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 기숙사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9초

근접성이 불리한 대학 기숙사의 학생 의용소방대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roduction of Student Volunteer Fire Department in Dormitory far from Fire Station)

  • 백두산;이승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65-69
    • /
    • 2015
  • 대학 기숙사는 기능이 다양하고 유동인구가 많아 화재발생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119 안전센터와 근접성이 불리한 경우 소방대가 골든타임 내에 도착하기 어렵다. 따라서 자체적으로 화재에 대한 대응능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차의 현장 근접성이 불리한 강원도 K대학 기숙사 거주자를 대상으로 화재모의실험을 실시하여 재실자의 피난특성을 살펴본 결과 초기화재대응을 위한 기숙사 관리자의 부족과 피난경로의 부족으로 인하여 피난이 지연되었고, 일부 학생은 화재에 대한 의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방대는 골든타임 내에 기숙사에 도착하지 못했다. 따라서 관리자의 부족과 소방대의 근접성이 불리함으로 발생하는 화재대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의용소방대 도입을 제안했다.

외국인 학생 유치 및 지도사례-동남아권 중심

  • 오경식
    • 대학교육
    • /
    • 통권132호
    • /
    • pp.23-29
    • /
    • 2004
  • 대학이 외국인 학생 유치에 대한 의지를 갖고 해외 유학박람회 참가 등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대학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다. 동시에 외국인 학생을 위한 기숙사 등 거주 여건을 확보하여 수학 환경을 개선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 PDF

단지형 대학 기숙사의 거주환경요소가 기숙사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관악학생생활관을 대상으로 -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Dormitory Life - The Ca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ormitories -)

  • 백수연;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1호
    • /
    • pp.3-14
    • /
    • 2020
  • Dormitories of Korean university are planned to pursue qualitative growth after a period of quantitative growth in the 1970s. However, since the 1990s, the physical plan for qualitative growth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nd the effects of these changes on dormitory residents has not been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dormitory life adaptation and to provide a basis for qualitative growth of university dormitories to help dormitory residents adapt to the environ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First, the element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dormitory complex,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derived. The dormitory life adaptation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 Secondl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current dormitory and previous residence and three elements of dormitory life adaptation; 'acceptance of change', 'familiarity', and 'anxiety'. Thir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each factor influenced dormitory life adaptation.

기숙사 업무 지원을 위한 모바일 웹 서비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Web Services for Supporting Dormitory Works)

  • 김성완;손병오;조양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389-1398
    • /
    • 2013
  • 모바일 기기의 보급 및 활용이 급증함에 따라 대학에서도 주요 학생 서비스들을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엄격한 학생 관리가 요구되는 기숙형 고등학교 및 대학 기숙사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관생들에게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웹 기반의 기숙사 업무 지원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첫째, 업무 관리 측면에서는 모바일 웹 및 전통적인 웹 기반의 관리 환경을 제공하여 점호, 외박 처리 등의 업무 처리 효율성을 높였다. 둘째, 관생 서비스 측면에서 모바일 웹 기반의 환경을 제공하여 웹에 접근 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항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수혜자의 만족도를 높였다. 제안 시스템은 250명 규모의 남자 대학생 기숙사를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운영되었으며 관생을 통한 설문 조사를 통해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대학기숙사의 공간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Research on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Spatial Features of a University Dormitory)

  • 백민석;금상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01-4907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기숙사의 전반적인 시설수준이 거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숙사 특성화를 통한 지방대학의 기숙사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나아가 인구구조 변화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대학의 발전방향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충청북도에 소재한 S대학의 기숙사 사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대학기숙사의 전반적인 시설수준이 양호할수록 거주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학기숙사의 개별실 공간특성에 따라 거주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공동으로 생활하는 학생의 수가 많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기숙사 재원인원이 감소하게 되는 경우에는 다인실을 1인실 또는 2인실로 개조할 수 있는 가변형평면의 개발과 적용이 중요하다는 점으로 인식되어 진다.

대학 기숙사생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 living in a dormitory)

  • 이미영;강희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413-42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 기숙사생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K시 소재 대학생 중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최종 1,01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그리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 대인관계 문제, 스마트폰 중독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우울의 수준이 높을수록 기숙사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높였다. 대인관계 문제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기숙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낮출 수 있는 전략으로 대인관계 문제를 다룰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과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화제의 ESCO 현장을 가다-한국산업기술대학교 기술혁신파크

  • 박은주
    • ESCO지
    • /
    • 통권47호
    • /
    • pp.22-25
    • /
    • 2007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위치한 한국산업기술대학교가 국내대학 최초로 공학교육과 연구개발, 기숙사 기능을 혼합한 새로운 형태의 '산학협력 복합시설'을 선보였다. 기술혁신파크(TIP)가 바로 그것. 이곳은 연면적 $47,273m^2$로 대학 단일 건물로는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 PDF

한·일 국립대학 시설 기준 및 캠퍼스 면적 비교·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n the Facility Standards and Campus Sizes of the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and Japan)

  • 최형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3호
    • /
    • pp.1-15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교육제도적 측면에서 많은 유사성이 있으며, 대학입학자원 감소라는 문제를 한국보다 먼저 맞이하여 대응하고 있는 일본과 한국의 국립대학교 시설기준 및 국가수준의 대학시설 관련 정책, 실제 대학 캠퍼스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시설에 대한 양국의 국가 차원의 접근방식과 기본 철학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향후 대학 캠퍼스 계획 수립 시 주요 계획요소 및 개선방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주요 현안이나 이슈를 중심으로 한 개별 프로젝트별로 대학시설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일본은 5년마다 국립대학시설 관련 정비계획을 수립하여 종합적이고 중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국립대학시설 정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례조사를 통해 본 양국의 대학시설 면적의 경우, 일본의 사례조사 대학의 평균 대학시설 면적이 한국의 사례조사 대학의 평균 대학시설 면적에 비해 약 5.6%, 일본의 학생 1인당 대학시설 면적이 한국보다 약 13%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대학시설의 전체 연면적도 한국보다 20.7% 정도 크고, 일본의 학생 1인당 대학시설 면적이 한국보다 56.7%가량 넓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지원시설 중 기숙사의 경우 한국의 기숙사 전체 층 면적이 일본보다 2.5배 넓었고, 기숙사 수용률은 한국이 일본보다 5.6% 높은 특징을 보였다. 셋째, 두 나라의 대학시설 기준 항목과 제도는 비슷하지만 학생정원 산정 방법, 계열구분, 교사 및 교지면적 산정 방식 등은 두 나라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넬 공과대학 기숙사 사례를 통한 대학 기숙사의 패시브 하우스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ssive House Technology Application of University Dormitory through The House at Cornell Tech)

  • 김홍민;오형석;류수훈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1-18
    • /
    • 2018
  • Global warming is happening now and inevitable. Everyone knows that immediate action should be taken to slow it down, but uncertain about the effective solution. Despite global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sea levels are rising gradually. In 2013, Cornell University announced the Climate Action Plan(CAP) to make the campus greener, to reduce waste, and to ensure efficient use of resources. In particular, they set a goal of reducing energy use by 2050 and making carbon emissions to zero.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ase of the master plan of Cornell Tech campus and its major buildings. Mainly, The House, faculty and student housing of Cornell Tech and the world tallest certified passive house, will be the main precedent that shows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passive house. Passive house technology, which was thought to be possible only in single-family houses, can be applied to high-rise buildings. If any passive house technology of The House project is actively introduced into the dormitory projects of domestic universities that are about to be built or renovated, it will be a good opportunity for the university to take the lead in preparing for global wa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