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열 복층유리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RF-Magnetron Sputtering으로 제조된 근적외선 차폐용 나노 박막 소재를 이용한 고투과성 단열창호 연구

  • Kim, Hye-Jin;Lee, Geon-Hui;Seo, Mun-Seok;Han, Jong-Hun;Sin, Gwon-U;Kim, Seon-Min;Jo, Ji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221-221
    • /
    • 2011
  • 최근, 대외적으로 기후변화협약 등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에서도 온실가스 배출이 큰 에너지의 22.3%를 소비하고 있는 건축물로 인한 환경부하에 관심이 높아지며 고효율 창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Low-E (저방사) 유리는 적외선을 반사시켜 단열 유리로서 겨울철에 유리하지만, 건물 전면에 약 50~95% 창호가 사용되는 office 건물에는 여름철 냉방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단열뿐만 아니라 일사 차폐가 가능한 근적외선 차폐유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Low-E 유리의 문제점인 근적외선 투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근적외선 영역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박막코팅 물질(흡수체, 반사체) 및 Low-E 대체용 Themochromic 등 나노 박막을 RF magnetron sputtering으로 제조하여 복층유리 구조로 조합해 UV-visible을 측정하였으며 IR Lamp와 태양광 아래에서 온도변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 Low-E 복층유리 대비 본 실험에서 사용한 복층유리의 근적외선 차폐효율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for Argon gas-filled Insulating glass units (아르곤가스 주입 단열 복층유리 내구성 평가)

  • Kim, Kyung-Nam;Jung, Jin-Young;Bae, K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3.11a
    • /
    • pp.128-131
    • /
    • 2013
  • Energy losses through windows and doors are big proble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 glass only, it has takes the largest portion of mass from window assembly and it responsible for 24 ~ 45% of energy loss from total building energy loss. Insulating glass unit should maintain their basic functions during their working life in order to contribute positively for global warming issue.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 works for improving insulating glass unit durability. But it is not easy job to fulfill the requirements because insulating glass units composed of many components. So, overall it is required to have right qualify control procedures starting from material selection to fabrication, shipping and installation to the customer site. In this report, we have reviewed the durability of insulating glass unit made from different grades of sealing materials based on globally accepted industry codes such as EN1279. ASTM E 2190 and Locally available code. KS L 2003.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insulating glass 2nd sealant and the durability of the units.

  • PDF

나노박막 코팅을 통한 단열 창호 구성 및 특성 분석

  • Seo, Mun-Seok;Sin, Gwon-U;Jo, Ji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307.2-307.2
    • /
    • 2013
  • 창호를 통해 건축물 내부에 유입되는 태양광, 특히 태양열 유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적외선 파장대역을 차폐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근적외선 반사 또는 흡수용 원천소재 개발하였다. 근적외선 반사는 고 굴절률/저 굴절률 다중 코팅막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높은 800~1,300 nm 파장 영역의 근적외선만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 방식으로 적외선 차단 효율을 개선하였다. 근적외선 흡수용 나노박막 유 무기 복합소재를 기반으로 하여 특정 파장대에서 적외선을 흡수하도록 하여 적외선 차단 효율을 증대시켰다. 본 연구개발의 고단열 유리는 기존에 개발된 저방사 유리의 문제점인 높은 근적외선 투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보완기술로서 이를 이용한 대면적 코팅을 통한 고기능성 복층창호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이에 대한 단열 특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The Approach Methods of Improvement of Safety Standard for Architectural Glass and Curtain Wall (국내 건축용 유리 및 커튼월의 안전 기준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II))

  • Seo, Yoon-Jeong;Seo, Dong-Goo;Shin, Yi-Chul;Kim, Dong-Eu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25-28
    • /
    • 2010
  • 최근 건축물의 초고층화에 따른 커튼월 시공에 따라 유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나 커튼월 구조는 바람, 지진, 화재에 있어서 취약할 것이라 판단되어 국내외 건축용 유리 및 커튼월의 안전기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유리 기준은 단열 및 내풍압 성능에만 집중되어있으며 화재 및 지진, 안전 성능에 대한 기준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에 적합한 유리 안전성 평가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를 마련하기 위해 유리 내화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일반유리, 복층유리, 강화유리, 접합유리 순의 파열 시간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시험체 4개가 화재 초기에 파열되는 것으로 나타나 상층부로의 수직 화재 확대 위험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porous monolith with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나노 기공성 단열 실리카 모노리스 제조 및 특성 연구)

