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조추출물

검색결과 1,959건 처리시간 0.038초

마가목의 열매 추출물이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uit extracts from Sorbus commixta Hedl.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 정병희;이현용;이진하;김나영;이성열;최진태;김재헌;김종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47
    • /
    • 2003
  • Sprague-Dawley rats에 동결건조한 마가목 열매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식이에 1%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사육한 결과, 성장률과 식이섭취량에 있어서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과 triglyceride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마가목 열매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군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HDL-cholesterol과 phospholipids 및 glucose는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장 중의 triglyceride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메탄올추출물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물추출물군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간장 중의 total cholester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물추출물군과 메탄올추출물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phospholipids 함량은 물추출물군과 메탄올추출물군이 대조군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다. 분변량은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담즙산 배설은 물추출물군과 메탄올추출물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강황(Curcuma aromatics Salab.) 추출물이 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urmeric(Curcuma aromatica Salab.) on Shelf Life of Tofu)

  • 박경남;박나영;김대곤;박금순;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6-141
    • /
    • 2007
  • 강황 추출물 첨가 두부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조사한 결과 $5^{\circ}C$에서는 품질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25^{\circ}C$에서 저장한 경우 강황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pH는 높고 산도는 낮았으며, 총균수는 2-3 log cycle 적어 저장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강황 추출물 첨가 두부의 저장 중 조직감은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하여 강황 추출물 첨가구의 hardness, choesiveness, springiness가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중 색상의 변화는 lightness의 경우 저장기간, 강황 추출물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a값은 강황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b값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강황추출물 첨가 두부의 맛과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조직감은 대조구보다 우수하였다.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소나무(Pinus densifiora Sieb. et Zucc.)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 임용숙;박경남;배만종;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62-468
    • /
    • 2001
  • 천연성 항균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 40mg/$m\ell$를 첨가한 TSB에서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737, Bacillus subtilis KCTC 1021, Bacillus megaterium KCTC 3007 그리고 Vibrio parahaemolticus ATCC 17802는 대조구에 비해 4에서 6 log cycle 그 성장이 억제되었으나 Saimonalla typhimurium ATCC 14028 와 Pseudomonas fluorescens ATCC 21541는 그 성장이 억제되지 않았다. 소나무 추출액의 식품 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각 40mg/$m\ell$, 120mg/$m\ell$를 첨가하며 돈육 분쇄육 저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소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돈육 분쇄육 저장성 실험을 위해 pH, 총균수, 대장균수, 내냉성균수, gram 음성 균수를 측정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pH 측정결과, 저장 20일에 대조구는 육의 부패 수준인 5.88로 육이 부패됨을 알 수 있었으나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 처리구의 pH는 거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육의 부패를 지연시킴을 알 수 있었다. 총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소나무 에탄올 추출액 첨가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균증식 억제효과도 크게 나타났다. 내냉성균수와 gram 음성 균수의 증식 억제도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쇄육에 여러 가지 재료를 혼합하여 햄버거 패티를 제조 후 소나무 에탄올 추출물 40mg/$m\ell$ 첨가구의 맛, 향, 종합적 기호성을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분쇄육 저장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민들레잎추출물의 흰쥐 체내 지질대사 개선 효과 (Effect of Dandelion Leaf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 조수열;박지윤;오연진;장주연;박은미;김명주;김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76-682
    • /
    • 2000
  • 흰쥐에세 1% 콜레스테롤과 0.25% 콜산나트륨을 첨가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식이와 민들레추출물을 분획별(열수추출물군,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 군, 에테르추출물군)로 나누어 급여하여 민들레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테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열수추출물군에서 유의적으로 증 가되었으며 식이효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과 간조직 \ulcornerㅇ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릴에스테르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민들레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 로 감소되었으며, 특히 에틸라세테이트추출물군의 간조직 중의 중성지질, 유리콜레스테롤 및 총콜레스테롤의 감소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혈청 인지질 농도는 민들레추출 물 급여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간조직에서는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증가되는 경향 이었다. 혈청 중 킬로미크론, VLDL-콜레스테롤 농도는 민들레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 소되었는데 열수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군의 감소정도가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 면,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열수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동맥경화지수는 민들레추출물군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 중의 HMG-CoA reduct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민들레 열수추출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 었으며, ACAT 활성은 민들레추출물 급여군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 과 민들레추출물 특히, 열수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 급여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 여한 흰쥐의 간조직 중 ACAT 활성을 감소시키므로써 혈청과 간조직의 총콜레스테롤과 유 리콜레스테롤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오미자 물 추출물을 이용한 물김치의 품질특성 (Effec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with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Water Extract)

