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수업모델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학수학 수업모델의 방향과 평가방법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8권
    • /
    • pp.257-264
    • /
    • 1999
  • 대학수학 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면서 수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3년간의 현장 연구 결과: 1996 학년도 "대학수학 수업 실태의 조사 분석", 1997 학년도 "흥미 및 동기유발을 위한 대학수학 수업 자료와 평가", 1998 학년도 "대학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에 근거하여 새로운 대학수학 교재(1999. 2월 출판)와 실습교재 미분적분학을 위한 Mathematica 연습(1999. 2월 출판)을 만들고, 수업 진행을 협동학습과 수준별 학습에 바탕을 두어 한 학과 40명의 학생들을 5명씩 8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역할을 분담하도록 하여 수준에 맞는 수업을 진행하고 그에 따른 평가방법을 개발하여 시도해보고 이 수업 모델이 학생들에게 효과가 있었는지, 호응을 얻었는지에 대한 비교를 1999학년도 1학기 말에 SPSS/PC+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하려고 한다.

  • PDF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대학수학 수업모델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9권
    • /
    • pp.219-226
    • /
    • 1999
  • 실업계 고등학교출신, 직장을 다니다 뒤늦게 진학한 학생, 수학성적 때문에 야간학과를 택한 학생들의 수학학습능력이 대학수학을 공부하기에는 부족함을 그들의 의견과 기초학습능력 검사와 수업을 통해 확인해보고 그들을 위한 수업지도 방법과 심리적 치료법을 곁들여 좋은 수업환경을 만들고 수업에 대한 반응으로부터 그들만을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 수준에 맞는 교재를 만들어 ‘99학년도 2학기부터 시행에 본다음 종합적인 분석을 하여 계속된 현장연구 결과와 함께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대학수학 수업모델을 만든다.

  • PDF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비대면과 대면 방식에 대한 학습경험에 따른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ing Experience for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Methods in Programming Class)

  • 김경아;김지심;안유정;오석;진명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645-647
    • /
    • 2022
  • 코로나 팬더믹으로 인한 비대면 수업은 지속적인 운영을 통해 개선·발전되었다. 2022학년도부터 대면수업으로 전환되면서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지고, 비대면 수업 경험이 축적된 학습자들을 위한 대면 수업의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비대면 방식과 대면 방식에 대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들의 수업방식에 따른 만족도 및 의견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 방식의 장점을 활용한 수업모델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학습자 의견 도출에 그 목적이 있다.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대면 수업을 선호하나 비대면 학습경험이 많을수록 대면 수업에서의 단점을 비대면 수업을 통해서 해소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음을 인지하고, 비대면 방식을 대면 수업에 활용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후 대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비대면 방식을 결합한 하이드리드 방식의 수업 운영을 통한 수업 효과 증진 모델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교수자 코칭에 기반한 대학의 플립러닝강좌 개발 모델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course model based on instructor coaching)

  • 김은희;변호승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9-52
    • /
    • 2018
  • 그 동안 플립러닝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여러 연구가 있었지만, 고등교육기관에서 교수들의 플립러닝 과목 개발을 돕고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교수학습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CTL과 같은 기관에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플립러닝강좌 개발 컨설팅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된 모델안을 개발하여 전문가들의 피드백을 통해 최종 '수업코칭에 기반한 플립러닝강좌 모델'을 개발하였다. 총 8단계 모델의 1단계는 수업 개발사항 검토, 2단계는 수업 오리엔테이션, 3단계는 플립러닝 운영, 4단계는 전문가 수업분석, 5단계는 플립러닝 수업코칭 및 수업개선 모임, 6단계는 플립러닝 운영, 7단계는 교수자 성찰, 8단계는 환류 및 보완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는 플립러닝을 개발하는 교수자에게 수업의 개선을 위해 보다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안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개발된 모델을 기반으로 수업의 질적 제고가 가능하다.

체계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 모델 개발 및 구현 - H 대학을 중심으로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ic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Model - Focusing on H University -)

  • 김선희;조영식;김보영;한용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63-173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 있어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운영할 수 있는 교수법을 개인이 아닌 대학 전체의 수업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모델을 개발 및 구현하고자 하였다. 수업모델개발은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검토, 수업모델과 설계원리 도출, 시범운영, 1차 설문분석, 모델 및 설계 전략 수정, 그리고 2차 설문분석을 통해 최종 모델을 도출하였다. Shift_N+1수업은 6개의 모델이며 각 모델은 크게 3가지의 파트로 구분된다.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 핵심내용에 대한 질의응답 및 심화학습을 하는 대면 수업, 그리고 학생 개별 피드백 및 과정평가이다. 이를 매주 시행할 수 있도록 자체 전산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대학의 모든 수업에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 모델을 표준화하였다. Shift_N+1교수법은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자 중심의 학습효과를 최대화하고, 주차별 학생들의 성취도를 파악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대학 내 e-learning을 통한 학습의 지식전달 효율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cy of e-learning Education in University)

