic extracts, methyl allyl trisulfide and 2,4-methyl furane in sliced- and air-dried garlic extracts, and disulfide in crushed- and air-dried garlic extracts.

  • PDF

Extraction of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from Zostera marina Based on Ionic Liquids and Deep Eutectic Solvent (이온성액체와 Deep Eutectic Solvent를 사용한 잘피에서 카페인산과 로즈마리산의 추출)

  • Lee, Yu Ri;Lee, Yu Jin;Row, Kyung Ho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2 no.4
    • /
    • pp.481-485
    • /
    • 2014
  • The applicability of the dipping, ultrasonic-assisted, heating methods to the extraction of useful components from Zostera marina was investigated. For the increase of the extraction yield of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from Zostera marina, ionic liquids and DES were used as additives in the extraction solvent.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found: dipping extraction, methanol as extraction solvent, 0.005 g of freeze-dried material powder, 5 mL methanol, 30 min and 0.5 g of DES-3 ($Et_4NCl$ and phenol) as additive. As a result, 0.19 mg/g of caffeic acid and 8.48 mg/g of rosmarinic acid were obtained. This method is simple and sensitive, and has been applied successfully to determine the component of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in Zostera marina an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S were used as additives is more suitable than traditional extraction for the extraction of useful components from Zostera marina.

Quality Properties of Conger Eel (Conger myriaster) Oils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Conventional Methods (초임계 이산화탄소 및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붕장어(Conger myriaster) 오일의 품질특성)

  • Park, Jin-Seok;Cho, Yeon-Jin;Jeong, Yu-Rin;Chun, Byung-Soo
    • Clean Technology
    • /
    • v.25 no.4
    • /
    • pp.275-282
    • /
    • 2019
  • In this study, the extraction of Conger myriaster oil by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2) and organic solvent was investigated. The extraction conditions conducted for SC-CO2 varied for pressure (25, 30 MPa) and temperature (45, 55 ℃), while the SC-CO2 flow rate was kept constant during the experiment (27 g min-1) and hexane was used as a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The extraction yield indicated that the best extraction condition would be SC-CO2 at 55 ℃ and 30 MPa, resulting in the highest yield of 37.73 ± 0.14%. The oils were characterized for their fatty acid (FAs) composition using gas chromatography, while it was revealed that the major FAs were mystric acid, palmitoleic acid, oleic acid, electro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The oxidation stability of the extracted C. myriaster oil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free fatty acid. The best oxidative stability was obtained from SC-CO2 extracted oil at 30 MPa and 55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lor properties of the SC-CO2 and hexane extracted oils, with the SC-CO2 extracted oil showing better chromaticity than the oil extracted using hexane. Extracting oils from C. myriaster with SC-CO2 could bring better economic benefits than using organic solvents. Whe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as used, there was no post-treatment process;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is is a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oil extraction method.

무순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 한진희;문혜경;김종국;김귀영;강우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98-98
    • /
    • 2003
  • 무순에는 비타민 C가 많이 들어 있어 겨울철 비타민 공급원뿐만 아니라 디아스타제라는 효소가 들어 있어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외에도 거담제 및 건위제 작용을 하고 음주로 인한 토혈해소, 천식에도 좋아 약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가치는 적지만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 할 수 있으며 소화를 촉진시키는 무순, 또는 무싹기름이라고 일컬어지는 무순을 추출용매에 따라 생리활성 효과 분석하고 영양학적 가치가 가장 높은 시기의 무순을 선택함으로써 올바른 섭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그 기능성을 확인하여 기능성 식품소재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을 검토하고자 하고자 한다. 무순을 4일, 8일, 12일에 따라 incubator에 배양하여 시기별로 채취하여 동결건조 한 후 70% Ethanol, 80% Methanol, 75% acetone, 열수로 환류 추출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각 용매 추출물에 대해 DPPH free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는 acetone 추출물에서 89.18%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냈으며 각각의 추출용매에서 성장 4일과 12일의 무순에서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pH 1.2의 조건에서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고, 열수 추출물에서 89.70%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pH 4.2조건에서는 열수추출물의 소거능이 가장 좋았고, pH 6.0 조건에서는 가장 낮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Ethanol 과 Methanol 추출물에서 23.55∼37.41%의 소거능을 보였다. SOD유사활성은 성장 8일에서 모두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성장 4일과 성장 12일의 무순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Methanol 추출물중 성장 12일에서 27.41%의 SOD유사활성을 보였다.ic acid는 28.8∼51.7 mg%, 미강에서 321.4∼438.4 mg%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준 페놀화합물로 카테친을 사용하고 비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오대 현미의 폴리페놀 함량은 78.4 mg%, 남평 현미 88.8 mg% 였다. 도정한 백미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0.3∼56.9 mg%, 미강이 541.5∼472.6 mg%의 범위였다. 이상과 같이 쌀에는 phenolic acid 및 총 폴리페놀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배유보다는 강층에 많이 존재하므로 이들 성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쌀의 섭취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백편의 조직감은 Compression force 와 Work ratio로 대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수분함량은 기계적 검사보다 관능검사와 더욱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내었다. 항균활성이 우수한 생약재를 농도별로 활성을 조사한 결과, 물 추출물과 10% Ethanol 추출물 모두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취와 함께 점질성 갈변물질이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BAAG의 처리는 BAAC의 경우보다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항균력은 우수한 천연 항균복합제재로써 농산물 식품원료에 적용하여 선도유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