  • 정태성;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301-1306
    • /
    • 2008
  • 건 오미자 1%, 2%, 3% 첨가하여 침출시킨 오미자 물 추출물을 담금 용수로 하여 물김치를 제조하여 발효 중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pH는 초기 대조구 6.53, 오미자 물김치의 농도별 pH는 각각 3,63, 3.29, 3.17이었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구는 낮아지고 오미자 물김치는 다소 높아졌다. 물김치의 산도 변화는 pH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 과정 중 총 균수와 젖산균수의 변화는 유사하였으며, 오미자 물김치에서 대조구에 비해 생균수는 적었으며, 오미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균수는 감소하였다. 조직감은 발효 기간 동안 경도, 씹힘성, 응집성, 탄력성이 감소하였으며, 1% 오미자 물김치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오미자 물 추출물로 담근 물김치는 전자공여능은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3% 오미자 물김치가 62.7%로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 역시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숙성 12일째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기호성 검토결과, 맛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1% 오미자 물 추출물로 담금 김치가 가장 우수하였다.

녹차의 첨가방법에 따른 김치의 발효특성 비교

  • 김순동;김미경;김미정;김미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46.1-146
    • /
    • 2003
  • 관능성과 기능성이 증진된 김치를 제조하기 위해 polyphenol 성분의 함량이 높은 녹차를 부재료로 첨가하는 방법에 따른 김치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김치의 발효특성을 비교 조사하기 위하여 1%의 녹차 물추출물를 함유하는 소금물로 절인 후 담근 김치(I), 절임배추를 1% 녹차 물추출물에 일정시간 침지 후 제조한 김치(II), 녹차 물추출물 1%를 양념과 혼합하여 담근 김치(III)의 3가지 방법으로 김치를 제조한 후 1$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pH, 산도, 균수, 총 페놀함량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의 pH는 숙성중 I~III의 경우보다 낮았고, 산도의 경우도 pH와 역으로 pH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녹차처리방법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대조구의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각각 6.27~9.22 및 4.50~8.28 log cfu/mL로 I~III의 5.46~8.47 및 4.55~8.00 log cfu/mL보다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김치의 적숙기에 높게 나타났으며 control

  • PDF

매실(Prunus mume)추출물이 쌀밥의 관능적 특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the Sensory Quality and Shelf Life of Cooked Rice)

  • 박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3-508
    • /
    • 1998
  • 쌀밥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밥물에 매실 추출물을 첨가하여 취반하고 쌀밥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을 측정하였다. 매실 물추출물 500ppm과 매실 알콜추출물 500ppm이 첨가된 쌀밥의 관능성은 맛, 색깔 그리고 향기에서는 대조구보다 우수하였고, 조직감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매실 알콜추출물 500 ppm이 첨가된 쌀밥의 색깔이 가장 우수하였다. 색도는 매실 추출물 첨가로 L값은 감소하였고 a, b값은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와 색도차이($\Delta$E)는 매실 물추출물 500 ppm과 1000 ppm 첨가구에서 2.00과 4.85이며, 매실 알콜추출물 500ppm과 1000ppm 첨가구에서 2. 71과 3.36으로, 매실 추출물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인(0<0.05)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쌀밥이 부패되었을 때 pH는 5.8~5.9, 적정산도는 0.1% 그리고 총 세균수는 $10^{8}$ cfu/g수준이었다. 3$0^{\circ}C$에서 저장중 대조구에서는 3일만에 변질이 되었으며 매실 알콜추출물 500, 1000 ppm 첨가구에서는 각각 4, 5일만에 변질되었으며 매실 물추출물 500ppm 첨가구에서는 5일만에 변질되었고 매실 물추출물 1000ppm 첨가구에서는 5일 까지 변질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매실 추출물을 첨가하여 취반된 쌀밥의 저장성이 1~2일 이상 연장되었으며 매실 알콜추출물 보다 매실 물추출물이 쌀밥의 저장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식물 혼합(고들빼기, 돌미나리, 메밀, 톳, 생강) 추출물이 마우스 면역 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Plant Water Extract Mixture(Ixeris sonchifolia Hance, Oenanthe javanica, Fagopyrum esculentum Moench, Hizikia fusiforme, Zingiber officinale Roscoe)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 김정희;김현숙;류혜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4-78
    • /
    • 2007
  • In vitro를 통한 혼합시료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을 시료로 사용하였고,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능 및 활성 복강 대식세포에서 분비하는 사이토카인(IL-1 ${\beta}$, IL-6, TNF-${\alpha}$)의 분비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혼합시료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5${\sim}$250 ${\mu}$g/ml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 세포증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물 추출물인 경우 고농도인 1,000 ${\mu}$g/ml에서, 에탄올 추출물인 경우는 500${\sim}$1,000 ${\mu}$g/ml 이상의 고농도 첨가시 세포증식이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다. 복강 대식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혼합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분비량을 보였다. IL-1${\beta}$ 생성량 검색 결과, 물 추출물 투여군 10 ${\mu}$g/ml 농도 첨가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은 분비능을 보여주었고, 에탄올 추출물을 10 ${\mu}$g/ml와 100 ${\mu}$g/ml 첨가시에도 대조군보다 높은 분비량을 보였다. IL-6의 결과에서도, 물 추출물 10 ${\mu}$g/ml을 첨가했을 때 유의적(p<0.05)으로 높은 분비량을 보였고, TNF-${\alpha}$의 경우, 물 추출물의 10 ${\mu}$g/ml와 100 ${\mu}$g/ml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TNF-${\alpha}$ 분비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혼합 물 추출물이 비장세포 증식능과 복강 대식세포에 의한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상승시킴으로서 면역 기관의 주요 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약재 추출물의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Streptococcus mutans by Herbal Medicine Extracts)

