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피 유동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valuation of Civil Defense Evacuation Shelter Locations in Fitness according to the Walking Speed and Changing Floating Population in Time and Space (시공간 유동인구 변화와 보행속도에 따른 민방위 비상 대피시설 위치의 적절성 평가)

  • Park, Jae-Koo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1
    • /
    • pp.95-103
    • /
    • 2018
  • This study set out to evaluate the fitness of shelter location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service zones according to walking speed, the changing population between day and night, and walking routes. Walking speed was defined as 1.6 m/s, 2 m/s based on the cases of previous studies. The changing population between day and night was estimated with the dasymetric mapping technique. Shelter service zones according to walking speed and routes were analyzed with the network of the location allocation model. The findings show some shelters had limits with their capacity according to the changing floating population and walking speed in time and space and raise a need to appoint additional shelters.

A Study on Earthquake and Tsunami Shelters Designation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Guidelines (지진·지진해일 대피장소 지정 및 관리지침 개선방안 연구)

  • Kim, Da-Hee;Yoon, Hong-Sic;Noh, Bo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09-110
    • /
    • 2022
  • 본 논문은 현 지진·지진해일 대피장소를 지정하는 기준과 관리하는 방안을 해외 사례와 선행연구를 통해 개선안을 제시한다. 국내의 대피장소도 각 지역의 인구 분포나 유동인구, 지형, 대피 시설 등의 지역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재난피해경감을 위해 대피시간 내의 긴급대피장소로 이동할 수 있는 대피 인원을 산정하여 적정 수용인원의 기준을 산정한다. 지정기준의 근거 제시를 위해 지역별로 대피장소의 수용률을 비교·분석하여 대피장소의 지정요인에 지역특성이 고려되야 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를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여 지자체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효과적인 대피방안에 활용가능하도록 하고, 이와 관련한 운영지침 연구도 요구된다.

  • PDF

Analyzing Accessibility of Emergency Shelters Based on Service Population: The Case of Outdoor Evacuation Places for Earthquake in Jung-gu, Seoul (생활인구를 고려한 대피시설 접근성 분석: 서울 중구지역 지진 옥외 대피장소를 사례로)

  • Kim, Sang-Gyoon;Shin, Sang-Young;Nam, Hyeon-J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1
    • /
    • pp.51-62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nalyzes accessibility of outdoor evacuation places for earthquake and the accessibility improvement effects when expanding the evacuation places in accessibility-deficient areas. In order to consider real-world evacuees, the accessibility analysis is based on service population not on resident population. Method: Location-allocation model as a GIS-based spatial optimization mode is used to analyze accessibility and vulnerable areas to evacuation places. Of location-allocation problem types, 'Maximize Coverage' method is chosen to allocate as many potential evacuees as possible to evacuation places. And impedence cutoffs or evacuation distances (times) are applied to three classes: 500m (7.5 minutes), 1,000m (15 minutes), and 1,500m (22.5 minutes). Case study area is Jung-gu areas, Seoul as a high-density downtown area. Result: Results show that accessibility-deficient areas and population to evacuation places are much more in service population than in resident population. Accessibil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when increases when expanding the evacuation places in accessibility-deficient areas. Yet, accessibility-deficient areas are still remained since available lands are insufficient in the high-density downtown area.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temporary evacuation facilities like outdoor evacuation places for earthquake need to consider real potential evacuees based not only on resident population but also on service population. Also, policy measures to provide emergency shelters need to more utilize spatial optimization tools like location-allocation model.

The Effect of Amplitude, Event, and Duration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Evacuation Velocity of Rodents: An Evacuation Experiment (설치류 대피 실험에서의 전기 자극의 크기, 횟수, 지속시간의 대피 속도에 대한 영향)

  • Kim, Somi;Nguyen, Duyen Thi Hai;Park, Ju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20 no.3
    • /
    • pp.8-15
    • /
    • 2021
  • Despite advances in technology, crushing accidents still occur during emergency evacuations of crowded public spaces. To prevent crushing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low of pedestrians during evacuation scenarios through experiments. Since experiments with humans can generate real accidents, we performed experiments on rodents to approximate human behavior. To trigger an emergency evacuation response, we applied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feet of the rodents. Although electrical stimulation has been applied to mice in many experiments, studies 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electric stimulation required to evoke a rapid evacuation response in mice is still lacking. In this study,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how the evacuation flow of mice changes according to the amplitude, event, and duration of electric stimulation.