  • Choi, Hyun-Muk;Kim, Se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1
    • /
    • pp.83-91
    • /
    • 2014
  •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two different silica monoliths by using sol-gel, solvent exchange, surface modification, ambient pressure drying processes, and surfactant-based templating technique followed by calcination process. All of the prepared two silica monoliths showed crack-free appearance with fairly good transparency, and furthermore were confirmed to have extremely high porosity, specific surface area, and mean pore size below 30 nm. The silica aerogel sample exhibited finer and more homogeneous nano-sized pore structure due to spring back effect caused by surface modification, which resulted in better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Based on measured thermal conductivities and theoretical relationship, multi-layered glass window system in which silica monolith prepared in this study was inserted as a middle layer was revealed to have superior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conventional air-inserted glass window system.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Insulated Glass PV Module in the Curtain Wall (단열 복층유리 PV의 커튼 월 적용 가능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Oh, Min-Seok;Kim, Hway-Suh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6 no.3
    • /
    • pp.63-69
    • /
    • 2006
  • In order to positively cope with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s like UNFCCC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to overcome energy crisis Korea, who depends on import for more than 97% of required energy, needs to continuously proceed to development, spread and expansion of alternativeenergy and then, to cultivate the capacity to keep the balance of demand and supply of energy by itself. In this aspect, the technology of 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is the field that the world is most interested in. However, at present, this technology is centered o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module itself so it has lots of problems to be applied to buildings.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PV system in building external curtain wall can obtain much mor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than in roof-types whose area for installation is restricted, so it is excellent in terms of its possibility of application.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advance its practical use by proposing how to get integrated PV system which can be applied to building external curtain wall, and how to apply it.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rmal Performance of Aluminium Alloy Window Frame considering 2D Steady-state Heat Transfer applied to Educadtional Facility (2차원 정상전열해석을 통한 교육시설의 알루미늄 창호 열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Kang, Jung-Hun;Kwak, Young-Kuhn;Noh, Seung-Uk;Park, Dae-Ho;Lee, Ju-Ho;Hong, Wan-Pyo;Hwang, In-Kyu;Park, Tong-S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122-12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교육시설에 설치된 알루미늄 합금 창의 2차원 정상상태 전열해석을 통한 열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교육시설의 주요 창호재료로 적용된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175 \;Kcal/m^2h^{\circ}C$ 정도로 플라스틱 소재와 비교하여 매우 불리하여 기존 시설에 설치된 알루미늄 창호는 열손실의 주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충남 서산지방에 위치한 대학건물의 알루미늄 합금 창호의 열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해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1) 2차원 정상상태 전열해석을 위한 경계조건은 국토해양부고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별표 6] 중부지방 냉난방장치의 용량계산을 위한 설계 외기온 기준과 [별표 7]의 실내온도 기준을 적용하여 여름철 실내 $27^{\circ}C$, 실외 $31.3^{\circ}C$, 겨울철 실내 $21.0^{\circ}C$, 실외 $-9.6^{\circ}C$ 로 설정하고 해석한 결과 열관류율은 알루미늄 합금 창호는 $U=9.631 \;W/m^2K$, 복층유리 $U= 2.382 \;W/m^2K$로 여름철과 겨울철 동일한 해석결과치가 산출되었다. (2) 산출된 열관류율 해석결과를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별표 3] 열교차단재가 적용되지 않은 금속제 창의 단열성능 중 일반복층창 성능기준인 $4.0 \;W/m^2K$와 비교할 때, 알루미늄 창틀을 통하여 225%의 열량이 손실됨을 보여 주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rmal Transmittance Performance of Aluminum Alloy Window Frame of Educational Facility considering 2 Dimensional Steady-state Heat Transfer (2차원 정상상태 전열해석을 통한 교육시설의 알루미늄 창호 열관류율 평가에 관한 연구)

  • Park, Tong-S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1
    • /
    • pp.5284-5289
    • /
    • 2011
  • This study focused to evaluate thermal transmittance(U-value) performance of sliding type of aluminum alloy window frame(AAWF) with double glazing(DG) and glazing spacer and that without thermal breaker in winter and summer season by two dimensional steady state heat transfer analysis. The AAWE was installed to an existing educational facilities in Seosan area which is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alysis of 2D steady-state heat transfer was performed through the use of BISCO as calculation and simulation program. U-value and temperature factor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the isotherm simulation shows that AAWF with double glazing have serious differences from recently proposed window thermal performance standards such as Insulation Performance of Windows and Doors of Building Energy Saving Design Standards and the results of calculation of thermal transmittance performance of AAWF and DG are U=9.631 W/$m^2K$, U=2.382 W/$m^2K$ respectively during winter and summer season.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heat transfer analysis, calculated by simulation, shows that 225% of heat is lost comparing with thermal performance standards U=4.0 W/$m^2K$ of general double glazing among those standards on AAWF without thermal brea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