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퇴둘레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초

내측광근의 신경근전기자극(NMES)이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통증 및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Vastus Medialis on Pain and Muscle Function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 진유신;정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29-33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신경근전기자극의 적용이 내측광근의 기능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진단받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보존적 물리치료를 적용한 대조군 15명과 신경근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실험군 15명을 임의 배치하여 주 5회, 총 4주간의 치료후, 실험 전 후의 통증, 대퇴사두근력, 대퇴둘레, 그리고 대퇴각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군에서 대퇴사두근력과 대퇴둘레를 측정한 결과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통증의 측정결과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군 간의 비교에서는 대퇴사두근력과 대퇴둘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신경근전기자극을 이용한 내측광근의 선택적 강화가 슬관절염 환자의 통증 감소 및 슬관절의 근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폐경전 성인여성의 골밀도와 신체계측 및 식이인자에 관한 연구

  • 임화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71-1071
    • /
    • 2003
  • 본 연구는 폐경전 성인여성들의 골격상태를 알아보고 신체계측 및 식이섭취실태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성인여성 61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을 실시하고 24시간 회상법으로 영양소 및 주요 식품군의 식품섭취실태를 조사하고 DEXA를 사용하여 요추와 대퇴부 3부위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1)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37세였으며, 평균 신장과 체중은 158.17cm, 54.55kg였으며, 평균 BMI와 WHR은 21.82, 0.78로 대상자들의 비만도는 정상이었다. 2) 평균 골밀도는 요추(L24) 1.04 g/$\textrm{cm}^2$, 대퇴경부 0.76g/$\textrm{cm}^2$, 대퇴전자부 0.66g/$\textrm{cm}^2$, 와드삼각부 0.69g/$\textrm{cm}^2$이었다. 3) T-score로 판정시 요추(L24)의 경우 골다공증군 3.28%, 골감소증군 14.75%, 대퇴경부의 경우 골다공증군 9.84%, 골감소증군 52.46%, 대퇴전자부의 경우 골다공증군 1.64%, 골감소증군 34.43%, 와드삼각부의 경우 골다공증군 6.56%, 골감소증군 45.90%였다. 4) 영양소중 칼슘(78.75%), 철분(69.75%) 및 비타민 A(92.17%) 영양소의 1일 평균 섭취량은 영양권장량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5) 신체계측 및 영양소섭취량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신체계측에서 체중(p < 0.05), 엉덩이둘레(p < 0.01), 제지방함량(p < 0.05), 총수분함량(p < 0.05)이 높을수록 요추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영양소섭취량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6) 주요 식품군의 식품섭취실태와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분석에서 버섯군의 식품섭취횟수(p < 0.05, p < 0.05)가 많을수록 요추(L3, L24)의 골밀도가 각각 유의하게 높았으며, 유지류군의 섭취식품수(p < 0.05)가 많을수록 와드삼각부의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곡류군의 섭취식품수(P < 0.01, p < 0.05, p < 0.05)가 많을수록 대퇴부 3부위 (대퇴경부, 대퇴전자부 및 와드삼각부)의 골밀도가 각각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경전 성인여성의 경우 요추보다는 대퇴부 3부위의 경우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대퇴경부에 있어서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의 비율이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요추와 대퇴부 3부위의 골밀도는 영양소섭취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중, 엉덩이둘레 등의 신체계측요인과 곡류군, 버섯군 및 유지류군 등의 주요 식품군의 식품섭취실태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성인여성에 있어서 골밀도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평상시 적절한 체중유지와 아울러 식생활지침에 있어서 주요식품군별로 적절한 섭취식품의 수, 섭취량 및 섭취빈도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퇴관절 전치환술을 이용하여 개의 재발되는 대퇴관절 탈구증의 치료 (Treatment of Recurrent Coxofemoral Joint Luxation by Total Hip Replacement in a Dog)

  • 김주호;허수영;김민수;이기창;김남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5-128
    • /
    • 2014
  • 38 kg, 7년령의 골든리트리버가 대퇴관절 탈구증으로 의뢰되었다. 신체검사에서는 왼쪽 뒷다리를 신전시킬 때 통증과 염발음이 확인되었다. 방사선 검사를 통해 왼쪽 대퇴관절 탈구증 및 경도의 퇴행성 골변화가 관찰되었다. 치료로서 TightRope$^{(R)}$를 이용한 최소침습 관절경적 정복을 하였으나, 수술 후 한달이 지나 재탈구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해 무시멘트형 대퇴관절 전치환술을 실시하였다. 수술 후 10개월 경과된 결과, 환자는 정상적으로 앉기, 서기, 보행을 보였으며, 특이한 파행없이 편안하게 뛸 수 있었다. 수술한 뒷다리의 허벅지둘레는 반대쪽 다리의 그것에 비해 108.6%였다. 이 증례를 통해 대퇴관절 전치환술은 대퇴관절 정복이 실패하여 재탈구된 개의 대퇴관절 탈구 치료에 효과적인 수술법이 될 수 있다.

