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열기초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4초

단열바닥기초 적용을 위한 발포유리 골재의 기초 특성 평가 (A Study on the Basic Properties of Foam Glass Aggregate for the Application of Insulated Foundation)

  • 김상헌;문수영;김현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20-427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생산 발포유리 골재를 활용하여 단열바닥기초로 활용하기 위해, 발포유리 골재로 구성된 단열부의 물리역학적 특성 및 열적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압축강도는 기존 유기단열재인 XPS, EPS 등에 비해 높은 40.6 N/cm2로 나타났으며, 열전도율은 0.84 W/mK로 나타났다. 또한 단열바닥구조를 모사한 시험체의 열관류율은 0.37 W/m2K로 나타나 실제 발현되는 발포유리 골재의 열전도율은 0.80 W/mK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발포유리 골재를 사용한 단열바닥구조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Vuilleumier 냉동사이클에 대한 단열해석 (An Adiabatic Analysis on the Vuilleumier Refrigeration Cycle)

  • 유호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1231-1237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열해석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이 광방법으로서 적절한 가정을 도입하여 단열모델에 대한 해석적인 근사해를 시도하였다. 실제조건에 부합하면서도 간편하며 경제적인 해석방법의 확립은 VM 사이클로 작동되는 냉동기에 대한 최적설계의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다. 해석모델의 정립, 종속변수에 대한 근사해, 성능평가에 필요한 열역학적량들을 종속변수의 해석적 함수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내용에 포함한다.

기계기초 매스콘크리트의 균열제어를 위한 온도관리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Temperature Control Technology for Massive Machine Foundations)

  • 허택녕;손영현;이석홍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227-233
    • /
    • 2001
  • 최근 비약적인 경제발전에 힘입어 장대교량, 항만, 댐, 도로,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은 대규모 기간구조물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구조물은 대형화 혹은 고강도화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전술한 구조물을 매스콘크리트로 가설하게 되면 초기재령시에 수화열로 인한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효율적인 매스콘크리트의 개발과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기술 및 시공방법이 중요한 연구대상으로 등장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가로 52.6m, 세로 14.4m, 높이 8.5m의 기계기초 매스콘크리트의 시공에 적합한 온도관리기법을 다음과 같은 단계로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온도상승요인을 최소화하는 콘크리트의 배합비를 산정한다. 산정된 콘크리트의 열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단열온도실험을 수행하여 각종 열특성상수와 단열온도 상승곡선식을 도출한다. 이와 같은 열특성치를 콘크리트 구조체에 적용하여 열응력해석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열응력해석을 통하여 구조물의 분할타설높이에 따라 온도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콘크리트 내외부의 온도차를 결정한다. 이때 열응력해석에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Diana을 사용한다. 콘크리트의 타설은 현장조건과 타설시점을 최대로 고려하고 양생방법으로 콘크리트 내외부의 온도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중단열효과가 있는 거푸집과 가열장비을 사용한다. 또한 콘크리트의 온도관리를 위하여 구조물 내외부에 온도게이지를 매립하고 30분마다 계측을 수행하면서 콘크리트 내외부 온도차가 허용 해석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양생기간은 7-10일 정도를 유지한다. 전술한 온도관리기법을 통하여 완공후 수평정밀도가 기초의 허용침하량으로 환산하여 $1{\mu}m$ 인 고정밀도의 기계기초는 완벽하게 시공되었다. 따라서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을 제어할 수 있는 시공방법으로 제안한다. 또한 매스콘크리트의 내외부 온도차를 단열온도실험과 온도해석으로부터 정한 값이내로 제어하고 충분한 양생관리를 병행하면 수화열에 의한 콘크리트의 온도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경주 방폐장의 불균질 배경 단열의 정량화 (Quantification of Heterogenous Background Fractures in Bedrocks of Gyeongju LILW Disposal Site)

  • 조현진;정재열;임두현;함세영
    • 지질공학
    • /
    • 제27권4호
    • /
    • pp.463-474
    • /
    • 2017
  • 본 연구는 화강암과 퇴적암지역에 위치하는 중저준위 경주방폐장의 불균질 배경 단열의 방향성, 밀도, 크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불균질 배경 단열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표지질조사, 전기비저항탐사, 공내 초음파주사검층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지역 배경 단열의 정량화 분석을 위해서 부트스트랩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의하여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성을 가지는 단열들의 이방성을 합리적으로 특성화할 수 있었다. 단열 밀도는 단층 연장성을 고려한 단층거리의 역산값 및 전기비저항 평균값과 상관성을 보였으며, 평균 부피 단열 밀도($P_{32}$)는 $3.1m^2/m^3$로 나타났다. 중저준위 방폐물 처분 지하 사일로에서 측정된 단열과 지표 단층 정보에 의하면, 단열크기는 단열의 프랙탈 성질에 기초한 멱함수 법칙 분포에 따르며, 배경 단열의 반경은 1.5~86 m로 산정되었다.

