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당화

검색결과 742건 처리시간 0.031초

양념류를 첨가한 전통고추장의 숙성중 미생물, 효소활성 및 맛 성분의 변화 (Effect of Condiments on the Microflora, Enzyme Activities and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 김동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64-270
    • /
    • 2001
  • 전통고추장의 품질개선과 기호성 향상을 위하여 마늘과 양파를 $0{\sim}6%$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하고 22주간 숙성시키면서 미생물상과 효소활성도의 변화 및 맛 성분을 검토하였다. 고추장의 효모수는 마늘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호기성 세균과 혐기성 세균의 증식에는 영향이 적었고 숙성 $6{\sim}10$주 이후에 서서히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전분 액화력은 숙성 $2{\sim}10$주 이후에 감소하였으나 전분 당화력은 숙성 $14{\sim}18$주 경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전분 분해력은 마늘이나 양파 첨가로 숙성 후기에 높은 활성을 유지하였다. 단백질 분해력은 숙성 중기에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마늘이나 양파의 첨가로 낮아졌다. 22주간 숙성시킨 고추장의 유리당은 glucose가 대부분이고 다음으로 fructose이었으며 마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고추장의 유기산은 succin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가 대부분이었고 마늘이나 양파 첨가시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아미노산성 질소는 마늘 2% 첨가시 높았고,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proline, alanine, leucine, isoleucine, arginine이었다. 마늘이나 양파 첨가로 고추장의 serine, glutamic acid, lysine, arginine 함량은 증가하였다.

  • PDF

단기간의 식이섬유 첨가물의 섭취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의 당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ort-Term Feeding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on Glucose Metabolism in Subjec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 이연경;이혜성;김보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46-854
    • /
    • 1996
  •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식이섬유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병원에서 처방된 식사에 더하여 일일 5g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콩가루 비스켓(15명, 대조군), 20g을 포함하는 비지 비스켓(9명 , 불용성 고식이섬유군) 또는 25g을 포함하는 다시마 비스켓(10명, 수용성 고식이섬유군)을 2주 동안 첨가 섭취시킨 후 당질대사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기간 중 당뇨병 환자들의 일일 열량 섭취량은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하루 실제로 섭취한 평균 총 식이섬유량은 대조군이 $19.1\pm4.3g(13.8\pm8.0g/1000kca1),$ 비지 비스켓군이 $32.5\pm4.1g(19.7\pm3.8g/1000kcal),$ 다시마 비스켓군이 $38.1\pm5.5g(24.5\pm4.5g/1000kcal)이었다.$ 비지 비스켓과 다시마 비스켓의 2주간 섭취 후 공복시 고혈당의 하강폭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컸으며 (p<0.05), 경구 포도당 부하 후의 내당능도 뚜렷하게 개선되었다(p<0.05). 경구 포도당 부하검사 및 글루카곤 자극검사를 통해 관찰한 바 혈청 인슐린과 C-peptide 수준 및 혈장 글루카곤의 농도는 2주간의 고식이섬유 첨가물의 섭취에 의해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당화혈색소 수준은 2주간의 식이 섬유 첨가물 섭취 후에 다소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변화로는 판정되지 않았고 일일 요당의 배설량은 세군 모두에서 비스켓 섭취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2주 동안의 식이섬유 첨가 섭취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의 당질대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므로 비지와 다시마 첨가물이 당뇨병의 식사요법에서 유용한 고식이섬유 식품 첨가물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김치 분리균인 Bacillus sp. JK-43이 생산하는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의 생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fronm Bacillus sp. JK-43 Isolated from Kimchi)

  • 전홍기;배경미;김영희;백형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1-48
    • /
    • 2000
  • 김치 시료로부터 자동산화되지 않으며 열 및 중성 pH에서 안정한 AA 유도체인 AA-2G를 생산할 수 있는 당전이활성을 가진 CGTase 생산균주를 분리하였고, 분리균주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생리학적 성질 및 16s-rDNA sequences를 조사한 결과 그람 양서의 간균으로 호기성이며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전형적인 중온성 Bacillus sp. JK-43으로 동정되었다. Bacillus sp. JK-43의 CGTase는 AA-2G 뿐만 아니라 AA-6G로 추정되는 물질을 함께 생산하였으며, 효소 최적생산조건은 1.0% soluble starch, 1.0% yeast extract, 1.0% $Na_2CO_3\;0.1%\;K_2HPO_4,\;그리고\;0.02%\;MgSO_4{\cdot}7H_2O$가 함유된 배지에서 pH 7.0, $37^{\circ}C$에서 26시간 동안 진탕배양하였을 때였다. 각종 당공여채에 따른 Bacillus sp. JK-43의 AA-2G 생산성을 조사한 결과 ${\beta}-CD$에서 가장 높은 AA-2G 생산성을 보였으며, 식혜제도페액인 엿기름 및 밥당화액에서도 비교적 높은 AA-2G 생산성을 보였다. 또한 여러 가지 당수용체에 대한 JK-43의 CGTase의 당전이 반응을 검토한 결과 sucrose, mannitol 및 inositol에서 높은 당전이 수율인 70~90%를 나타내었다.

