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두 이소플라본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5초

대구 지역 성인 여성의 대두식품 기호도와 이소플라본 섭취량 (Preference for Soybean-based Foods and Isoflavone Intake in Female Adults Living in Daegu)

  • 최미자;정윤정;이나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9-42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preferences toward soybean-based foods and levels of dietary isoflavone intake in female adults living in Daegu. In order to determine the subjects' attitudes toward soybean-based foods their degree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along with intake frequency were examined. To estimate their isoflavone intake levels,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24-hour recall method were used.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of the subjects were 47.3 years, 159.6 cm, 56.4 kg, and 22.1 kg/$cm^2$, respectively. And their mean energy, protein, dietary fiber, calcium, and sodium intakes were 1,871.9 kcal, 81.1g, 23.2 g, 604.7 mg, and 5.07 g, respectively. The average amount of isoflavones consumed from soy foods was 29.49 mg/day(daidzein 13.14 mg/day and genistein 16.35 mg/day) as assess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by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average amount was 22.97 mg/day (daidzein 10.10 mg/day and genistein 12.87 mg/day), showing that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ssessment amount was 6.52 mg higher than that by 24-hour recall method. The major food sources of the isoflavones were soybean paste and soybeans. For the subjects' degrees of recognition of soybean food, soybean paste received the highest score among the item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soybean-based foods were soybean paste stew and soybean paste soup. Furthermore isoflavone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menopausal women than in the premenopausal women. Overall, these data help elucidate the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soy food consumption and also provide an assessment of dietary soy isoflavone intake in Korean women.

  • PDF

청소년의 대두식품에 대한 태도 및 추정된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 of Soy Food and Estimated Dietary Isoflavone Intake among Korean Adolescents)

  • 이민준;김민정;민성희;윤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606-61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ttitude to various soy foods and to estimate dietary isoflavone intake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8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urban and rural areas and 71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sulting in 89% response rate. The dietary isoflavone intake was estimat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rapid assessment of isoflavone intake. Soybean paste, soybean curd, soy milk, bean sprouts and dambuk were recognized as nutritious and healthy food in order. Dambuk got the lowest score in taste and flavor. Bean sprouts, soybean curd and soybean paste were recognized as familiar food in order. Stuffed rice in fried soybean curd got the highest score and Miso soup got the lowest in preference. More than 50% of the subjects consumed soybean paste stew/soup and soybean curd over twice per week and 12.3% of the subjects consumed soybean over once a day. The estimated daily intake of isoflavones ranged from 0 to 227 mg, and the mean daily isoflavone intake of the subjects was 28.1 mg (16.3 mg genistein and 12.0 mg daidzein) whereas the median value of isoflavone intake was 19.7 mg.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Kyung Gi Do, Chung cheung Do and Seoul residents in their intake of isoflavone. The highest monthly income group consumed isoflavone more than the othe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adolescent perceived the soybean dishes as high quality foods but they didn't take much because of difficulty to cook or less chance to ea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enhance consuming soy foods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related to dietary isoflavone intake.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easy cook method of soy food is also needed.

한국 중년여성의 대두식품을 통한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 조사 (Estimated Isoflavone Intake from Soy Products in Korean Middle-aged Women)

  • 이수경;이민준;윤선;권대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48-956
    • /
    • 2000
  • There is growing evidence that soy isoflavone play beneficial roles in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ormone dependent cancers, cardiovascular diseases, osteoporosis and also reduced incidence of menopausal symptoms. However current data are not sufficient to determine the effective doses for beneficial as well as harmful effects and to support dietary recommendation for isoflavones. Since soy products containing isoflavone are one of the common food items that Koreans consume daily basis, assessing consumption of soy isoflavone by Koreans will give a valuable information on making dietary recommendations for isoflavon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dietary intake of isoflavone of Korean middle-aged women who might receive the most beneficial effects from isoflavone consumption thereby prevent post menopausal related symptoms and diseases. In this study isoflavone contents of soy products were analyzed and soy products and isoflavone consumption of these subjects were assessed by a self-reported dietary questionnaire and isoflavone intake data base. Subjects were consisted of 178 Korean women (35~60 y) who live in urban and rural area. All subjects provided detailed information on demographics, anthropometry, health history, menopausal symptoms, health history, menopausal symptoms, and dietary intake us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which was developed for Korean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46.6 years. The soy products which the subjects frequently consumed were soybean paste soup, braised fried soybean, tofu residue stew, tofu, soy milk, natto stew, bean sprouts, and soybean broth which contained 10.68 mg, 3.34 mg, 2.44 mg, 2.42 mg, 2.42 mg, 1.12 mg, 1.02 mg, 0.33 mg of isoflavone per 100 g, respectively. The estimated daily intake (EDI) of isoflavones ranged from 0 to 144.3 mg, and the mean daily isoflavone (sum of daidzein and genisten) intake of the subjects was 24.41 mg.

