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중 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40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sign of Multi-document Parsing System for Mobile Device (휴대단말용 다중 마크업 문서 파싱 시스템 설계)

  • 최은정;손지연;한동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247-24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휴대단말용 유무선 통합 브라우저를 위한 다중 문서 파싱 시스템을 제안한다. 현재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단일화된 표준 마크업 언어가 없다. 따라서, 유무선 통합 브라우저를 설계하려면 이들 각기 다른 마크업 언어의 지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모든 마크업의 공통 분모 격인 파서를 설계하였으며, 각기 다른 사양의 휴대단말에 적합하게 표현하기 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파서는 마크업 언어의 그래픽 기능을 휴대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 형태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다. 이 결과물은 추후에 브라우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동될 것이다. 이러한 파싱 시스템은 브라우저로 하여금 모든 언어를 파싱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여러 언어 표준을 지원하려는 브라우저에 부담을 최소화시키는 기법이다.

  • PDF

Design of Video Transmission System Connecting to Multiple Camera Modules (다중 카메라와 연동된 영상송신시스템 디자인)

  • Lee,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95-9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연결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들 중에서 선택된 카메라의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다수의 외부 수신장치들에게 해당 영상을 전송하고 연결관리를 하는 영상송신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송신시스템은 외부 비디오 카메라들의 연결을 위한 컴포지트 인터페이스와 범용 USB 카메라를 위한 USB 인터페이스, 유무선 송수신 및 ARM 계열의 CPU 모듈, 그 외에 개발을 위한 몇몇 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신망릉 통해 제안한 송신시스템에 접속된 외부 수신장치들은 개별 채널을 할당 받아 특정 카메라 모듈을 선택하여 해당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안하는 송신시스템은 이를 위해 연결된 다수의 외부 수신장치들과의 연결관리 및 해당 카메라 모듈의 영상을 송신관리 등과 같은 기능으로 구성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Video Transmission Board Connecting to Multiple Camera Modules (다중 카메라와 연동된 영상송신시스템 보드 구현)

  • Lee,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73-7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구현 장치에 연결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영상취득장치들 중에서 선택된 장치의 영상을 무선망을 통해 다수의 영상수신장치들에게 해당 영상을 전송하고, 원격으로 연결을 관리하는 영상송신시스템 디자인[1]의 하드웨어 구현 내용을 기술한다. 구현된 영상송신시스템 보드는 활용 요구 환경에 맞춰 영상취득을 위한 고정된 4개의 컴포지트 및 범용 USB 인터페이스, 무선 송수신 인터페이스,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CPU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원격의 영상수신장치들은 제안하는 구현된 송신시스템에 접속하여 개별채널을 확보하고 선택한 영상취득장치의 해당 영상을 직접 수신하고 해당 영상취득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된 다수의 외부 영상수신장치들과의 연결관리와 해당 영상취득장치의 제어 등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하드웨어 보드를 구현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erface between TS Demux and MPEG-4 System (TS Demux와 MPEG-4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 박주희;서주희;전종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998-1001
    • /
    • 2003
  • DMB 단말 시스템에서는 Delivery Layer로 다중화 방식인 MPEG-2 TS 와 MPEG-4 System SL를 이용하도록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DMB 단말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MPEG 2 $\square$TS는 H/W로 구현하고 MPEG 4 System S/W로 구현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 PDF

A data server system in compliance with ATSC (데이터방송용 서버 개발)

  • 김정덕;이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1.11b
    • /
    • pp.21-25
    • /
    • 2001
  • 지상파 디지털방송에서는 기존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뛰어난 품질의 영상/음성 서비스가 제공될 뿐만 아니라 신문이나 잡지에서 볼 수 있었던 프로그램 정보를 TV 화면상에서 바로 받아 볼 수 있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서비스와 각종 데이터 서비스도 함께 제공된다. 이러한 EPG 정보와 함께 수신기에 필요한 각종 시스템 정보를 수신측에 전달하려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의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에 따라 정보를 가공하는 장비가 필요하며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서는 ATSC A/90의 송출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하는 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데이터서버 시스템은 PSIP의 생성과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담당하는 Data/PSIP 제어기와 데이터를 ATSC 송출 규격에 맞추어 가공하는 데이터 인젝터로 구성된다. 데이터서버 시스템은 방송 편성 정보를 담고 있는 KBS 편성 DB, 각종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DB, 그리고 실시간 독립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간 어플리케이션 에이전트와의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Data/PSIP 제어기와 데이터 인젝터에서는 편성된 PSIP 정보와 콘텐츠 데이터를 ASI(Asynchronous Serial Interface)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다중화기로 전송한다. 다중화기는 PSIP 정보와 인코딩된 데이터 정보를 A/V TS(Transport Stream)와 함께 다중화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 데이터 방송용 TS를 출력시킨다.