Effectiveness of critical velocity method for evacuation environment in a railroad tunnel at fire situation (철도터널 내 화재 시 대피환경 확보를 위한 임계속도 산정식의 유효성 평가)

  • Lee, Seung-Chul;Lee, Jae-Heon;Lee, Seung-Ho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6 no.1
    • /
    • pp.51-59
    • /
    • 2004
  • The effectiveness of one dimensional critical velocity method for evacuation environment at 10MW fire size in a railroad tunnel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paper by three dimensional CFD method. I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vacuation environment in term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visible distance distribution and CO concentration at some tunnel inlet velocity, 1m/s, 2m/s (near critical velocity), and 3m/s. At all inlet velocity, passenger should give away downward the flow direction because the inlet velocity can not afford to sufficient evacuation environment for passengers. In case of 3m/s inlet velocity, however, the evacuation environment for passengers is better than the other cases. To provide more safe evacuation environment on fire situation, tunnel inlet velocity should be larger than critical velocity.

  • PDF

Analysis of Population Mobility Characteristics Based on Emergency Disaster Message Content: Focus on the 2022 Wildfires in Donghae City and Miryang City (긴급재난문자 송출 내용에 따른 유동인구 특성 분석: 2022년 동해시와 밀양시 산불 재난을 중심으로)

  • Dong Kyu Lee;Jae Seon Kim;Kyung Soo Pyo;Min Ki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2
    • /
    • pp.799-810
    • /
    • 2023
  • This paper analyzed changes in population mobility characteristics based on emergency disaster messages related to wildfires that occurred in 2022, using mobile data. The primary wildfires under analysis are the ones that occurred in Donghae City and Miryang City. Donghae City sent a total of six evacuation messages in response to the wildfire incidents, and all of the message contents specified particular evacuation location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act on changes in population mobility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iryang City, a total of five evacuation messages were sent during the wildfire period, but not all messages specified a clear evacuation location,such as "A safe place".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minimal change in population mobility due to the lack of clear evacuation locations specified in the messages.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s such as the standardization and specification of emergency alert message content when wildfires or similar disasters occur in different regions.

Fuman behavior during Fire Evacuation in Gosiwon (고시원 화재시 인간 피난행동)

  • Kim, In-Gil;Chung, Y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400-403
    • /
    • 2012
  • 최근 고시원은 저렴한 방값을 원하는 저소득층의 서민들이 주거하는 공간으로서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므로 방화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 본 조사는 이 위험성을 검토하기 위해 SIMULEX 실험을 통하여 고시원 화재시 피난행동을 간접적으로 확인 하고 대비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한다. 모형실험 결과 재실자들이 1층 출구 대피시 병목현상을 보였지만 연기의 유동은 위로 상승하기 때문에 3층 재실자들의 빠른 대피가 있다면 인명피해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이번 실험 조건이 사람들의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시간 조건을 주고 대피시간이 늦는다면 4, 5층의 재실자는 연기의 빠른 확산으로 인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patial Analysis of Shelter Capacity Using Floating Population (유동인구를 활용한 대피소 수용 능력 분석)

  • Kim, Mi-Kyeong;Kang, Sinhye;Kim, Sang-Pil;Sohn, Hong-Gy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4 no.1
    • /
    • pp.1-10
    • /
    • 2016
  • Seoul, a mega city, contains many features of the modern city. When the disaster or emergency occurs in Seoul, the place for shelter is required for evacuation urgently. There are currently the numbers of shelters in Seoul City, which can hold the twice more capacity of population of Seoul. However, the population distribution fluctuation in the day and the night needs to be considered. Therefore,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capacity of shelt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e study, the substantial accessibility and the capacity of shelters in Seoul were analyzed by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accessibility of shelter was investigated through a network analysis that includes the pedestrian road data, while the capacity of shelter was analyzed by the local differences of daytime population distributions. Finall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vulnerable areas on the basis of the distribution of shelter in the region.