  • PDF

음식 폐기물을 이용한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생산 공정 잔류물의 혐기성 소화효율 (Anaerobic Digestion Efficiency of Remainder from Bacterial Cellulose Production Process using Food Wastes)

  • 김성덕;김성준
    • KSBB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97-101
    • /
    • 2007
  • 본 연구는 당 연구실에서 구축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고부가 자원화zero-emission시스템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써 본 공정의 부산물인 음식물 쓰레기 당화고형분과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배양 후의 여액을 기질 원으로 하여 2상 UASB 반응기를 이용하여 혐기성 소화를 수행하였다. 산 반응조와 메탄 반응조는 각각 35, 40$^{\circ}C$에서 운전하였고 두 반응조의 유기물 부하율은 각각 3g-VS/L${\cdot}$day, 25,000 mg/L로 유지하였다. 공정부산물의 최적 소화조건을 찾기 위하여 F.W + B.C.R, B.C.R, B.C.R + S.S 순으로 단계적으로 주입, 운전한 결과, 최종 메탄 발효액의 pH는 각각 7.13, 7.17, 7.22이었고 COD 제거율은 각각 88, 90, 91%이었으며 메탄 생성율은 각각 0.26, 0.34, $0.32m^3-CH_4/kg-COD_{remove}$이었다. 세번째 단계인 B.C.R + S.S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가 음식물 쓰레기만 사용한 경우보다 전환효율이 높았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혐기성 소화하는 것보다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그 잔액으로 혐기성 소화를 거치는 방법이 보다 경제적이고 유익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당 실험실에서 구축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 고부가 자원화 zero-emission 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에너지를 최대한 회수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함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혜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ikhye Added with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 송금자;황은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30-1637
    • /
    • 2016
  • 본 연구는 인진쑥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 첨가한 식혜의 저장기간 중 이화학적 품질 특징 및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진쑥 추출물을 달리하여 식혜를 제조한 후 15일 동안 저장하면서 측정한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식혜의 초기 당도는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당도가 실험군보다 높았으며, 각 시료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른 당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보다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의 pH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pH가 크게 낮아지지 않고 초기 pH를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탁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였고, 인진쑥 추출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탁도가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명도($L^*$값)은 대조군보다 인진쑥 추출물을 100% 첨가한 시료가 낮게 측정됐지만, 적색도($a^*$값), 황색도($b^*$값)에 있어서 저장기간 중 적색도가 증가한 원인은 저장기간 중 당의 갈변화 현상으로 생각한다. 식혜에 함유된 유리당으로는 sucrose와 maltose가 확인되었고, maltose는 엿기름이 당화 과정에서 아밀라아제에 의해 생성되었고, sucrose는 식혜 제조 시 첨가한 설탕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한다.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해 살펴본 항산화 활성은 인진쑥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과 맛에 대한 선호도는 인진쑥 추출물을 50% 첨가한 시료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전반적인 선호도는 인진쑥 추출물을 50% 첨가한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식혜에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할 때는 50% 수준에서 첨가하는 것이 색, 맛, 밥알의 퍼짐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당뇨가 유발된 햄스터 창상치유에 미치는 벼세포 유래 GM-CSF의 효과 (Rice Cell Origin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rrhGM-CSF) Could Improve the Wound Healing in Diabetic Hamster)

