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면접합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건설도면 자료의 수치지도 갱신을 위한 좌표체계 부여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oordinate Transformation for Updating of Digital Map from Construction Drawing Data)

  • 박승용;이재빈;박우진;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81-288
    • /
    • 2009
  • 수치지도를 최신의 데이터로 갱신하기 위한 방법론 중 건설도면을 이용하는 경우 CAD 데이터에서 필요한 객체를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건설도면에 존재하는 가상좌표로 이루어진 연속객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선결조건으로 각 도면마다 분리되어진 객체를 접합하고 좌표를 부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합리적으로 도면의 신축보정 및 축척 간 접합 등을 처리할 수 있는 기법의 개발과 CAD 좌표에서 실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론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OC 건설 도면 중 준공도면으로 이루어진 도면 특히, 가상좌표계로 구성되어진 도로의 종평면도에 존재하는 객체들의 변환 및 활용을 위한 도면 간 접합을 2차원 등각사상변환방법과 부등각사상변환방법을 도입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도면간 이음선과 좌표경계선의 교차점을 접합점으로 하여 2차원 변환계수를 추출하고 이를 접합한 후 도면에 명시된 기준점을 이용 CAD좌표계에서 실좌표계로의 좌표변환방법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도면접합에는 2차원 등각사상변환방법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실좌표계로의 변환은 2차원 부등각사상변환이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변환 후 위치오차는 수치지도 작성내규를 만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방법론은 추후 건설도면을 이용한 수치지도 갱신에 있어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적도와 임야도접합을 위한 좌표변환방법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Coordinates Transformation Methods on Parcel and Forestry Map Connection)

  • 강준묵;조성호;김성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05-413
    • /
    • 2002
  • 연속지적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으로 도면의 신축보정, 도곽접합, 행정구역 접합, 축척 간 접합 등을 처리할 수 있는 기준의 설정이 무엇보다 중요한 선결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번부여지역단위 임의 도곽으로 작성된 임야도의 행정구역간 경계의 필지접합 및 지적임야도 접합에 2차원 비선형좌표변환방법인 사영투영과 부등각사상변환방법 및 다항식변환방법을 도입하여 행정구역 경계선상 또는 임야사정선상 굴곡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2차원 좌표변환계수를 추출하고 연속지적도 작성을 위한 도면접합에 좌표변환방법의 활용을 시도하였다.

지적도 정비를 위한 도곽접합의 효율적 활용방안 (A Study on the Effective Utilization Approach of Boundary Integration for Cadastral Map Maintenance)

  • 박형래;정구하;백성준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3권2호
    • /
    • pp.39-52
    • /
    • 2023
  • 지적도는 중요한 공문서로 재산권에 영향을 미치며, 100년 이상 사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했다. 오래된 지적도면의 훼손, 마모, 재작성 과정의 오류 누적으로 정확성이 떨어졌고, 전산화 과정에서 이 오류들이 남아 도면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국 지적도‧임야도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나, 수정에는 기술적, 법적 난제가 있다. 본 연구는 도면 유지보수의 기술적 측면을 다루며, 도곽접합을 선행하여 오류를 줄이고 정비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 도곽접합을 선행할 경우, 평균 거리차이가 22.56cm에서 8.12cm로 감소하고 정비율이 10% 이상 상승함을 확인했다.

접합부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전단접합 설계 프로세스 개선 (Improvement of Shear Connection Design Procedure using Connections Standardization Database)

  • 김희동;황인규;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81-89
    • /
    • 2014
  • 국내에서 진행되는 전단 접합부 상세 설계 프로세스를 고찰한 결과 구조 설계자와 제작도면 작성자 및 제작자간의 상호 정보 교류에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 진행상에서도 불필요한 업무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접합부 상세 설계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구조설계자가 접합부 구조설계부터 최종 도면화 작업까지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개선된 설계프로세스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해 강구조건축 접합부 표준상세 지짐의 내용을 활용하여 접합부 설계에 표준화 및 전산화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구조적 안전성과 제작 및 시공성이 확보된 접합상세를 효율적으로 설계 및 도면화 할 수 있으며 기존 설계 프로세스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다.