  • PDF

The Effective Fault Tolerace Mechanism of Multiple NIC (다중 NIC에서 효율적인 결함 허용 메카니즘)

  • 이진영;김양섭;차윤준;김영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c
    • /
    • pp.219-221
    • /
    • 2000
  • 최근 인터넷의 초고속 성장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서, 고속의 전송매체와 이를 최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더넷이 기가비트 이더넷으로 발전되어 LAN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고속화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인터넷 환경에서 기가비트 이상의 고속 네트워크 대역폭을 지원하는 NIC(Network Interface Card)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기가비트 이상의 고속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지원하는 다중(Multiple) NIC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속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지원하는 다중 NIC를 운영할 때, 단일 NIC 결함으로 인해 시스템 운영이 중단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결함허용 기법을 적용하여 신뢰성 있는 시스템 운영을 지원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하드웨어 결함 허용기법인 TMR, Primary-Standby Approach, Watchdog Timer 기법에서 발생되는 자원에 대한 가용성과 내구성의 비효율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동적으로 검출주기를 변환하여 다운타임(Downtime)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결함 허용 메카니즘을 설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s of Interface Modality on Cognitive Load and Task Performance in Media Multitasking Environment (미디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인터페이스의 감각양식 차이가 인지부하와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중 자원 이론과 스레드 인지 모델을 기반으로)

  • Lee, Dana;Han, Kwang-Hee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14 no.2
    • /
    • pp.31-39
    • /
    • 2019
  • This research examined the changes that fast-growing voice-based devices would bring in the media multitasking environment.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information processing efficiency improves when performing multiple tasks requiring different resource structures at the same time, we conducted an experiment where participants searched for information with voice-based or screen-based devices while performing an additional visual task. Results showed that both task performance environment and interface modality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cognitive load. The overall cognitive load level was higher in the voice interface group, but the difference in cognitive load between the two groups decreased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where the additional visual resources was required. The visual task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using the voice interface than the screen interface. Our findings suggest that voice interfaces offered advantages in the cognitive load and task performance by distributing two tasks to the auditory and visual chann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voice-based devices have the potential to facilitate efficient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screen-centric environment where visual resources collide. We provided theoretical evidence of resource distribution using multiple resource theory and tried to identify the advantages of the voice interface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threaded cognition model.

RealBook: A Tangible Electronic Book Based on the Interface of TouchFace-V (RealBook: TouchFace-V 인터페이스 기반 실감형 전자책)

  • Song, Dae-Hyeon;Bae, Ki-Tae;Lee, Chil-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2
    • /
    • pp.551-559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tangible RealBook based on the interface of TouchFace-V which is able to recognize multi-touch and hand gesture. The TouchFace-V is applied projection technology on a flat surface such as table, without constraint of space. The system's configuration is addressed installation, calibration, and portability issues that are most existing front-projected vision-based tabletop display. It can provide hand touch and gesture applying computer vision by adopting tracking technology without sensor and traditional input device. The RealBook deals with the combination of each advantage of analog sensibility on texts and multimedia effects of e-book. Also, it provides digitally created stories that would differ in experiences and environments with interacting users' choices on the interface of the book. We proposed e-book that is new concept of electronic book; named RealBook, different from existing and TouchFace-V interface, which can provide more direct viewing, natural and intuitive interactions with hand touch and gestur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rototype in Graphic User Interface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e Case Study of Developing Multi-User Educational Multimedia Product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세스에서의 프로토타입 활용에 관한 연구 - 다중참여 교육용 멀티미디어 제품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김성곤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3
    • /
    • pp.181-190
    • /
    • 2000
  • As human-centered design has become new paradigm in the whole field of design, they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users in the field of graphic interface design. However, there are not much of study to systematic process for human-centered approach in graphic interface desig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pplication methodology of prototype in the graphic user interface design process. The study consists of three sections. first, definition, types and application methods are introduced by secondary research. Second, all the knowledge gathered above by secondary research are integrated in the newly proposed Prototype-based interface design process. There are many types of prototype from idea sketches on the paper to final working prototype realized by computer. It is needed to develop and test appropriate prototype with appropriate techniques by objectives of the stages. Finally, the proposed prototype-base design process is verified and exemplified through the process of using prototype in the development of multi-user educational multimedia product.

  • PDF

A Hierarchical User Interface for Large 3D Meshes in Mobile Systems (모바일 시스템의 대용량 3차원 메쉬를 위한 계층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 Park, Jiro;Lee, Hae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9 no.1
    • /
    • pp.11-20
    • /
    • 2013
  • This paper introduces a user interface for large 3D meshes in mobile systems, which have limited memory, screen size and battery power. A large 3D mesh is divided into partitions and simplified in multi-resolutions so a large file is transformed into a number of small data files and saved in a PC server. Only selected small files specified by the user are hierarchically transmitted to the mobile system for 3D browsing and rendering. A 3D preview in a pop-up shows a simplified mesh in the lowest resolution. The next step displays simplified meshes whose resolutions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user interactions. The last step is to render a set of detailed original partitions in a selected range. As a result, while minimizing using mobile system resources, our interface enables us to browse and display 3D meshes in mobile systems through real-time interactions. A mobile 3D viewer and a 3D app are also presented to show the utility of the proposed user inte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