Cause and Countermeasure of Inundation Damage in Underground Space (우리나라 지하공간 내수침수피해 원인 및 대책)

  • Cho, Jae-Woong;Choi, Wo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0-420
    • /
    • 2011
  • 도시지역의 내수침수피해는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반지하와 같은 거주공간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특히 최근에는 지하철, 지하상가 등이 대규모 개발되고 복합네트워크화 되어 지하공간의 침수대책과 대피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일본의 경우 2000년 토카이 호우피해 후 통합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1999년 및 2003년 후쿠오카 침수피해 발생 후 특정도시하천침수피해대책법을 제정, 1999 후쿠오카, 2004년 하마마츠, 2008년 카누마 피해 후 일본 방재연구소에서는 실시간 1차원 지표범람모형과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내수침수지도를 개발하였다. 특히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지하공간에 유입하는 범람수가 계단상 보행자게에 주는 위험성에 관한 연구" 등 실험을 바탕으로 각종 지하공간 침수대책 매뉴얼 및 지하시설의 침수시 피난확보계획 지침, 지하공간 침수대책 가이드라인 등 인명피해를 줄이고자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 경기도 고양시 3호선 정발산역이 침수되었으며, 2010년 서울시 지하철 2호선 사당역 및 4호선이 침수되는 등의 지하철 침수피해와 2010년 서울시 광화문 지하상가, 인천시 부평구 우림라이온스 벨리, 우남플라자, 계양구 농협하나로마트, 서원아파트 등의 지하상가와 지하다층의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06년 3호선 정발산역 침수는 17시간이나 지하철이 불통되었고 이로 인하여 심각한 교통 체증이 유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집중호우로 인한 서울, 인천지역의 지하공간 침수피해를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지하공간 침수피해사례로부터 대표적인 침수피해 원인 및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지하공간 침수의 주요원인은 지상공간의 침수류가 지하공간으로 유입하고, 지하공간의 배수설비 용량부족, 지하공간으로의 유입을 방지하기위한 방지턱, 차수판, 침수시 비상전원 공급, 침수시 지하공간 대피 매뉴얼의 부재 등 다양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방재청에서 고시한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에 지하공간 침수 방지를 위한 각종 시설의 설치 및 대피 경로지정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나, 지하공간 중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하철역에서 조차 침수에 대한 행동매뉴얼이나 대피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공간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를 이용한 자동 차수판과 경보기 설치, 지하공간의 사람들이 안전한 대피로를 찾을 수 있도록 지상공간 및 지하공간 출입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CCTV의 설치, Dry Area를 두어 비상대피 할 수 있는 공간의 마련 등 시설적인 부분에 대하여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상공간의 침수 상황을 고려한 지하공간의 대피매뉴얼 또는 가이드라인 등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더불어 재산 및 인명피해를 더욱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실시간 예 경보를 위한 침수해석 모형의 개발이 시급하다.

  • PDF

연기거동을 고려한 대피프로그램 개발

  • Kim, Soo-Young;Lee, Chun-Ha;Kim, Eung-Sik;Kim, Hong;Kang, Young-Gu;Jung, Ki-Chang;Gu, D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37-241
    • /
    • 2002
  • 국내의 화재로 인한 대형 인명피해를 보면 대부분이 직접적인 화재의 열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연기유동을 통한 유해가스들의 흡입을 통하여 또는 대피시 재실자들 간의 사고로 인하여 생기는 것으로서 이글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 대책으로써 무엇보다도 건물내의 방화관리자나 건물내 거주자들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이 필요하나 건물의 대형화 및 재실자들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교육의 어려움과 무엇보다도 화재의 특성상 실제상황과 같은 구현을 통하여 교육하기에는 불가능 한 실정이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