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인관계성

검색결과 567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생의 대학적응, 인성, 의사소통능력이 현장실습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Effects of college students' adjustment, Characte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field practice adaptation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 제남주;박미라;화정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249-259
    • /
    • 2019
  • 본 연구 목적은 대학생의 대학적응, 인성,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유능성이 현장실습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G도의 J시와 C시에 소재한 대학교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WIN 20.0를 이용하여 Baron & Kenny의 3단계 절차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이용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현장실습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은 대학적응(${\beta}=.22$, p=.003)과 대인관계 유능성(${\beta}=.38$, p<.001)이었으며, 인성과 의사소통능력은 현장실습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beta}=.02$, p=.740), (${\beta}=.04$, p=.590)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대인관계 유능성을 통한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beta}=.15$, p=.004), (${\beta}=.19$, p=.011). 인성과 의사소통능력이 대인관계 유능성을 매개로 현장실습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대학에서 바람직한 인성교육과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훈련프로그램 마련이 중요하다.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대인관계 유능성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권명진;김선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2-70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생 154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11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x2-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설명력은 41.6%로 나타났다(F=66.48, p<.001).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밝혀진 영향요인인 심리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SNS 사용자의 온라인기반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Online-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mation of the SNS Users)

  • 허송지;김자영;장희진;박수이;고혜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01-1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자들이 온라인을 기반으로 생성하는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온라인 대인관계 영향 요인들을 문헌적 조사와 실증적 조사를 거쳐 수집한 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PLS와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인과적 분류에 따른 개인적, 관계적, 환경적 요인과 사회적매력, 육체적매력, 정보게시성, 호혜성, 유사성, 컨텐츠퀄리티, 웹외양, 공동공간감 등 8가지 세부 요인들은 대인관계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최종적으로 이 요인들을 SNS 사용자들의 온라인 기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안하였다.

임상간호사의 업무소진, 대인관계 능력, 전문직 자아개념과 우울간의 관련성 (Relations of Burnout, Interpersonal Relation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 염은이;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869-287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업무소진, 대인관계 능력, 전문직 자아개념 및 우울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변수와 우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충청도 소재의 A종합병원 8개의 간호단위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로 2012년 12월 10일부터 2013년 1월 30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업무소진은 대인관계능력, 전문직 자아개념과 음의 상관관계를, 우울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인관계 능력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양의 상관관계를, 우울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전문직 자아개념은 우울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일반적 직업관련 특성 중 우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연령, 결혼상태, 근무경력, 근무부서와 주요변수인 업무소진, 대인관계 능력, 전문직 자아개념 중 업무소진 만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파악되었고, 이 변수의 우울에 대한 설명력은 43%로 나타났다.

장모-사위의 대인관계적 분화가 애정적 결속도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Effect of Interpersonal Differentiation on Affectual Solidarity among Mother-in-law and Son-in-law: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 전세송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57-569
    • /
    • 2021
  • 본 연구는 장모-사위 간 대인관계적 분화와 애정적 결속도 간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193쌍의 장모와 사위를 대상으로 하였다. SPSS와 PROCESS macro program를 이용하여 빈도, 비율, 평균, 표준편차의 기술통계 분석과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를 통한 매개효과 분석이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위의 경우 본인의 결혼만족도가 대인관계적 분화의 하위요인(타인과의 융합, 정서적 단절)과 애정적 결속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둘째, 장모의 경우, 본인이 지각한 딸의 결혼만족도가 대인관계적 분화의 하위요인(연결성, 분리성)과 애정적 결속도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건강한 장모-사위 관계를 위한 부부체계의 기능적 중요성을 시사해준다.

