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목적 홀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다목적공연장의 음향설계 및 음향실험 비교연구 (A Comparison of Predicted Acoustics with the Measured Acoustic Performance of a Multi-purpose Hall)

  • 이원구;한찬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 /
    • pp.565-568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에 완공한 안산문화예술회관의 다목적 공연장의 음향설계부터 시공과 완공후의 음향실험을 통한 평가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음향설계 및 시공의 과정을 소개하고 설계시의 음향설정치와 완공 후 음향측정에 의한 음향성능을 비교함으로서 다목적홀의 음향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 PDF

방송용 다목적 홀에서 배너 가변에 따른 음향 환경 변화 (Effects of changes in banner size on acoustic environments in multipurpose halls for broadcasting)

  • 박호철;서로사;서춘기;전진용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58-567
    • /
    • 2019
  • 스피치, 국악, 뮤지컬, 대중음악과 콘서트까지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이루어지는 방송용 다목적 홀의 경우 공연에 필요한 전기, 건축 음향적 요구 조건이 다양하다. 하지만 실제 음향 환경 가변을 위한 효율적인 운용 방법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무대 반사판의 설치 유 무와 전기 음향 사용 조건하에서 배너의 가변에 따른 홀의 음향 환경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벽체 면적의 15 %에 해당하는 배너를 설치한 실제 측정에서 잔향 시간(Reverberation Time, $T_{30}$)은 최대 0.12 s, 초기감쇠시간(Early Decay Time, EDT)은 0.15 s, 음악 명료도(Clarity, $C_{80}$)는 0.76 dB, 음성 명료도(Definition, $D_{50}$)는 6.43 % 변하였다. 배너의 면적을 확장시킨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체 벽체 면적의 40 %에 해당하는 배너를 설치할 경우 잔향 시간은 0.11 s에서 최대 0.55 s까지 가변되는 것을 확인했다.

공연장에서의 가변음향에 대한 고찰 (Variable Acoustics in performance venues- A review)

  • 현진오;정대업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26-648
    • /
    • 2021
  • 국내에서는 다양한 공연장르를 운영할 수 있는 다목적 공연장의 수요와 그에 따른 공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해오고 있다. 그러나 음향적인 측면에서는 다목적 활용에 대응하는 실질적인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많은 시행 착오를 거듭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한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의 음향특성을 변경하는 방법들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실의 음향특성을 용도에 맞게 변화시키는 것을 가변음향이라고 하며, 수동 및 능동제어방식으로 구분된다. 수동제어방식은 가변흡음, 용적가변, 부가잔향실법, 그리고 캐노피 반사 등의 방식으로 구분되는 건축적인 가변방식이며, 능동제어방식은 In-line, Regenerative 그리고 Hybrid 시스템으로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제어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수동제어방식들이 실제 다목적 공연장 및 다양한 장르에 적용된 사례와 그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각의 능동제어방식이 적용된 시스템들을 살펴보고, 실제 다목적 공연장에 적용된 사례와 그에 따른 음향적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가변음향시스템을 활용한 다목적 홀의 기획 및 설계 단계에서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1:50 다목적홀의 음향평가를 위한 축소모형재료의 선정 (Selection of Scale Model Materials for Acoustical Evaluation of 1:50 Multipurpose Halls)

  • 전진용;김정준;김용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781-789
    • /
    • 2009
  • 다목적홀의 음향을 1:50 축소모형으로 예측 및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모형재료의 구성과 흡음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제 홀에서의 반사면 및 가변음항요소, 객석의 설계요소별 흡음특성 (125Hz-lkHz 평균)을 기준으로 축소모형의 형상과 재질을 선정하였으며, 흡음율은 상사의 법칙과 ISO 354를 준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벽체의 평균흡음율은 0.08로 래커 코팅된 MDF나 아크릴이 적합하며, 객석 의자, 관객 및 연주자 평균흡음율은 각각 0.64, 0.74와 0.45를 목표로 할때 목재, 흡음천과 폼보드를 조합하여 흡음률을 재현하였다. 흡음커튼과 배너는 적용부위 및 단면설계에 따라 흡음재의 마운팅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배면공기층이 없는 상태 (A형 마운팅)에서의 평균흡음율이 0.42, 0.9 m 배면공기층 조건에서 시료 양단이 고정된 상태 (E형 마운팅)에서는 0.47, 천장에 매단 상태 (G형 마운팅)에서는 0.45로 나타났다. 특히, 배면공기층의 증가에 의해 저주파 대역 흡음력이 증가하였다. 스테이지 하우스 내부는 평균흡음율 0.68의 Fiber glass board 시공을 예상하여 흡음재와 스피커망 원단을 조합하여 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모형 재료의 형상과 흡음특성은 향후 1:50 축소모형으로 다목적홀의 형상에 의한 중주파 대역 이하의 음향예측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 캠퍼스 다목적 홀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of A Campus Multi-purpose Hall)

  • 가종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호
    • /
    • pp.49-58
    • /
    • 1998
  • This paper proposes a way to design a multi-purpose hall which can serve as a culture and art space for college students and which can also accommodate college students' behaviour characteristics. The major claims made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hall should be located where it is easily accessible from major and minor campus facilities. Second friendliness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hall should be established by providing a Gray Zone such as floor or a yard. Third lobby should have a enough space fo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hall and for rest and refreshments. Fourth in addition to a fixed stage height-adjustable stage and booth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use the hall space for different use. Fifth in the color aspect high value and low chroma should be used to create tender and friendly atmospher and in the shape aspect a durable natural and functional desig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create a modern atmosphere.

  • PDF

다목적홀의 공연종류에 따른 음향평가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Acoustic Evaluation Factors Depending on the in Performance Types Multi-purpose Halls)

  • 박현구;김항;김선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66-74
    • /
    • 2006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oom acoustical performances of multi-purpose halls, surveying the architectural features and analysing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by measurements. In addition, adjectives appropriate for the evaluation of the room acoustical performance in multi-purpose halls were determined through the method of questionnaire survey and subjective evaluation through psycho-acoustic experiment.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were analys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factor analysis, consequently useful adjectives for the evaluation of acoustical performances in multi-purpose halls we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types of performance.

음향성능 개선을 위한 소규모 다목적홀의 건축음향성능 평가 (Evaluation on Architectural Acoustic Performance of Small-scaled Multipurpose Hall for Improvement of Acoustic Performance)

  • 윤재현;주덕훈;김재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26-230
    • /
    • 2007
  • In case of domestic performance hall, it is real situation that the demand of multipurpose hall that accommodative a lecture, gathering activity, drama and concert than a professional performance hall such as opera house, is on increasing. Accordingly, since such multipurpose hall, in view of its characteristics, is emphasizing the clearness of sound, also it requiring the repletion or abundance of sound simultaneously, it could be said that the sufficient examination and plan with regard to the architectural acoustics design is indispensable. However, since most of multipurpose hall has ever been designed and constructed without any consideration on an acoustic factor, many problem points are generating. Standing on such viewpoint, this Research has measured the physical acoustic characteristics about the small-scaled multipurpose hall recently built without any acoustic consideration, and through the above, tried to grasp the acoustic defect and controversial point thereof. It is deemed that such study result could be utilized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improvement the acoustic performance of the multipurpose ha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