자가 골-슬개건-골과 슬괵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중기 추시 결과 (Mid-term Results of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utologous Bone-Patellar tendon-Bone versus Hamstring tendon)

  • 심재앙;곽지훈;이범구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5-49
    • /
    • 2006
  • 목적: 자가 골-슬개건-골과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5년 중기 추시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후 5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한 65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골-슬개건-골이 38예, 슬괵건이 27예였다. 술 후 평가는 Lysholm 점수, 관절 운동 범위, 대퇴부 중간 부위 둘레 길이, Lachman 검사, 축 이동 검사, KT 2000 관절 계측기를 시행하였고, 술 후 합병증을 평가하였다. 결과: Lysholm 점수는 골-슬개건-골군과 슬괵건국에서 각각 평균 91점, 94.2점으로 슬괵건군이 우수하였고, 대퇴부 중간 부위 둘레 길이는 건측에 비해 각각 평균 1.7cm, 1.3cm의 차이를 보였다. 양 군간에 관절 운동 범위, Lachman 검사, 축 이동 검사 및 KT 2000 관절 계측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술 후 합병증은 과도한 보행이나 운동 후 슬관절 동통이 골-슬개건-골군에서 7예, 슬괵건 군에서 4예 관찰되었고, 전방 슬관절 동통이 골-슬개건-골군에서 4예 관찰되어, 골-슬개건-골군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 5년 중기 추시에서 자가 슬괵건군이 우수한 슬관절 기능, 적은 합병증 등 임상적으로 우수하였으나 장기 추시가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슬랙스 대퇴부 둘레와 허리선 위치에 따른 동작기능성 (The Moving Function for Slacks Related to Thigh Circumference and Crotch Length)

  • 연지연;권수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551-563
    • /
    • 1999
  • In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were allowed to wear the slacks varying the thigh circumference(slim/straight type) and crotch length(long, middle, short crotch type). Tightness and uncomfortability for each slacks were measured to be expressed 5point-likert typ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t the research for measuring uncomfortability, measures of slim types and straight types of thigh circumference, crotch length B and C, and the body movement such as sitting down on the chair, sitting down with their body curling like a ball, and getting down on their knees were higher in slim types than in straight types. 2. Only crotch length C had different measures between these two types in tightness. 3. In uncomfortability, each of them had different measures among three kinds of crotch length and two types of thigh circumference had different measures among three kinds of crotch length. Four kinds of movement had different measures among three kinds of crotch length in uncomfortability. While uncomfortability of crotch length B was the highest one, that of crotch length A was the lowest one. 4. In tightness, each of them had different measures among three kinds of crotch length. While tightness of crotch length C was the highest one, that of crotch length A was the lowest one. Four kinds of movement had different measures among three kinds of crotch length in tightness.

  • PDF

두경부암종에서 식도와 인두의 재건 (Esophagus and Pharynx reconstruction for head & Neck cancer)

  • 손진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15
    • /
    • 2005
  • 식도와 인두 재건은 연하작용을 원활하게하고 발선기능을 보존하면서 위험부담이 가장 절은 술식을 선택하는 것이 원칙이다. 술식의 선택에 고려되어야 할 주요 인자는 결손부위의 크기, 창상의 상태, 술전 방사선치료 여부, 환자의 전신상태 등이다. 부분인두결손에는 유경근피판(pedicled myocutaneous flap)이나 유리피판이 적합하며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는 유리피판이 유리하다. 흉곽입구 상부에 국한된 인두와 식도의 전체둘레결손에는 전완부, 외측 대퇴부, 공장의 유리피판이 좋다. 전완부는 피판이 다루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공여부에 합병증이나 미용상의 문제가 있고 외측 대퇴부는 공여부의 문제는 매우 적으나 피판의 사용이 전완부에 비하여 약간 제한적이다. 공장은 허혈에 약하고 공여부 합병증이 다른 피판에 비해 불리하다. 저자의 경험으로는 흉곽상부에 국한된 결손의 재건에 환자가 비만하거나 대퇴부에 털이 많은 경우는 전완부 유리피판이 좋고 그렇지 않으면 외측 대퇴부 유리피판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흉곽입구 하방까지 연장된 결손이나 식도전적출술로 인한 결손에는 위전위술이 가장 적합하다. 방사선치료 등으로 창상에 혈관보호가 요구되는 경우는 대흉근피판이 유용하다. 앞으로 새로운 재건술의 개발이 이어지겠지만 모든 환자에게 맞는 이상적인 재건술은 없다. 재건술마다의 장단점과 제약점을 파악하고 환자의 조건에 따라 가장 적절한 재건술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만성 대퇴정맥 결찰술 후 정맥 Crossover 우회로 조성술 -1예 보고- (Vein Crossover Bypass Surgery for a Chronic Femoral Vein Ligation -A case report-)