참여의사결정과 대인신뢰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and Interpersonal Trust Effects on the Productivity)

  • 정기호;황종호;홍순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264-272
    • /
    • 2005
  • 본 연구는 내부조직관계에서 대인신뢰를 구성원들의 상대방(부하, 동료, 상사)에 대한 능력, 상호 믿음과 지원에 기반을 두는 것으로 정의하고, 조직구성원들의 협력적 관계는 조직결과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여, 참여적 의사결정이 조직생산성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직무수행에 관련한 의사결정에 참여도와 성과의 피드백만족도 그리고 개방적 의사전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생산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대인신뢰에 기반을 둔 행정조직은 또 다른 관리적 도전인 문화적 다양성의 증대와 고객기대의 충족에 대처하게 되므로, 상사와 부하간의 대인신뢰를 구축하는 것은 구성원의 직무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조직몰입을 강화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자기조절력, 스마트폰 의존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pathy, Self-control, and Smartphone Dependenc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Nursing Students)

  • 유장학;천의영;김해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82-9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공감능력, 자기조절력, 스마트폰 의존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자료는 A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5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5월 27일에서 5월 31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적에 따라 자기조절력(F=5.319, p=.006)과 스마트폰 의존성(F=4.854, p=.009)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라 스마트폰 의존성(t=-3.381, p<.001) 차이가 있었다. 연령은 자기조절력과 순상관관계(r=.194, p=.015)를, 스마트폰 의존성과는 역상관관계(r=-.223, p=.005)를 보였다. 또한 자기조절력은 공감능력(r=.244, p<.01)과 대인관계(r=.540, p<.001)와는 순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스마트폰 의존성(r=-.432, p<.001)과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는 순상관관계(r=.476, p<.001)에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조절력(β=.477, p<.001), 공감능력(β=.359, p<.001), 스마트폰 사용시간(β=.208, p<.01)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45.0%(F=12.029, p<.01)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를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에서는 자기조절력, 공감능력,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기청소년의 체형 인식, 대인관계 문제 및 영적 안녕 간의 관계 (Relations among Body Shape Percepti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Spiritual Well-being in Late Adolescents)

  • 이해영;유하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327-335
    • /
    • 2015
  • 본 연구는 후기청소년의 자신의 체형에 대한 인식, 대인관계 문제, 그리고 영적 안녕의 정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 소재 1개 고등학교 3학년 학생과 2개 대학교의 학생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16명을 임의로 표출하였다. 2012년 10월 12일부터 11월 16일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Kruskal-Wallis test, Bonferroni correc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94.9%가 체질량지수가 저체중 혹은 정상체중이었지만 현재 보다 더 마르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형 인식은 성별, 종교 유무, 체중조절 경험 유무, 현재 체질량지수와 원하는 체질량 지수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영적 안녕은 종교 유무와 음주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체형 인식과 대인관계 문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대인관계 문제와 영적 안녕 간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후기 청소년의 왜곡된 체형 인식에 대한 교육과 상담의 필요성이 있으며,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 문제에 대한 중재 요소로서 영적 안녕에 대한 영역을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대학생의 인터넷중독 유발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ducing internet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 최현석;하정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3호
    • /
    • pp.437-448
    • /
    • 2011
  •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편리해진 점은 많이 있으나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의 과다한 인터넷 사용이 인터넷의존성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에는 자기통제능력을 상실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인터넷중독에 이르게 되는 관계를 밝힌다. 인터넷 사용빈도가 높을수록 인터넷의존성, 대인관계 및 인터넷중독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넷의존성이 클수록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고, 인터넷중독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을수록 인터넷중독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통제력이 뇌졸중 환자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trol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troke Patients)

  • 황정하;임재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3-74
    • /
    • 2020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내적 수치심과 자기통제력이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고, 그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임상에 필요한 근거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전라남도 및 충청남도 지역 소재에 작업치료사가 근무하고 있는 기관에서 작업치료 서비스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150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1일부터 2019년 4월 30일까지 일반적 특성, 대인관계(RCS), 자기통제력(SCS),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통제력 그리고 대인관계의 관련성은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고, 뇌졸중 환자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를 비교한 결과, 연령과 교육수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자기통제력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었고, 자기통제력과 대인관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대인관계 하위요인인 개방성, 민감성, 친밀감, 의사소통 항목과 자기통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의 하위 영역인 부적절함(β =-0.32)과 모험 추구(β =-0.23) 항목은 역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자기통제력의 하위 영역인 신체활동(β =-0.22)과 자기중심(β =0.24) 항목은 정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대인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심리적인 요인이 적용된 재활치료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