  • 정정회;김영렬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21세기 IT산업의 발전 전망
    • /
    • pp.41-46
    • /
    • 2004
  • e-learning을 통한 교육은 이제 대학 내뿐 만 아니라 중ㆍ고등학교나 기업체 등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교육비의 과대지출로 중ㆍ고등학교에서의 e-learning을 통한 교육은 이제 교육사업에 커다란 부분을 차지해 갈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기업체 또한 기업 내 인력양성을 위한 모든 교육을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는 e-learning을 통한 교육으로의 전환이 이미 많이 이루어졌고 앞으로 더욱 많아지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사교육이나 기업 내 추가적인 인력양성 교육에서의 e-learning의 도입을 통한 교육의 성과보다는 대학 내 e-learning을 통한 교육이 일반 대학생들이 오프라인 수업의 보조학습이 아닌 대체학습으로서 과연 대학 내 대표적인 e-learning 수업진행을 맡고 있는 OCU를 기본모델로 현재 e-learning을 통한 OCU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학습에 얼마나 많은 이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오프라인에서의 수업과 e-learning을 통한 수업의 이해도와 만족도에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실증분석 해 보려 한다. 이 결과로 앞으로 대학 내 e-learning을 통한 학습에 문제점이 있다면 분석하여 오프라인의 보조학습이 아닌 대체학습으로 나아가는데 지식전달의 효율성 측면에서 나아갈 방안에 대해서 연구해 보려 한다.

  • PDF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한 하브루타 학습모델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 (Development of a Havruta Learning model and exploring its applicability in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classes)

  • 변길희;최대훈;조우홍;윤경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29-13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주도적 학습을 돕는 하브루타 학습방법을 대학의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하브루타 학습모델 개발과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하브루타 학습법 적용사례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과 관련 이론들을 분석하고 하브루타 수업운영 경험자 2인의 인터뷰를 통해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학습 모델안을 고안할 것이다. 이를 하브루타 수업 운영 경험이 풍부한 6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업 모델안의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한 하브루타 학습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비대면으로 수업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학습자의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PDF

대학의 원격화상수업과 대면수업의 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ass Satisfaction between Remote Video Class and Face-to-face Class)

  • 이한샘;서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40-4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국내 대학에서 시행된 비대면 강의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특히 비대면 수업의 여러 유형 중에서도 원격화상수업은 실시간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대면 수업을 대체할 수 있는 수업 모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면 수업과 원격화상수업 등 수업운영 형태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의 2019-2020년도에 운영된 총 8707개 강좌를 대상으로 수업유형 및 수업규모별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원격화상수업의 만족도가 대면수업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원격화상수업과 대면이 병행된 수업이 단일형태의 수업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이는 각 수업형태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함으로써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수업규모에 따른 수업만족도에서는 대면수업과 원격화상수업 모두 소규모 수업의 만족도가 중형 또는 대형 수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격화상수업이더라도 소규모 수업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대학 수업의 패러다임을 확립해 나갈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자기주도형 연구기반 수업의 S 대학 적용사례 (Application of Self-directed classes based on research performance to S University )

  • 김현주;이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6호
    • /
    • pp.99-108
    • /
    • 2024
  • 현재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적합한 인재 양성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에서 그룹형 역량, 창의적 역량, 융합전공 역량과 더불어 연구역량 양성 또한 대학교육의 중요한 역할로 주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수행기반 수업이란 무엇인지 이해하고 현재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실질적인 연구 수행 역량을 키우기 위한 교수학습 설계모형을 구상한 후 실제적으로 개설되어있는 수업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개발된 연구수행기반 수업 모델은 S 대학의 한 전공교과목과 교양교과목의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전공적인 지식배양과 더불어 전공 관련 연구 수행성과를 위한 실제적인 연구를 수행할 주제를 선정하고 문제 해결 후 수행 결과를 바탕으로 그 성과를 얻어내는 연구수행 기반 교육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수행기반 수업을 통해 기본연구방법론을 습득하는 것은 물론, 실질적인 연구 수행 문제를 설정하여 결과를 도출하게 되는데 기본연구방법론에는 과학적 탐구방법, 연구노트작성방법, 논문작성법, 학술대회, 특허의 이해 등 연구 환경에서 필요한 내용을 습득하게 하였다.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습자의 자존감을 높여주었고 가시적인 연구실적 (기술이전, 학술논문 등록, 학술발표 수상, 특허등록 및 학술 UCC 대회 수상 등)을 획득함으로써 대학에서의 연구수행기반 자기주도형 수업의 대표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대학수학에서 문제해결지도

  • 정치봉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5권
    • /
    • pp.207-214
    • /
    • 2003
  •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이 학습을 통하여 습득하여할 중요한 주제는 수학 지식과 수학을 다루는 인지적 조작 기술일 것이다. 특히 수학지식과 지식의 활용은 문제해결을 통한 학습에서 의미 있게 학생에게 나타나며 이를 통하여 수학 학습 동기를 강화하고 수학의 가치를 느끼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대학수준의 수학교육과정에서도 문제해결은 중요한 수학교육의 중심 수단으로서 목적으로서 선언되어 있지만 실제 수업에서 잘 다루고 있지 못하다. 문제해결 지도에 대한 접근 방식으로 1950년대의 문제해결전략을 다룬 Polya, 1990년대의 메타인지적 접근을 강조한 Schoenfeld 및 최근의 여러 연구자들의 활발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대학 수준의 문제해결 수업의 접근 방법을 소개함으로 문제해결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 특히 Schoenfeld의 문제해결 수업 모델은 수학 교육의 교실 수업으로의 구현 측면에서 갖는 다양한 함의를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