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 리포지토리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to Improve the Trustworthiness of Data Repositories by Obtaining CoreTrustSeal Certification (CoreTrustSeal 인증 획득을 통한 데이터 리포지토리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연구)

  • Hea Lim Rhee;Jung-Ho Um;Youngho Shin;Hyung-jun Yim;Na-eun 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41 no.2
    • /
    • pp.245-268
    • /
    • 2024
  • As the recognition of data's value increases, the role of data repositories in managing, preserving, and utilizing data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investigates ways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of data repositories through obtaining CoreTrustSeal (CTS) certification. Trust in data repositories is critical not only for data protection but also for building and maintaining trust between the repository and stakeholders, which in turn affects researchers' decisions on depositing and utilizing data. The study examines the CoreTrustSeal, an international certification for trustworthy data repositories, analyzing its impact on the trustworthiness and efficiency of repositories. Using the example of DataON, Korea's first CTS-certified repository opera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four repositories that have obtained CTS certification. These include DataON, the Physical Oceanography Distributed Active Archive Center (PO.DAAC) from NASA, Yareta from the University of Geneva, and the DARIAH-DE repository from Germany. The research assesses how these repositories meet the mandatory requirements set by CTS and proposes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trustworthiness of data repositories. Key findings indicate that obtaining CTS certification involves rigorous evaluation of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digital object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aspect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ransparent data processes, robust data quality assurance, enhanced accessibility and usability, sustainability, security measures, and compliance with legal and ethical standards. By implementing these strategies, data repositories can enhance their reliability and efficiency, ultimately promoting wider data sharing and utilization in the scientific community.

Data Scholarship: Data Journals and Data Repositories (데이터 스칼라십: 데이터 저널과 데이터 리포지토리를 중심으로)

  • Hyoungjoo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1
    • /
    • pp.443-451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knowledge structure of data scholarship within data journals and repositories. The study explored various aspects, including types of peer review, co-occurrence analysis through author keywords, and network analysis via article titles. The majority of data repositories in the DCI are maintained by countries in North America and the European Union. In Korea, data repositories are predominantly managed by research institu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s in data scholarship.

The Uses of DSpace Metadata Elements in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국내 기관 리포지토리에서 DSpace 메타데이터 요소의 활용 현황)

  • Lee, Eun-Ju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7 no.4
    • /
    • pp.465-48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metadata elements of institutional repository using DSpace and to provide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constructing metadata. To the end, discussed in details are (1)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development, features, elements of metadata, (2) figuring out the common metadata elements and the differentiated metadata elements for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3) examining the search methods, search elements, and display elements of the insitutional repository, and (4) based on theses, suggested ar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metadata of institutional repository using DSpace. The research methods were used such as literature review, the analysis of 4 domestic institutional repository.

An analysis of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foreign institutional repositories (해외 대학 리포지토리의 운영 현황에 관한 분석)

  • Ahn, Tae-Kyoung;Kim, Hyun-Hee;Lee, S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5.08a
    • /
    • pp.377-384
    • /
    • 2005
  • 해외 대학의 8개 기관 리포지토리를 대상으로 콘텐츠, 운영주체와 협력조직 등 11개 요인을 중심으로 운영 현황과 문제점을 직접 방문, 홈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분석해 보고, 데이터 제공자와 서비스 제공자간의 관계를 다룬 자료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관 리포지토리를 앞으로 구축할 계획이거나 또는 구축된 리포지토리를 활성화시키기를 원하는 기관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ata Publishing and Library (데이터 출판과 도서관)

  • Jung, Young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1-101
    • /
    • 2017
  • 연구 성과물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다른 연구에도 도움을 주어 또 다른 과학적 발명과 발견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오픈 사이언스의 철학이 전세계적으로 설득력을 얻으면서 연구 데이터 공개 및 출판을 위한 사회적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지난 몇년 동안 글로벌 표준식별자 개발, 메타데이터 및 인용 방식의 표준화, 데이터 리포지토리 구축 등 연구 데이터 공개 및 출판을 위한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학술지 논문의 부속 자료로 여겨지던 데이터(연구 데이터)는 이제 다양한 분야에서 논문과는 독립적으로 데이터 리포지토리에 기탁되어 공개되거나 데이터 저널에 출판되기도 한다. 그러나 학술 논문의 출판과는 달리 데이터 출판은 종종 다른 용어와 의미로 정의되기도 하며 분야마다 데이터 출판의 방식과 구현의 정도가 크게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데이터 공개 및 출판 이니셔티브를 소개하고 데이터의 공적 이용가능성, 문서화, 인용, 식별자 부여, 검증 및 데이터 출판의 단계별 구현 사례를 분석한다. 또한 국내에서 데이터 출판과 관련하여 수행 중인 과제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학술 정보 출판과 연구데이터 관리를 도서관의 기능으로 인식하고 출판과 관련한 다양한 관심사를 논의하는 도서관 중심 이니셔티브를 살펴봄으로써 데이터 출판과 관련한 도서관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Implementing the Management Model of the Institutional Repositories for the Efficient Distribution Infrastructure of National Knowledge Focusing on the dCollection System (국가지식정보의 효율적인 유통체제 구축을 위한 대학 리포지토리의 운영 모형 개발 : dCollection을 중심으로)

  • Kim, Hyun-Hee;Ahn, Tae-Kyoung;Chang, Woo-Kwon;Kwak, Byeong-He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2 no.3 s.57
    • /
    • pp.103-127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lement the management model of the institutional repositories for the efficient distribution infrastructure of national knowledge focusing on the dCollection system which is operated by KERIS (service provider). In order to build the management model, the two steps were utilized. The first step is to investigate the checklists of repositories that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successful repository implement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ne is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the sixteen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al repositories through interviews, surveys and email as well as the repository home pages and literature reviews. Through the two steps, the management model including six components such as content and librarian role was proposed. The proposed management model will be utilized to supply guides both to the universities which plan to build their institutional repositories and to the universities which try to promote the activities of their repositories.