동계 아파트 외표면 온도에 의한 단열성능 비교평가 (Comparative Performance Evaluation by Winter Apartment Temperatu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on)

  • 박정훈;김봉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91-100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기존아파트 외벽체의 단열 성능저하 및 보수보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만들기 위해서 아파트의 구조체 단열성능 측정분석과 함께 단열하자에 대한 기준수립 및 평가를 하고자 한다. 또한 아파트 건축물 구조체의 열교 및 결로발생 부분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한편 시공연도별 분석에 의하여 단열기준 및 시간 경과에 따른 단열성능 정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HVFA 콘크리트의 기초물성 및 단열온도상승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undamental and Adiabatic Temperature Rise Properties of High Volume Fly Ash Concrete)

  • 김성수;최세진;정용;임창근;박대균;조윤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09-31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를 대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초 물성 및 단열온도상승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플라이애시를 시멘트량에 대하여 40% 및 50% 사용한 콘크리트 배합에 대하여 슬럼프, 공기량, 블리딩, 압축강도 및 단열온도상승 시험을 실시하였다.

  • PDF

준불연 외단열시스템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Mechanical Properties of External Thermal Insulation Composite System with Quasi-Non-Combustible Performance)

  • 최기선;하수경;오근영;박금성;류화성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07-518
    • /
    • 2021
  • 외단열시스템에서 준불연 성능을 확보한 부착식 탄산칼슘계 복합단열판은 효과적인 단열성능과 화재안전성을 강화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준불연 복합단열판을 대상으로 부착식 준불연 외단열시스템의 구조설계 기초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복합단열판 및 구성재의 역학적 시험을 수행하였다. 국내외 시험규격을 참조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인장강도, 압축강도, 굴곡강도, 전단강도를 시험 평가하였다. 시험결과로부터 준불연 복합단열판의 강도특성치를 도출하였고, 현행 KS M ISO 4898에서 제시하는 최소 요구물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준불연 외단열시스템은 지속적 중량 하중을 받지 않는 벽체의 외단열시스템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공동주택의 단열형태별 선형열관류율 평가 (An Evaluation of the Linear Thermal Transmittance for the Internal Insulation versus the External Insulation in Apartment Housings)

  • 이종성;이도헌;전명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4호
    • /
    • pp.315-323
    • /
    • 2014
  • 본 연구는 외단열시스템 성능평가의 주요인자인 선형열관류율을 국제규격(ISO)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방법에 의거, 내단열시스템 대비 외단열시스템의 열성능에 대한 우수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외단열시스템의 열성능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의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동주택의 대표적 열교부위인 3개 부위를 내단열과 외단열 시스템으로 설계하고, 각 부위별 단열형태별로 선형열관류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외벽-발코니 슬라브 부위는 열교차단재 설치가 필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열교차단재를 설치할 경우 외단열시스템이 내단열시스템보다 선형열관류율이 1/2 이상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벽-발코니 부위와 같이 슬라브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에서는 외단열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선형열관류율이 거의 0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단열로 설계된 외벽-경계벽의 경우, 선형열관류율은 0.451W/m 로 내단열로 설계된 외벽-발코니 슬라브 등 열교가 있는 부위와 비슷한 값을 보이며, 외단열로 설치될 경우 이 또한 거의 0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공동주택의 외단열시스템 도입 및 성능평가를 위해서는 국제기준을 적용한 국내 평가기준의 제도화마련이 필요하며, 특히 제도화 마련과정에서 선형열관류율 계산 인자 중의 하나인 벽체길이의 계산방법은 국가차원의 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에너지효율화를 위한 창호 유형별 기밀 및 단열성능에 관한 조사 연구 (A Research on Air-tightness and Thermal performance of windows system classified by Windows type)

  • 최경석;강재식;양관섭;이승언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0-123
    • /
    • 2009
  • 건물에서 에너지손실이 큰 창호에 대해 최저소비효율기준 및 에너지소비효율 등급기준(안) 도입을 통해 지속가능한 고효율 창호의 보급 활성화 촉진과 관련 산업의 기술 및 산업력 향상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호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하여 고효율기자재(고기밀성 단열창호)로 인증받은 약 100여개 제품과 기타 제품에 대하여 창호 유형별 기밀 및 단열성능의 조사 분석을 통하여 창호 관련 제도 개정에 기초자료로 활용 에너지절약과 기후변화협약 관련 건물부문의 구체적 실천 대응방안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불투명 외피의 열관류에서 단열재의 습도영향 (Effects of the Moisture on the Overall Heat Transfer Through Heat Insulators Opaque Envelopes)

  • 이성
    • 태양에너지
    • /
    • 제18권3호
    • /
    • pp.63-69
    • /
    • 1998
  • 일반적으로 건물 단열재는 건조된 것이 사용되며 이 상태에서 열전도율을 측정하여 열 손실을 산정할 때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열재가 흡습성 재료인 경우에는 습도평형 혹은 다른 작용에 의해 습도가 높아지기에 이에 따라 열전도율도 상승하게된다. 이처럼 재료 열전도율의 상승효과는 건축물에 흡습성 재료가 사용될 경우 그 사이에 비흡습성 단열재료가 시공됐을 때도 양쪽재료의 흡습성으로 인하여 단열재의 열전도율이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른 열손실 또한 높아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열전도율의 상승을 간단하게 계획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실측에 의해 검증된 약산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