  • PDF

Weissella cibaria가 생산하는${\alpha}$-Galactosidase 및 ${\beta}$-Glucosid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lpha}$-Galactosidase and ${\beta}$-Glucosidase by Weissella cibaria)

  • 홍성욱;류래균;정병문;김완식;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4-212
    • /
    • 2009
  • 대두의 발효를 통하여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이소플라본 aglycone 함량을 높이기 위한 ${\beta}$-glucosidase와 대두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stachyose, rafinose와 같은 난소화성 oligosaccharides를 분해하기 위해 ${\alpha}$-galactosidase 효소 분비 미생물을 김치로부터 ${\alpha}$-galactosidase와 ${\beta}$-glucosid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탐색하였다. 탐색과정을 위해서 선별한 미생물을 16S rDNA sequencing 동정한 결과, Weissella cibaria 동정되어 Weissella cibaria K-M1-4로 명명하였다. Weissella cibaria K-Ml-4를 대두 액체배지에서 18시간동안 배양한 후, 생산한 효소는 배양액을 에탄을 침전, DEAE sepharose, sephacryl S-100HR column chromatography 통하여 ${\alpha}$-galactosidase의 경우, 정제도 5.3배, 수율 3.5% 그리고 ${\beta}$-glucosidase의 경우, 정제도 4.4배, 수율 2.9%로 정제되었다. ${\alpha}$-Galactosidase 효소특성은 $60^{\circ}C$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80^{\circ}C$에서 30분 처리시 43% 잔존활성을 보였다. pH 8.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H 5.0-9.0에서 안정하였다. 금속이온에 대한 영향에서 $Fe^{2+}$$Cu^{2+}$을 첨가하였을 때 효소 활성이 증가하였다. p-Nitrophenyl-${\alpha}$-D-galacto-pyranoside (PNPG) 기질에 대한 Km은 0.98 mM이었고, Vmax는 $1.81{\mu}$mole/min 이었다. ${\beta}$-Glucosidase 효소 특성은 $50^{\circ}C$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80^{\circ}C$에서 30분 처리시 46% 잔존활성을 보였다. pH 7.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H 5.0-9.0에서 안정하였다. 금속이온에 대한 영향에서 $Fe^{2+},\;Co^{2+},\;Cu^{2+}$을 첨가하였을 때 효소 활성이 증가하였다. p-Nitrophenyl-${\beta}$-D-gluco-pyranoside (PNPG)에 대한 Km값은 1.24mM이었고, Vmax는 $6.81{\mu}$mole/min 이었다.

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대두 고체발효 중 영양성분과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의 생물전환 (Bioconversion of nutrient and phytoestrogen constituents during the solid-state fermentation of soybeans by mycelia of Tricholoma matsutake)

  • 이희율;조계만;주옥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12-102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대두의 고체 발효 기간 중 β-glucosidase 활성, 유리아미노산, 지방산, 이소플라본 함량 및 항산화 활성과 소화효소 저해 활성 변화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발효 기간 중 β-glucosidase 활성은 증가하여 발효 9일 38.89 unit/g으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이에 상응하여 aglycones 함량이 발효 9일 최대 함량을 보였다(0일: 163.03 ㎍/g → 9일: 1,074.28 ㎍/g). 특히 daidzein과 genistein 함량은 발효 9일 43.90배(511.49 mg/g)와 37.04배(460.86 mg/g) 증가를 보였다. 총지방산 함량과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발효 12일 130.85 mg/g 및 80.47 mg/g으로 가장 높았다. 특히 유리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인 발효 0일과 비교해 발효 12일 BCAA는 36.82배(0.34 → 12.52 mg/g) 증가하였으며, 감칠맛(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과 단맛(serine, glycine, alanine, threonine, valine 및 lysine)과 관련된 성분의 합은 8.73 배(4.23 → 36.91 mg/g) 증가하였다. TP 및 TF 함량은 발효 기간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12일 2.7배(15.09 GAE mg/g) 및 4.4배(1.58 RE mg/g) 증가를 보였다. 항산화 활성 성분의 경향과 마찬가지로 DPPH, ABTS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 활성 또한 발효 12일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ABTS(82.08%) > DPPH(71.98%) > hydroxyl(52.02%) 순으로 높게 확인되었다. α-Glucosidase 및 췌장 lipase 저해 활성은 폴리페놀 화합물에 영향으로 발효 12일 83.49%와 77.73%로 발효 기간 중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9일에서 12일 발효 시 발효물의 영양 성분, 항산화 물질, 항산화 활성 및 소화효소 저해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대두 발효물이 기능성 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 원료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콩 이소플라본이 난소를 절제한 성장기 흰쥐의 골격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 Isoflavone on the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Growing Rats)