A Study on the Preservation Policy Framework of Data Repository: Focusing on CoreTrustSeal Certification (데이터 리포지토리의 보존 정책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CoreTrustSeal 인증을 중심으로 -)

  • Hea Lim R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4
    • /
    • pp.119-138
    • /
    • 2023
  • This study endeavors to delineate the essential components of digital preservation policies requisite for data repositories. Drawing from an examination of digital preservation policies from data repositories accredited by CoreTrustSeal in 2023, this study unveils the pivotal components intrinsic to a digital preservation policy framework, subsequently elucidating the content each component encompasses. The proffered framework is anticipa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institutions aiming to craft their digital preservation policies, transcending the confines of those solely pursuing CoreTrustSeal certification, to encompas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irrespective of their intent to seek CoreTrustSeal certific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epository for Archiving Educational Resources (교육자료 아카이빙을 위한 리포지토리 설계 및 구축 방안)

  • Lee, Jongdeog;Shin, Kyuyong;Yoo, Jincheol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6 no.6
    • /
    • pp.95-102
    • /
    • 2013
  • Libraries and Museums have used archiving systems to preserve digital contents. Especially, university libraries mainly archive research resources including research paper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we proudly propose an educational repository oriented to archive overall educational process for the first time. To design the repository, we choose educational resources which need to be archived. Then, digital formats appropriate for long-term preservation are heavily discussed. Based on the design, we have practically implemented the system using representative repository software : DSpace, EPrints, Fedora, Omeka. Finally, educational resources of the specific subject are archived on each system, and the result of comparison is presented.

  • PDF

A Digital Library Prototype - Digital Repository and Diverse Collections (디지털도서관 프로토타입의 구축 -디지털 리포지토리와 컬렉션을 중심으로)

  • 최원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8.09a
    • /
    • pp.383-394
    • /
    • 1998
  • This article is an overview of the digital library project, indicating what roles Korea's diverse digital collections may play. Our digital library prototype has simple architecture, consisting of digital repositories, filters, indexing and searching, and clients. Digital repositories include various types of materials and databases. The role of filters is to recognize a format of a document collection and mark the structural components of each of its documents, We are using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ORACLE and ConText) supporting user-defined functions and access methods that allows us to easily incorporate new object analysis, structuring, and indexing technology into a repository.

  • PDF

Lessons from Data Repository 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 Building Experience (데이터 리포지토리 GDR 구축 경험과 교훈)

  • Han, J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0-100
    • /
    • 2017
  • 100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국내 유일의 지질자원 전문연구기관으로서 그간 생산한 조사 연구데이터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귀중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큰 유산으로써 보존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KIGAM의 상황은 최종성과물 위주로 자료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사 연구 과정에서 생산된 암석 토양 지하수샘플이나 조사 탐사장비를 통해 얻어지는 자료는 연구자 또는 연구실 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관리체계는 자료의 공동 활용이 어렵고,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연구자의 퇴직이나, 조직개편으로 인한 팀 실의 분리 과정에서 자료의 손실과 훼손 가능성이 높고, 누가 어디에 어떤 자료를 무슨 형태로 보관하고 있는지 찾기 어려워 자료의 재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중복 조사 연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KIGAM은 지질자원분야 국가데이터센터 구축을 목표로 연구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2015년도에 기획사업을 통해 중장기 로드맵을 포함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DataNest를 기술이전받아 지질자원 연구데이터 리포지토리 시스템(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를 개발하였다. GDR 시스템 개발을 위해 연구데이터 분류코드를 작성하였으며, 2016년부터 데이터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을 주요사업 연구계획서 양식에 포함시켜 제출하도록 하였다. 과거 KIGAM은 연구데이터를 수집, 관리하기 위해 몇 차례에 걸쳐 시도를 했지만 실패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실패 요인에는 (1) 관련 정책, 제도, 조직, 인력, 예산 등 데이터 관리 인프라 부재, (2) 연구사업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개인소유라는 인식 및 공유 의식 부족, (3) 데이터 관리 활동은 귀찮은 것이고, 시간 낭비라는 인식, (4) 데이터 관리 공개 공유 활동에 대한 보상체계 부재 등을 꼽을 수 있다. 즉, 제도를 포함한 인프라 부족과 경영진과 구성원의 인식부족이 제일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 성공적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꾸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경영진의 의지에 따라 사업이 중단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거의 실패 요인에 대한 해결 없이 지난 1년 6개월 정도의 GDR 운영은 지지부진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즉 국가 R&D 성과물 관리차원에서 연구데이터를 주요 성과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사업계획서에 DMP를 포함시키고, 연구주제 및 분야별로 데이터센터(혹은 데이터 리포지토리)를 지정하고, 국가 R&D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센터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연구사업비 항목에 데이터 관리비를 신설하여 데이터센터의 운영비로 사용하도록 하면 예산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데이터 제출 및 인용도에 따라 데이터 생산부서 혹은 생산자에게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등 보상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 R&D 연구데이터의 수집, 관리, 공유, 활용을 제대로 성공시키려면 국가 R&D 최고정책결정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