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 among Body Shape Percepti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Spiritual Well-being in Late Adolescents

후기청소년의 체형 인식, 대인관계 문제 및 영적 안녕 간의 관계

  • 이해영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
  • 유하나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5.08.20
  • Accepted : 2015.09.10
  • Published : 2015.10.28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to identify the relations of body shape percepti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spiritual well-being in late adolesc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are 116 late adolescents in S and K city.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October 12 to November 16,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Kruskal-Wallis test, Bonferroni correc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shape perception for gender, religion, experience of weight control, current body mass index, and wanted body mas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ritual well-being for experience of drinking and religion.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and spiritual well-being. Conclusions: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will be needed to improve interpersonal problems and abnormal body shape perception and to enhance spiritual well-being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후기청소년의 자신의 체형에 대한 인식, 대인관계 문제, 그리고 영적 안녕의 정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 소재 1개 고등학교 3학년 학생과 2개 대학교의 학생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16명을 임의로 표출하였다. 2012년 10월 12일부터 11월 16일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Kruskal-Wallis test, Bonferroni correc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94.9%가 체질량지수가 저체중 혹은 정상체중이었지만 현재 보다 더 마르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형 인식은 성별, 종교 유무, 체중조절 경험 유무, 현재 체질량지수와 원하는 체질량 지수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영적 안녕은 종교 유무와 음주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체형 인식과 대인관계 문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대인관계 문제와 영적 안녕 간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후기 청소년의 왜곡된 체형 인식에 대한 교육과 상담의 필요성이 있으며,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 문제에 대한 중재 요소로서 영적 안녕에 대한 영역을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law.go.kr/main.html
  2. 최보아, "청년기 생활설계 진단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5호, pp.101-111, 2010.
  3. 정옥분,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 학지사, 2008.
  4. 곽한병, 구경자, "생활무용 참가가 여성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8호, pp.407-416,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8.407
  5. 최은희, 모문희, "일개 지역 남녀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상",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1313-1319,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3.1313
  6. M. Featherstone, "Body, image and affect in consumer culture", Body and Society, Vol.16, No.1, pp.193-221, 2010. https://doi.org/10.1177/1357034X09354357
  7. 이경희, 대학생의 우울,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외모만족도의 매개효과분석,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 강영숙, 대학생들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직업 선택시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9. 주경숙,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존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0. 김미현, "한국 여자 고등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 체형 인식 및 체중 조절 행동 양상 -제 6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25권, 제3호, pp.579-589, 2012. https://doi.org/10.9799/KSFAN.2012.25.3.579
  11. 강지숙, 김예영, 김미영, 정덕유, "여대생의 신체상, 체질량 지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96-305, 2009.
  12. 남궁정은,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와 성의 조절효과,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13. 이경희, 청소년의 외모관심과 외모만족도가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 이복희, 유옥순,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유풍출판사, 2009.
  15. 우채영, 박아청, 정현희, "성별 및 학교 급별에 따른 청소년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1호, pp.19-38, 2010.
  16. M. A. Burkhardt, "Spirituality: an analysis of the concept", Holistic Nursing Practice, Vol.3, No.3, pp.69-77, 1989. https://doi.org/10.1097/00004650-198905000-00011
  17. 이화인, "일부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1호, pp.7-15, 2002.
  18. 유은주, 암환자의 NURSE PRESENCE, 영적 안녕 및 희망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9. 강은실, 송양숙, 조향숙, 강성년, "청소년의 자살 의도, 우울, 영적 안녕과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90-199, 2004.
  20. 김영아, 권영숙, 박경민, "고등학생의 자살위험성, 자아존중감 및 영적 안녕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12-124, 2006.
  21. 강경아, 김신정, 송미경, "중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 생의 의미 및 영적 안녕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제15권, 제4호, pp.343-349, 2009.
  22. 김남희, 청소년의 영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23. 전겸구, 정봉도, 김용환, "생활스트레스, 영적 안녕 및 우울 간의 관계", 난청과 언어장애, 제23권, 제1호, pp.311-325, 2000.
  24. T. I. Sorensen, A. J. Stunkard, T. W. Teasdale, and M. W. Higgins, "The accuracy of reports of weight: Children's recall of their parents weight 15 years earlier",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Vol.7, No.2, pp.115-122, 1983.
  25. 김은아, 고등학교 여학생의 체형에 대한 인식과 체중조절행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역학통계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26. 배종면, 원장원, "자기기입용 비만도 측정 설문 도구 개발", 가정의학회지, 제17권, 제5호, pp.332-338, 1996.
  27.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조용래, 진유경,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 (KIIP-SC) 구성",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1권, 제4호, pp.923-940, 2002.
  28. R. F. Paloutzian and C. W. Ellison,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L.A. Peplau, D. Perman(Ed),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John Wiley & Sones, 1982.
  29. 박지아, 유성경, "적응유연성과 영적 안녕 및 부모 애착간의 관계", 한국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제15권, 제4호, pp.765-778, 2003.
  30. 이윤, 신혜경, 최병민, 은백린, 박상희, 이기형, 신철, "청소년기 여학생의 외모에 대한 인식 및 체중조절 실태조사",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제51권, 제2호, pp.134-144, 2008. https://doi.org/10.3345/kjp.2008.51.2.134
  31. 최인재, 이기봉, 한국 청소년 지표조사 V: 청소년 건강실태 국제비교 조사(한.미.일.중 4개국 비교),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 2010.
  32. 강양희, 박성희, "청소년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 감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211-21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211
  33. 이금룡, "외모가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서울 시내 중.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학생생활연구, 제11권, pp.1-18, 1998.
  34. 김경혜, 김경덕, 변혜선, 정복례,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 자아존중감 및 죽음에 대한 태도", 종양간호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9, 2010.
  35. 장인순, "일부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영적 안녕,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0권, 제2호, pp.91-98, 2004.
  36. 서경현, 전겸구, "영적 안녕, 생활 스트레스 및 대처",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9권, 제2호, pp.333-350,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