  • 김영경;이헌옥;엄애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25-73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대두 이소플라본이 난소를 절제한 성장기 흰쥐의 골격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3주령 된 Wister 암컷 쥐를 난소절제한 후 8주 동안 genistein을 경구 투여하여 골대사에 미치는 일반지표 및 생화학지표를 관찰하였다. 1. 체중 증가는 OVX군$(230.2{\pm}25.15\;g)$이 SH군$(170.6{\pm}20.51\;g)$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p<0.05), OVX+GEN군과 OVX+ES군의 체중 증가는 OVX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체중 당 간과 자궁의 무게는 난소를 절제한 모든군에서 SH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신장의 무게 또한 SH군에 비해 난소를 절제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으나 난소절제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3. 대퇴골의 무게는 모든 군간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대퇴골의 길이는 SH군에 비해 OVX군에서 길게 나타났다. 4. 뇨 중 creatinine의 양은 난소 절제군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hydroxyproline 함량도 모든 군간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혈청 ALP 활성은 모든 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대퇴골, 변, 혈청, 뇨에서의 Ca의 함량도 모든 군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6. 대퇴골의 골밀도는 SH군에 비해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낮았으며 genistein 투여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파단력과 stiffiness의 경우 난소 절제 및 genistein 처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본 결과를 통하여 genistein에 의한 투여는 난소를 절제한 성장기의 흰쥐에서도 최대골질량을 유지하고 골질량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성장기 동안의 섭취가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물전환법으로 만들어진 대두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을 섭취한 고지방 식이 쥐의 항고지혈 효과 및 결과에 의한 외삽적용 농도 결정 (An Extrapolation Concentration Decision Effect Antihyperlipidemic of Aglycone Isoflavone from Biotransformation Soybean on the Fed High-Fat Diet Rats)

  • 임애경;정미정;김동우;홍주헌;정희경;김길수;김용해;김대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167-1173
    • /
    • 2009
  • 상황버섯균주를 이용한 생물전환법으로 만들어진 바이오플라본의 항고지혈 활성에 따른 인체 외삽 적용을 위한 최소량을 살펴보고자 실험동물을 정상식이군(NO), 고지방 식이군(CO) 및 바이오플라본 식이첨가군(BFP-0.35, 0.7, 3.0)으로 나눈 후 8주간 사육하였다. 바이오플라본 첨가 식이는 실험동물에 식이섭취량을 감소시키고 체중의 증가를 억제 시켰으며, 장기 무게에 있어서도 간장과 복부지방에 있어서도 CO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또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AI는 감소시키는데 반해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간 조직 손상정도를 나타내는 ALT 및 AST 효소에 있어서도 10% 이상의 효소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바이오플라본에는 고지혈로 야기되는 성인병 및 동맥경화지수를 감소시키는 생리활성 성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모든 실험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바이오플라본 0.35%, 0.7%, 3.0% 농도 중 3% 바이오플라본 첨가군에서 가장 큰 고지혈 감소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로서 동물 실험 결과를 이용한 사람에게로의 외삽은 3% 농도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또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바이오플라본이 항고지혈과 관련한 식품소재로서의 사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효소 특성 개선을 위한 Exiguobacterium sp. β-glucosidase의 키토산 비드에 효소 고정화 (Immobilization of β-Glucosidase from Exiguobacterium sp. DAU5 on Chitosan Bead for Improved Enzymatic Properties)

  • 창지에;박인혜;이용석;정수열;방숙군;슈보쉬 찬드라;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589-1594
    • /
    • 2010
  • Exiguobacterium sp. 유래의 $\beta$-glucosidase 고정을 위하여 글루타르알데하이드를 사용한 키토산 비드를 조제하였다. 키토산 비드의 교차결합 및 고정화의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beta$-glucosidase 고정화의 최적생산 조건에서 20%의 수율과 5.22 U/g의 효소활성을 나타냈다. 최적 pH 와 온도는 9.0과 $55^{\circ}C$를 나타냈다. 고정된 효소의 안정성은 pH 7.0-10.0에서는 80%, $40^{\circ}C$ 2시간 반응에서는 80% 및 $50^{\circ}C$ 1시간 반응에서는 48%의 활성을 보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pH와 고온에서 비고정 효소보다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고정된 효소를 가지고 대두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높은 가수분해능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고정화 효소의 다양한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시판되는 밥밑콩류의 이소플라본 함량, 항산화활성 및 혈전용해활성 (Isoflavone Contents,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Some Commercial Cooking-with-Rice Soybeans)

