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ic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Model - Focusing on H University -

체계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 모델 개발 및 구현 - H 대학을 중심으로 -

  • Kim, Sun-Hee (Dept. of Medical Care and Hospital Administration.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
  • Cho, Young-Sik (Dept. of Digital Contents.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
  • Kim, Bo-Yo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
  • Han, Yong-Su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 김선희 (한림성심대학교 의무행정과) ;
  • 조영식 (한림성심대학교 디지털콘텐츠과) ;
  • 김보영 (한림성심대학교 유아교육과) ;
  • 한용수 (한림성심대학교 방사선과)
  • Received : 2021.06.18
  • Accepted : 2021.07.27
  • Published : 2021.07.31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class model that can apply the teaching method that can operate learner-centered classes in university education to the class operation of the entire university, not individu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structional model, the final model was derived through analysis of prior research, expert review, derivation of instructional model and design principles, pilot operation, primary questionnaire analysis, model and design strategy revision, and secondary questionnaire analysis. Shift_N+1 class consists of 6 models, and each model was divided into 3 parts. It was a preliminary learning using video, a face-to-face class for question-and-answer and in-depth learning on the core content, and feedback and process evaluation for individual student. We have built our own computer system so that we can implement this every week. The teaching method model that can apply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to all classes at the university was standardized. The Shift_N+1 teaching method seeks to maximize the learner-centered learning effec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identifying students' achievements by week.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 있어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운영할 수 있는 교수법을 개인이 아닌 대학 전체의 수업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모델을 개발 및 구현하고자 하였다. 수업모델개발은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검토, 수업모델과 설계원리 도출, 시범운영, 1차 설문분석, 모델 및 설계 전략 수정, 그리고 2차 설문분석을 통해 최종 모델을 도출하였다. Shift_N+1수업은 6개의 모델이며 각 모델은 크게 3가지의 파트로 구분된다. 동영상을 활용한 사전학습, 핵심내용에 대한 질의응답 및 심화학습을 하는 대면 수업, 그리고 학생 개별 피드백 및 과정평가이다. 이를 매주 시행할 수 있도록 자체 전산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대학의 모든 수업에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 모델을 표준화하였다. Shift_N+1교수법은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자 중심의 학습효과를 최대화하고, 주차별 학생들의 성취도를 파악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7.12).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지정 및 운영계획. http://www.moe.go.kr/boardcnts/2021.5.25.
  2. 양광호, 강이화, 최영문, 송창백, 이하철, 이해선, 이병규, 주홍석(2018). 4차 산업혁명시대전문대학 대응방안 연구.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3. 좌현숙(2020).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447-456.
  4. 이나핼, 정혜림(2018).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플립드 러닝감각 통합 수업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4):247-256.
  5. 강이화(2019).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의 미래. 교육혁신연구, 29(1):279-297. https://doi.org/10.21024/PNUEDI.29.1.201903.279
  6. 조규성, 이훈병(2017). 전문대학 교수학습연구대회 연구 및 교수법 경향분석, 아시아문화학술원, 8(6):963-977.
  7. Blumenfeld, P. C., Soloway, E., Marx, R. W., Krajcik, J. S., Guzdial, M., & Palincsar, A.(1991). Motivating project-based learning: Sustaining the doing, supporting, the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6:369-398. https://doi.org/10.1080/00461520.1991.9653139
  8. Bergmann, J., & Sams, A.(201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9. 이지은, 최정임, 장경원(2017). 플립드 러닝 수업 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 전략 탐색: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을 기반으로. 교육공학연구, 3(1):137-171.
  10. 도숙진, 진영선(2018). 플립 러닝을 기반으로 한 토익영어(ETP) 수업의 효과. 교양 교육연구, 12(2):149-167.
  11. 이나윤, 박주영(2020).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학습(PBL) 적용이 작업치료과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57-65.
  12. 최미나(2021). COVID-19시대 비대면 e-PBL원격교육의 효과적 운영 방안 탐색. 청대학술논집, 36:77-99.
  13. 신종호, 박수영(2017). 대학 수업에서의 플립드 러닝 실천 확산을 위한 교수 인식 연구: A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5):347-371.
  14. 배도용(2015). 대학에서의 플립드 러닝 수업의 적용 사례 연구. 우리말연구, 41:179-202.
  15. Arnott, J. A., & Planey, S. L.(2018). Fliped classroom approaches lead to no improvement in learning outcomes or student perceptions.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https://doi.org/10.1096/2021.5.27.
  16. Gilete, C., Rudolph, M., Kimble, C., Rockich-Winston, N., Smith, L., & Broedel-Zaug,K.(2018). A meta-analysis of outcomes comparing fliped clasrom and lecture.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82(5), 43-40.
  17. O'Flahery, J., & Philips, C.(2015). The use of fliped classrooms in higher education: A scoping review.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5:85-95. https://doi.org/10.1016/j.iheduc.2015.02.002
  18. 김한길, 김천기(2018). 배움 및 학습자를 우선시하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비에스타(G. Biesta)의 상호주관성 논의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57(4): 629-641.
  19. 임경화(2014). 공학전공수업에서 플립드 러닝(Filpped Learning) 적용을 위한 설계모형 탐색. 실천공학교육논문, 6(2):77-84. https://doi.org/10.14702/JPEE.2014.077
  20. Kuh, G. D.(2009). The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Conceptual and empirical foundations. New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search, 141:5-20. https://doi.org/10.1002/ir.283
  21. Lee, J., Park, T., & Davis, R. O.(2018). What affects learner engagement in fliped learning and what predicts its outcome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https://doi.org/10.1111/2021.5.29.
  22. Handelsman, M. M., Brigs, W. L., Sulivan, N., & Towler, A.(2010). A 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3), 184-192. https://doi.org/10.3200/JOER.98.3.184-192
  23. Richey, R. C., & Klein, J. D.(2014).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in J. M. Spector, M.D. Merill. J. Elen, M. J. Bishop (Eds.), Hand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4th ed., pp. 141-150). New York: Springer.
  24. Enfield, J.(2013). Looking at the impact of the flipped classroom model of instruction on undergraduate multimedia students at CSUN, TechTrends, 57:14-27. https://doi.org/10.1007/s11528-013-0698-1
  25. 김은지(2018). Flipped Learning 기반 대학 수업에서 학습몰입과 학습성과 영향 요인간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451-469.
  26. 이정표, 이주영, 권동택(2012). 교육적 소통을 위한 학습자 중심 수업의 본질 논의.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2(4):643-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