GIS와 수치정사사진을 이용한 현황 중심의 연속지적도 제작 오류 분석 (An Analysis on the Error of the Present Situation-Based Serial Cadastral Map Production Using GIS and Digital Orthophoto)

  • 홍성언;김윤기;박종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05-112
    • /
    • 2009
  • 현재 제작되어 있는 연속지적도면은 도곽접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즉, 연속지적도면의 적정한 품질이 확보되지 못하여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현재 지적분야에서는 연속지적도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와 현황을 정확하게 참조할 수 있는 수치정사사진을 이용하여 현재 제작되어있는 연속지적도면의 제작 오류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향후 연속지적도면이 보다 정확하게 제작될 수 있는 보완 방법을 제시하여보고자 하였다.

  • PDF

지적도면정보 보호 기술의 개발 (The New Technology to Protect Cadastral Map Information)

  • 김정엽;원성민;홍성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56-15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적도면 정보에 대하여 불법 복제와 유통의 방지는 물론 유통 후에도 유통 경로를 파악하여 차단할 수 있는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을 개발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로는 지적도면은 일반 지형도와 달리 워터마크의 삽입 및 검출 과정에서 왜곡이 없어야 하고, 또한 토지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공격에서 강인성을 가져야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워터마킹 삽입 및 검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구현된 워터마킹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여 보고자 지적도면의 위치정확도 분석에 기초한 왜곡정도를 분석하고, 다양한 토지이동 상황(분할, 합병, 접합, 이동, 회전 등)에 대한 강인성 및 검출율 등을 실험하고자 한다.

  • PDF

지적도면의 도곽변위 보정과 고품질 연속도면 작성에 대한 기술적 접근 (Technical Approach to Modify Vertice Displacement of Cadastral Maps and Preparation of High-quality Continuous Map)

  • 양철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2호
    • /
    • pp.5-18
    • /
    • 2024
  • 지적도면의 세계측지계 변환에 있어 구역 또는 도면 단위의 좌표변환의 결과로서 연속하는 도면을 작성하기 위해 인접 구역 또는 도곽점 간의 차이를 최소로 하는 보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좌표변환계산에 있어서는 Affine 변환모델을 이용하되 지적측량의 특성을 감안하여 특정 공통점을 중요시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좌표변환의 결과로서 생기는 인접 4 도곽점 간의 좌표 차이를 없애기 위한 기술로서 원근투영변환방법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도곽점 변위의 보정 및 도곽접합은 필지 경계선의 변동을 수반하여 필지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필지면적의 변동을 가져온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등록면적과 좌표면적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경계점을 미세조정할 수 있는 작업방법으로서 최소제곱법에 의한 수치계산 방법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Affine 변환과 원근투영변환 그리고 경계점미세조정을 연계 활용하는 방법은 개별 도면으로 관리되어 온 지적도면을 정비함에 있어 도면의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연속도면으로 작성할 수 있게 한다.

Revit Architecture를 이용한 2D 설계도면 구현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2D Design Drawing Implementation by Revit Architecture)

  • 조용상;이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243-5250
    • /
    • 2013
  • 최근 국내 건축시장에서는 건설프로젝트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생산되는 정보를 3D 모델 기반으로 관리하는 BI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적으로도 그에 따른 정책, 기술개발의 진행과 함께, BIM을 이용한 설계기준이 제도화 되고 있다. 그러나 BIM 소프트웨어(Revit Architecture)를 이용한 2D 설계도면 작성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CAD와 같은 수준의 실시설계도면 작성이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BIM 소프트웨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시공수준의 접합상세가 나오지 않는다는 문제점과 효과적으로 상세를 더할 수 있는 모델링 기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현재 납품되고 있는 2D 실시설계도면 수준의 도면작성과 출력가능 여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계기본요소를 분석하고, 단면상 세도를 사례로 BIM 소프트웨어에 제공되는 기능을 사용해 기존 CAD로 작성한 실시설계도면과 동일한 수준의 도면작성과 출력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