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기오염측정망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1초

대구시 주거지역의 오존농도 평가

  • 김범준;최성우;김혜진;최혁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22-12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최근 5년간의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의 대기질 자동측정망 자료와 대구기상대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대구시 주거지역의 오존농도를 평가하였다. 분석기간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고농도 오존일이 가장 많이 발생한 5, 6월을 대상으로 하여, 오존농도와 대기오염물질 및 기상요소와의 상관관계분석과 교차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구지역의 오존농도는 측정지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온 및 일사량이 증가하는 하절기에 증가하고, 동절기에 감소하는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주었다. 분석기간 중 오존최고농도는 상관관계분석 결과 고농도 오존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대기오염물질로는 $NO_2$, NO 그리고 기상요소로는 온도, 상대습도, 일사량으로 나타났다. 교차상관관계분석 결과 NO2, NO, 온도와 상대습도는 0시간 차이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으며, 일사량의 경우 오존농도가 최고치를 나타낼 때보다 -2시간 차이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 PDF

GIS를 이용한 대기오염 배출량 분포도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ccuracy in Mapping the Distribution of the Emission Volume of Air Pollution Using GIS)

  • 최진무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65-76
    • /
    • 1998
  • 대기오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대기오염 농도와 함께 대기오염 배출량의 공간분포가 정확히 산정되어야 한다. 기존의 대기오염 분포도에서는 토지이용 분류도의 해상도(rdsolution)가 낮아 같은 위치에서 오염원별 토지이용이 중복되었기 때문에 배출량의 정확한 공간분포를 산정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분류도를 고해상도(28.5m x 28.5m)로 작성하므로써 이것이 배출량의 공간분포 산정과 대기오염농도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는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GIS를 이용하여 비교적 고해상도(28.5m x 28.5m)의 토지이용 분류도를 작성하므로써 점 및 선 오염원이 면 오염원과 동일한 지점에서 중보되지 않도록 토지이용을 효율적으로 반영할 수 있었다. 서울지역에 대해 기존으 방법으로 작성된 배출량 분포도와 본 연구에서 작성된 배출량 분포도를 이용하여 대기오염 농도를 추정(TCM-2모형을 이용)한 결과 본 연구에서 작성한 배출량 분포도에 의한 대기오염 농도의 추정지가 자동측정망의 실측치에 근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천지역 강우의 산성도 및 화학적특성에 관한 연구 (Acidity and Chemic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Inchon Area)

  • 박종수;동종인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2-323
    • /
    • 2000
  • 국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환경오염중의 하나가 바로 산성 강하물에 관한 것으로 산성비의 피해는 광역적이기 때문에 많은 측정망들을 중심으로 한 공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산성도 및 주요 이온성분의 분석, 대기질-강우 산성도의 관계, 지역별 강우의 화학적 성분 비교, 이온 성분간의 상관관계 분석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포항지역의 바람권역 분석에 따른 대기측정망 위치 평가 (Assessment of location of the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ind sector division in Pohang)

  • 정종현;이형돈;손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931-1938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포항철강공단 주변지역의 보건 환경질 개선을 위해 대기측정망의 설치 위치가 적정한지를 평가하였다. 대기 유동장을 분석한 결과, 대송면(제 1 상세 바람권역)과 장흥동(제 3 상세 바람권역)의 경우 대기측정망의 위치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도동과 죽도동에 설치된 대기측정망은 동일바람권역에 존재하고 있어 중복 측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포항시 인구의 50% 이상이 거주하고 있는 북구 지역에는 추가적으로 대기측정망을 설치할 것을 제언한다. 대기오염물질 농도 분포를 분석한 결과, $PM_{10}$의 경우 장흥동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농도를 보였고 $O_3$의 경우에는 대송면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대상지역 주민들의 생활건강에 악영향을 유발하는 $PM_{10}$$O_3$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도시/산단지역 도로에서의 실시간 비산먼지 오염도 측정 (Real time Measurement of Fugitive Dust Concentration in Urban/Industrial Complex)