  • 홍준화;조대윤;최주원;손동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534-537
    • /
    • 2010
  • 5세 때에 교통사고 후 지혈목적으로 대퇴정맥 결찰을 받은 26세 남자 환자가 입원 5일 전 축구하다 생긴 좌측 하지의 정맥궤양에서 나타난 출혈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환자는 좌측 하지에 하지 정맥류의 발생과 정체성 피부염과 정맥 궤양이 있었다. 좌측 대퇴정맥 혈류를 우측 대퇴정맥으로 환류시키려고 우측 대복재정맥을 이용하여 동정맥루가 있는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하였다. 우회로의 원활한 개통을 위해 만든 동정맥루는 처음 수술 6주 후에 폐쇄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6개월 간 좌측 하지 둘레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만성 대퇴정맥 결찰 환자에 대한 정맥 crossover 우회로 조성술 1예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드롭 착지 동작 시 탄성 섬유 바지 착용이 충격력과 근육 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earing Spandex Pants on Impact Forces and Muscle Activities during Drop Landing)

  • 채원식;강년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03-61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롭 착지 동작 시 탄성 섬유 바지 착용이 충격력과 근육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7쌍의 표면전극을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대퇴이두근, 전경골근, 내측비복근, 외측비복근에 부착하고 탄성 바지와 일반 바지를 무작위로 착용한 상태로 플랫폼에서 드롭 랜딩하였고 각 변인에 대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차를 밝혔다(p< .05). 착지 구간 동안 전경골근, 대퇴이두근, 내측비복근의 평균적분 근전도치가 일반바지 착용 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대퇴직근을 제외한 모든 근육에서 최대적분 근전도가 탄성바지 착용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탄성바지 착용 시 신체 하지분절의 감속과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근육 동원 능력이 높아져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탄성바지 착용이 충격력과 부하율의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발생시키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탄성바지는 피험자의 하지 둘레에 적합하게 제작되어진 바지가 아니기 때문에 탄성과 압축력이 이상적으로 발생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복합운동이 폐경 전 성인여성의 신체조성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Exercise in Premenopausal Women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 김경희;이정희;여진동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45-155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6개월 이내에 특별한 식이 요법이나 정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은 폐경 전 성인여성이 복합운동에 따른 신체조성 및 골밀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이 결과는 폐경 전 성인여성의 건강 및 운동실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 발생하게 되면 치료나 완치가 어려운 골다공증 예방교육을 조기에 실시하고 관리능력을 배양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의 30대 평균 연령은 35.44세, 신장은 30대 평균 158.89 cm이고, 40대 평균 연령은 41.89세, 40대 평균 신장은 160.78 cm를 차지했다. 신체 조성에서 근육 량, BMI, 체지방률의 평균은 30대에서 높았고, 골무기질, 제지방량, 골격근량, 체중, 체지방량, 허리둘레의 평균은 40대에서 높았다. 요추골밀도 및 대퇴골밀도는 30대가 40대보다 높았다. 폐경 전 성인여성의 연령별 복합운동에 의한 30대 신체조성은 근육량, 골격근량, 제지방량은 증가하였고, 체지방량, 체중, 체지방률, 허리둘레는 감소하였다. 40대 신체조성 중 근육량은 증가 하였으며,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는 감소하였다. 3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는 요추 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고, 4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는 요추 각 부위,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다. 사후분석 결과에서 신체조성의 변화는 복합운동 후 근육량, 체중, 체지방량, BMI는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골밀도의 변화에서 요추골밀도는 요추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퇴골밀도는 대퇴삼각과 대퇴전체에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닫힌사슬운동이 슬관절 대퇴둘레, Lysholm 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on Thigh Circumference and Lysholm Scale of the Knee Joints of Patients with ACL Reconstruction)

  • 김연주;이윤미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9권6호
    • /
    • pp.31-36
    • /
    • 2007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thigh circumference and Lysholm scale of a stable and unstable exercise group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CL reconstruc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patients more than 4 weeks after their ACL reconstruction and could stand on one leg.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with 9 patients performing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on a stable floor and an experimental group with 10 patients performing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en an unstable floor. The degree of muscle atrophy was compared by measur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jured thigh before the exercise program, and 3 weeks and 6 weeks after the exercise program. The Lysholm scale was used to assess the function of the knee join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igh circumference according to the exercise periods in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before exercises and 6 weeks after the exercises (p<0.0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ysholm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p<0.05). Conclus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wo group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the exercise program and 6 weeks after the exercise program (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