  • 한규범;허시현;정진주;한만덕;김완종;신길상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3호
    • /
    • pp.253-260
    • /
    • 2009
  • 상처치유는 growth factor와 cytokine들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과정이다. GM-CSF는 호중구와 대식세포를 분화시키고 각질세포를 증식시키는 다면발현성 사이토카인으로 여러 세포에서 재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주)핸슨바이오텍에서 개발한 rice cell 유래의 재조합 rrhGM-CSF는 다른 세포에서 유래된 GM-CSF들보다 탄수화물 측쇄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rrhGM-CSF의 창상치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햄스터에 만성 당뇨를 유도하여 상처치유가 어려운 동물모델을 만든 후, 등쪽에 인위적으로 피부 전 층을 제거하여 창상을 유발하였다. 실험군에는 rrhGM-CSF가 포함된 연고를 적용하고, 대조군에는 base cream만을 적용하여 재상피화되는 과정과 피부조직의 구조 및 PCNA 반응을 통한 세포증식 정도를 비교하였다. 육안 및 조직학적 관찰 결과, rrhGM-CSF를 적용한 그룹의 재상피화 속도가 더 빨랐으며, PCNA 면역조직화학적 조사에서도 증식하는 각질세포의 수가 대조군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rrhGM-CSF에 의한 피부상처 치유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벼세포 유래의 rrhGM-CSF는 국소적인 피부 창상 치유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이며, rrhGM-CSF의 풍부한 당화 사슬은 이 단백질이 상처부위에 안정된 상태로 기능을 나타냄으로써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계피의 혈당 개선 기능성 평가 : 메타분석 - 건조분말과 물추출물을 중심으로 (Effect of cassia cinnamon intake on improvement of the glycemic response: An updated meta-analysis - Focus on preparation of dehydrated powder and water extract)

  • 곽진숙;박민영;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5호
    • /
    • pp.437-446
    • /
    • 2017
  • '계피' 건조분말 및 물추출물의 혈당 개선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7년 5월을 기준으로 DB 검색을 통해 4,688건의 자료를 수집하여, 선정/제외 기준에 따라 선별한 결과 총 14건 (n = 709)의 연구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건조분말의 경우 하루 1~6 g씩 섭취하였을 때, 공복혈당은 -1.55 mmol/L, 식후 혈당의 곡선하면적은 $-51.8mmol/L{\cdot}min$ 수준으로, 물추출물은 하루 0.1~0.5 g씩 섭취시 공복혈당이 -0.76 mmol/L 수준으로 개선시켰으며, 당화혈색소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된장 koji 및 그 혼합에 따른 된장 숙성 과정중의 화학성분 변화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in fermented Doenjang depend on Doenjang koji and its mixture)

  • 주현규;김동현;오균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51-360
    • /
    • 1992
  • 개량식과 재래식 된장의 기호와 향기의 단점을 제거하구 장점을 보완 유지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당화력이 우수한 Aspergillus oryzae koji, Rh. delemar koji 및 재래메주의 배합을 달리하여 된장을 담그고, 된장 koji의 효소활성변화, 된장 숙성과정 중의 화학성분 변화 및 향기성분 분석 그리고 관능검사 등을 실시하여 적정 배합비율과 숙성 정도를 검토하였다. ${\alpha},\;{\beta}-Amylase$ 활성도는 Asp. oryzae koji가 각각 312, $235\;{\mu}g/ml$이고 Rh. delemar koji는 각각 16, 38 mg/ml이었다. 총 질소는 숙성과정 중 처음과 거의 같은 양이 유지되었고, 아미노테 질소함량은 Asp. oryzae+Rh. delemar koji Doenjang(D구), Asp. oryzae koji Doenjang(A구) 그리고 Asp. oryzae koji+Rh. delemar koji Doenjang(C구) 시험구가 숙성 40일에 각각 460, 444, 426gm%로 가장 많았고 Rh. delemar koji의 단용된장은 196mg%로 적었다. 총당은 숙성과정중 모두 점차 감소하였고, 환원당 함량도 숙성 20일까지는 증가하였다가 숙성 30일부터는 감소하였으며, 알콜함량은 Rh. delemar koji 단용된장인 Rh. delemar koji Doenjang(G구) 시험구가 3.42%로 가장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citrate, malate, lactate, succinate acetate가 검출되었으며, 그중 Rh. delemar koji 단용된장에서 acetic 함량(171.6mg/g)이 가장 높았다. 향기 성분은 8종의 물질이 분리되었으며, 그중 주성분은 tetramethylpyrazine, 4-pyran-4one-3hydroxy-2methyl, 1-octen-3-ol로 전체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었다. 숙성 40일된 된장의 맛, 향, 색에 대한 관능검사 성적은 Asp. oryzae+Rh. delemar koji Doenjang(A구)와 Asp. oryzae koji Doenjang(B구) 시험구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중 Asp. orzae+Rh. delemar koji Doenjang(C구) 시험구가 양호하였다.