  • 전기준;안정언;원경호;홍지형;석광설;정용원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7-258
    • /
    • 2002
  • 인천은 동북아와 세계를 연결하는 허브(HUB)공항인 인천국제공항과 함께 인천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천지방산업공단, 남동공단, 서부공단, 부평공단 및 주안공단 등 8개 산업공단을 중심으로 철강, 자동차, 기계, 석유화학, 전기ㆍ전자 등의 활발한 산업활동을 펴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집중되어진 교통망과 비계획적인 도로 등에 의한 교통혼잡 등에 의하여 도심에서도 대형트럭과 컨테이너 운반차량 등을 쉽게 달 수 있다. (중략)

  • PDF

주요 항만도시의 배출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Emission Gas Monitoring System for Major Port Cities)

  • 김우선;천민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5-56
    • /
    • 2018
  • 국내 주요항만도시의 효율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첫째, 관련 법 제도적 기반 구축 및 관리를 위한 담당기관, 지역항만청, 항만공사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항만기인 대기 오염물질 배출의 관리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배출원 목록(Inventory)과 실시간 감시체계 구축을 통해 관리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셋째, 선박, 항만하역장비, 트럭 등 배출원별 대기 오염물질 배출저감을 위한 적극적 대처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통해 주요 항만도시의 대기질을 개선하고 청정항만도시로 나아갈 수 있다.

  • PDF

서울시 용산구 지역에 이산화황 농도의 시계열 변동과 영향인자 분석 (The Analysis of Time Series of SO2 Concentration and the Control Factor in An Urban Area of Yongsan-gu, Seoul)

  • 김보원;김기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543-553
    • /
    • 2014
  •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측정망에서 2004년부터 2013년간 관측한 대기질 자료를 중심으로 $SO_2$의 환경거동을 시간적 기준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와 동시에 관측한 기타 대기오염물질들($PM_{2.5}$, $PM_{10}$, TSP, $CH_4$, CO, NO, $NO_2$, NOx, $O_3$, THC, NMHC)의 농도자료와 기상자료들과의 관계를 해석하는 방식으로 $SO_2$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10년간 측정한 용산구 지역에서 측정한 $SO_2$의 연간 평균농도는 대기환경기준치인 $20nmole\;mole^{-1}$보다 5배 정도 낮은 4.36-5.86(최저-최고) $nmole\;mole^{-1}$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간 평균농도가 관리기준치를 초과하는 성분들과 뚜렷하게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여러 가지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SO_2$의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용산구에서 측정한 $SO_2$와 기타대기오염물질, 기상자료들의 경향성을 비교해보았다. $SO_2$은 온도 및 기타물질들에 대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SO_2$은 다른 대기오염물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기오염측정망 정도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Quality Control of the Air Monitoring Network)

  • 김덕승;박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47-855
    • /
    • 2020
  • This study presented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quality control of an air monitoring network, using Gyeongnam as an example. 1) The effective utilization rate of the air monitoring was 95%, which showed good management, but the maximum of 2% was indicated by zero or detection limit among measurement data. 2) In the equivalence evaluation of PM2.5, the slope and intercept satisfy the evaluation criteria; however, 1% of the PM2.5/PM10 ratios were outliers. 3) All air monitoring stations meet the quality control standards; however, the management status is added to the quality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is unified and the related budget is expanded, and systematic commission management is required.

대기오염도 실측에 의한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의 대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 in Seoul through Actual Measurement)

  • 전의찬
    • 환경영향평가
    • /
    • 제5권1호
    • /
    • pp.79-85
    • /
    • 1996
  • Simultaneous monitoring in many locations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air quality and analyze future trend of a city, For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o install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The first automatic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was introduced Seoul in 1973. As of 1995, 20 monitoring stations are now in operation.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the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there was some argument among the relavant scholar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NGO) and the government organization. So far, there was no extensive evaluation and analysis about the net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presentativeness of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 through actual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air pollutant. The concentration of NOx was extensively measured widely in Seoul area three times using the TEA simple measuring technique. Even the judgement level for the area representativeness was lowered to 80%, Ssangmun-dong monitoring station tend to overestimate the pollutant concentration of the covered area. While, Sinlimdong monitoring station tend to underestimate the pollutant concentration of the covered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