  • PDF

Phenolic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cklonia cava Extracted with the Ultrasonic Wave Method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감태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분석)

  • Kim, So Jung;Kim, Donggiun;Park, Jongbum;Lee, Taek-Ky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3 no.7
    • /
    • pp.913-918
    • /
    • 2013
  • The applicability of the ultrasonic wave method to the extraction of useful components from seaweeds was investigated. Extracts from freeze-dried Ecklonia cava powder were prepared with hot water ($65^{\circ}C$), water ($24^{\circ}C$), 50% ethanol, and 100% ethanol, and ultrasonic extraction was also performe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were analyzed, and differences in the data obtained by the ultrasonic extraction and the traditional extraction methods were compared. The phenolic content in the E. cava extract by ultrasonic extraction (142.80 mg/g) was approximately 14 times higher than the phenolic content in the hot water extract (10.03 mg/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nd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ultrasonic extract were approximately 4 times and 14 times higher than the hot water extracts,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enolic content an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2$=99.47) and between the phenolic content and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R^2$=99.99) was very hi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ltrasonic extraction is more suitable than traditional extraction for the extraction of useful components from E. cava.

Fabrication of Poly(γ-glutamic acid) Porous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생체조직공학적 응용을 위한 폴리감마글루탐산 다공성 지지제의 제조)

  • Jeon, Hyeon Ae;Lee, Seung Wook;Kwon, Oh H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13 no.3
    • /
    • pp.35-41
    • /
    • 2014
  • Poly(g-glutamic acid) (g-PGA) is a very promising biodegradable polymer that is produced by microorganism of Bacillus subtilis. Because g-PGA is water-soluble, anionic, biodegradable, and even edible, its potential applications have been studied from an industrial standpoint. In this study, we fabricated porous g-PGA foams by means of a freeze-solvent extraction method for tissue-engineering applications. Porous g-PGA foams were chemically cross-linked using a hexamethylene diisocyanate solution. An aqueous basic solution was used to neutralize g-PGA foam for cell culturing. During an in vitro cell culture study, it was observed that primary rabbit ear chondrocytes were well at tached and spread over the surface oft hree-dimensional cross-linkedg-PGA foam.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cross-linkedg-PGA foam is aprom is in gmaterial for tissue-engineering applications, especially those pertaining to the regeneration of human cartilage.

Antioxidative activities on the extractives of Larix kaempferi Carr. Fallen Needles (일본잎갈나무 낙엽의 추출성분 및 항산화활성)

  • Si, Chuan-Ling;Kwon, Dong-Joo;Kim, Jin-Kyu;Hwang, Byung-Ho;Bae, Young-S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21 no.1
    • /
    • pp.24-33
    • /
    • 2005
  • Fallen needles (8.5kg) of Larix kaempferi were separately collected, extracted with 95% EtOH. EtOH extract was evaporated under reduced pressure, concentrated then successively fractionated with a series of 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acetate and water on a separatory funnel. Then, each fraction was freeze dried. A portion of ethylacetate and water soluble powder were packed on a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eluting with aqueous MeOH and EtOH-hexane mixture. Spectrometric analyses such as NMR and FAB-MS including TLC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structures of isolated compounds. 5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fallen needles of Larix kaempferi.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ach fraction and isolated compounds were done by DPPH radical scavenging 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