  • 전은숙;윤수홍;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1-3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63종의 한약재 열수 추출물의 S. mutans에 대한 항균효과를 paper disc method로 검색하여, 항균효과가 우수한 지부자, 황금의 S. mutans 생장에 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1. 63종의 한국산 한약재 열수 추출물의 향균효과를 탐색한 결과 S. mutans에 대한 향균력이 우수한 순서는 지부자, 황금순이었다. Paper disc method에 의한 항균활성 측정(20mg/ml 투여)결과는 지부자가 6.3mm, 황금이 3.5mm이었다. 2. 한약재 추출물의 S. mutans 생장에 대한 효과는 대조군이 8시간에서 1.05로 최대 생장률을 보였으나, 지부자, 황금 추출물 2mg/ml을 투여한 배지에서는 16시간 만에 0.91, 0.87로 최대 생장을 보였다. 3. S. mutans를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내 pH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5.08 이었으며, 지부자, 황금 추출물이 투여된 배지는 5.80, 5.74이었다. 4. S. mutans를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내 탄수화물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0.81mg/ml이었으며, 지부자, 황금 추출물이 투여된 배지는 1.70mg/ml, 1.84mg/ml 이었다. 5. S. mutans를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내 단백질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8.39mg/ml 이었으며, 지부자, 황금 추출물이 투여된 배지는 9.52mg/ml, 9.28mg/ml 이었다. 6. S. mutans의 다당류 생성에 미치는 효과는 대조군의 경우 배양 8시간에 300mg/100ml을 생성하였으나, 지부자, 황금 추출물이 투여된 배지에서는 200mg/100ml, 220mg/100ml을 생성하였다.

  • PDF

오미자, 오수유 추출물의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Streptococcus mutans by Schizandrae fructus and Evodiae fructus extracts)

  • 전은숙;한만덕;김현대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9-44
    • /
    • 2003
  • 본 연구는 오미자, 오수유의 추출물의 S. mutans에 대한 항균효과를 paper disc method로 검색하여, S. mutans 생장에 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1. 오미자, 오수유 열수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탐색한 결과 S. mutans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한 순서는 오미자, 오수유 순이었으며, paper disc method에 의한 항균활성 측정(20 mg/ml 투여) 결과는 오미자가 8.5mm, 오수유가 6.5mm 이었다. 2. 한약재 추출물의 S. mutans 생장에 대한 효과는 대조군이 8시간에서 1.05로 최대 생장률을 보였으나, 오미자, 오수유 추출물을 2 mg/ml을 투여한 배지에서는 16시간만에 0.90, 0.80로 최대생장을 보였다. 3. S. mutans를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내 pH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5.08 이었으며, 오미자, 오수유 추출물이 투여된 배지는 6.00, 5.36 이었다. 4. S. mutans를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내 탄수화물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이 0.81 mg/ml 이었으며, 오미자, 오수유 추출물이 투여된 배지는 1.32 mg/ml, 1.88 mg/ml 이었다. 5. S. mutans를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내 단백질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은 8.39 mg/ml 이었으며, 오미자, 오수유 추출물이 투여된 배지는 8.59 mg/ml 9.97 mg/ml 이었다. 6. S. mutans의 다당류 생성에 미치는 효과는 대조군의 경우 배양 8시간에 300 mg/ml을 생성하였으나, 오미자, 오수유 추출물이 투여된 배지에서는 240 mg/100 ml, 280 mg/100 ml을 생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