  • 오혜숙;박영훈;김준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8-504
    • /
    • 2002
  • 우리나라 자생콩류중 주로 밥밑콩으로 이용되는 7품종(강남콩, 거두, 서리태, 선비콩, 울타리콩, 청태, 황태)의 isoflavone 함량과 일부 항산화 및 혈전용해활성을 조사하였다. Isoflavone 함량 분석 결과, 서리태에서는 daidzein과 genistein 모두, 강남콩과 거두에서는 daidzein이 검출되지 않았다. 청태의 daidzein 및 genistein 함량은 각각 278 mg/kg과 223 mg/kg이었으며, 황태중에는 총 1552 mg/kg으로 대두와 비교할 만한 정도였다. 청태와 황태의 경우 daizein/genistein의 비율이 1.25와 1.42로서 daidzein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울타리콩, 황태, 강남콩이 9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거두와 서리태 역시 황태와 강남콩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선비콩과 청태의 경우 각각 57%와 50%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01). 울타리콩과 강남콩, 거두는 SOD 유사활성도 다른 종류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자공여능이 컸던 황태와 서리태는 SOD 유사활성이 낮았고, 전자공여능이 낮았던 선비콩은 황태나 서리태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형전용해활성은 선비콩, 황태, 강남콩 등이 비교적 컸고, 청태는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혈전용해효소의 저해성분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추출액의 pH를 6.4로 조절한 후 18시간 동안 냉장처리한 결과 대부분의 품종에서 활성이 뚜렷이 증가하였다(비활성도 값으로 비교시 거두, 서리태, 울타리콩류는 $10{\sim}15$배, 강남콩은 2배 내외, 선비콩과 황태는 $18{\sim}19%$ 증가). pH를 3.0으로 조정시 비활성도가 선비콩과 황태, 청태, 강남콩에서는 크게 증가한 반면, pH 6.4 조절 및 냉장처리시 혈전용해활성이 컸던 거두, 서리태 및 울타리콩에서는 실활되었다. 활성을 보이지 않던 청태는 $55^{\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하였을 때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00^{\circ}C$로 처리시 실활되었다. 거두와 서리태, 선비콩, 황태, 강남콩은 $55^{\circ}C$에서 30분 및 $100^{\circ}C$에서 10분의 열처리로 활성이 점차 증가하였으나 $100^{\circ}C$에서 30분 처리시 활성을 대부분 혹은 완전 상실하였다. 울타리콩의 혈전용해활성은 $100^{\circ}C$에서 30분간 가열시에도 높은 비활성도를 유지하여 내열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해상도 질량 분석을 이용한 대두(Glycine max L.) 우수자원 종자의 이소플라본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Isoflavones from Seed of Selected Soybean (Glycine max L.) Resources Using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 이소정;김헌웅;이수지;라혜민;권령하;김주형;윤혜명;최유미;위치도;유선미;이상훈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55-665
    • /
    • 2020
  • In this study, chemical information on a total of 20 individual compounds was constructed to identify isoflavones from the previous reports related with used parts(seeds, leaves, stems, pods) and products of soybean(Glycine max L.). Through constructed library and UPLC-DAD-QToF/MS analysis, a total of 19 individual isoflavones including aglycones, glucosides, acetylglucosides and malonylglucosides as major compounds was identified and quantified from 14 selected soybean seeds. Among them, genistein 7-O-(2"-O-apiosyl)glucoside and genistein 7-O-(6"-O-apiosyl)glucoside(ambocin) were identified tentatively as novel compounds in soybean seeds. Besides, among malonylglucosides, glycitein 4'-O-(6"-O-malonyl)glucoside was estimated for the first time. Total isoflavone contents were distributed from 240.21 to 445.21(mg/100 g, dry matter) and 7-O-6"-O-malonylglucosides were composed of 77.8% on total isoflavone as well as genistein derivatives were confirmed as major class. It was considered importantly that the development of isoflavone-rich varieties was necessary to strengthen their effects such as anti-inflammation, anti-cancer and menopause mitigati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presented precisely in this study could be help to select and breed isoflavone-rich varieties. Furthermore, their basic isoflavone profile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estimate the change of isoflavone conjugates on bioavailability after soy food supp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