  • PDF

큰느타리버섯이 당뇨쥐의 혈당 및 혈중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eurotus eryngii on the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in Diabetic Rats)

  • 강태수;강미선;성재모;강안석;손형락;이신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6-90
    • /
    • 2001
  • 큰느타리버섯이 streptozotocin 당뇨 유발 흰쥐의 혈당 및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Sprague-Dawley 계열의 수컷 쥐를 3군(정상 및 당뇨 대조군, 큰느타리버섯군)으로 나누어 2주간 실험식이를 공급하였다. 그 결과, 식이 및 물 섭취량은 큰느타리버섯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적었다. 2주 후의 체중은 큰느타리버섯군과 당뇨대조군 모두 초기 체증에 비해 약 18%정도 감소하였다. 큰느타리버섯군의 혈당 농도는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16.9% 유의적인 감소 값을 보였으며, 총 당화혈색소 (total glycosylated hemoglobin, GHb)의 함량도 큰느타리버섯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큰느타리버섯군과 당뇨대조군의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함량 및 동맥경화지수(Atherosclerotic index, AI)는 서로 유의성이 없었으나 HDL-콜레스테롤은 큰느타리버섯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약 28%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중성지질 함량은 큰느타리버섯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나 인지질 함량은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큰느타리버섯은 당뇨쥐의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효소(酵素)에 의(依)한 천연감미자원(天然甘味資源)의 개발(開發), 특성(特性) 및 이용(利用)

  • 한문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1-248
    • /
    • 1974
  • Amylase 를 사용(使用)하여 전분자원(澱粉資源)으로부터 maltodextrin 및 포도당(葡萄糖) 액당(液糖)에 이르기까지 단계적(段階的)으로 감미도(甘味度)와 기능적(機能的) 특성(特性)이 다른 감미료(甘味料)를 생산(生産)할 수 있으며, 다방면(多方面)으로 식품공정(食品工程)에 이용(利用)되고 있다. 근래(近來)에 와서 개발(開發)된 glucose isomerase 의 산업적(産業的) 이용(利用)은 감미료(甘味料)가 설탕에 비(比)해 떨어지는 포도당(葡萄糖)을 이성화(異性化)시켜 과당(果糖)을 생성(生成)함으로써 감미료(甘味料)를 설탕과 대등(對等)하게 높일 수 있게 되어 앞으로 설탕 대치감미료(代置甘味料)로 쓰일 수 있는 경제적(經濟的)인 감미자원(甘味資源)임을 강조(强調)하고져 한다. 따라서 전분자원(澱粉資源)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탄수화물(炭水化物) 감미료(甘味料)는 비단 기능적(機能的) 특성(特性)뿐만 아니라 감미료(甘味料)도 각층(各層) 감미제품(甘味製品)이며, 이러한 감미료(甘味料)는 감미원(甘味源)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적절(適切)한 기능적(機能的) 특성(特性)을 찾아서 식품공정(食品工程) 이용(利用)하는 것이 중요(重要)하다. 감미료(甘味料) 이용(利用)의 과학화(科學化)는 식료제품(食料製品)의 경제적(經濟的) 수익(收益)을 얻을 뿐 아니라 제품(製品)의 품질향상(品質向上)에도 기여(寄與)하는바 크리라 생각(生覺)한다.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전분당(澱粉糖) 산업(産業)은 아직 그 규모(規模)가 작으며, 물엿 및 포도당(葡萄糖) 생산량(生産量)은 각각(各各) 연간(年間) 약(約) 30,000둔(屯)과 15,000둔미만(屯未滿)이며 그 생산공정(生産工程)도 개량(改良)해 나갈 바 적지 않다. 원당(原糖) 수급(需給)의 난황(難況)과 더부러 염가(廉價)의 전분당(澱粉糖) 및 이성화당(異性化糖)의 개발생산(開發生産)이 시급(時急)하며 이런 감미원(甘味源) 생산공장(生産工場)의 대규모화(大規模化)로 경제적(經濟的) 양산(量産)을 서둘러야 될 줄 생각(生覺)한다. 우선적(優先的)으로 소요(所要)의 효소생산(酵素生産)에 대(對)한 개발연구(開發硏究)가 앞서야 하며, 이어서 전분(澱粉)으로부터 이성화당(異性化糖)에 이르기까지 단계적(段階的) 효소처리공정(酵素處理工程)의 확립(確立)과 새로운 공정(工程)의 개발연구(開發硏究)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나아가서 보다 더 경제적(經濟的) 감미료(甘味料)의 생산(生産)과 생산공정(生産工程)의 능율화(能率化)를 위(爲)하여 전분당화(澱粉糖化) 및 이성화(異性化) 공정(工程)의 연속화(連續化)가 필연적(必然的)이며, 이에 소요(所要) 및 불용성(不溶性) 효소(酵素)의 생산공정(生産工程)도 연구(硏究)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