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른 교과의 교과서

Search Result 298,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Fractional Operations in CCSSM-CA and its Textbooks (CCSSM-CA와 미국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의 연산 내용 분석)

  • Lee, Dae Hyu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2 no.2
    • /
    • pp.129-147
    • /
    • 2019
  • Because of the various concepts and meanings of fractions and the difficulty of learning, studies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of fraction have been carried out. Particularly, because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teaching depending on the type of fractions or the models or methods used for problem solving in fraction operations, many researches have been implemented.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fractional operations of CCSSM-CA and its U.S. textbooks. It was CCSSM-CA revised and presented in California and the textbooks of Houghton Mifflin Harcourt Publishing Co., which reflect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CCSSM-C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though the grades presented in CCSSM-CA and Korean textbooks were consistent in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there are the features of expressing fractions by the sum of fractions with the same denominator or unit frac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answer. In th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grades. There are the features of the comparison the results of products based on the number of factor, presenting the division including the unit fractions at first, and suggesting the solving of division problems using various ways.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ducation by Analysis of Connection between Learning Contents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Science' and in the Pre-Service Science Textbooks of College of Education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의 학습내용과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예비과학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고찰)

  • Kim, Nam-Hui;Shim, Kew-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3
    • /
    • pp.363-37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contents presented in high school science and in pre-service science textbooks of college of education, and to examin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y analysing their connection to each other. High school science is called as 'convergence science.' Seve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eleven science textbooks related to physics, chemistry, biological science, and earth science for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to analyse learning cont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cience with those of college-level science textbook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as found when the learning contents were compared. Science textbook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the biggest number of learning contents on the chapter 'Energy and Environment' of high school science. About 86.6% of learning contents of high school science were introduced on textbooks on science, but pre-service teachers should learn the remainder. The part of learning contents presented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as higher than the college-level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reover, the part of learning contents was included in Engineering & Technology. And these required a special teacher education. According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learning contents for high school science should be optimized and reduced. Also,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educational curriculum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uld be revised.

A Study of Textbook Contents Analysi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n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and Food Guide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영양권장량과 식사구성안에 대한교과서 내용 분석 및 학생의 이해도 연구)

  • Park Mi-Jin;Kim Youngnam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7 no.2
    • /
    • pp.113-128
    • /
    • 2005
  •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RDA) and food guide are the basic and the most important concepts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food and nutrition to the dietary life. For the textbook contents analysis on RDA and food guide, 10 kind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examined. And a total of 283 students from 2 middle schools in Kyungkido were recruited for the analysis of students' understanding on RDA and food guide. The results o(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aware of food, nutrition and diet section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 as interesting, valuable. and easy to understand. Second, the explanation on RDA, which is the intake level of nutrients adequate to meet the needs of practically all healthy people, were not clear and enough in almost all the middle school textbooks examined. The definition of food guide was not firmly established in anywhere including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examined. Third, about 2/3 of students did not know the difference between RDA and physiological requirement. And $1/3\~2/3$ students did not know which food belongs to which food group, less than 1/3 students gave correct answer on food amount contained in single serving size, except bread, noodle and fish. As result, the RDA and food guide concepts were not throughly explain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which resulted in misconception to many students. Thus, accurate and detailed explanation on RDA and food guide should be included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so that to help application to healthy eating in the future daily dietary life.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Educational Objectiv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Textbooks Based on the Eisner Curriculum (아이즈너 교육과정에 의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서 교육목표 분석에 관한 연구)

  • Byeong-Kee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8 no.2
    • /
    • pp.57-80
    • /
    • 2024
  • Eisn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blem-solving objectives and expressive objectives in addition to behavioral objectives, and communication through multiple modalities including linguistic, visual, aural, spatial, gestural modes. This study analyzes 'Libraries and Information Life,' a textbook developed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by dividing it into educational objectives types(behavioral, problem-solving, expressive) and multimodal modes(linguistic, visual, auditory, spatial, and gestural), and seek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etting educational objective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developing textbooks. The textbook has four volumes for elementary low-grade, elementary high-grad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levels. Educational objectives were extracted from the textbooks, and 3 librarian-teachers were engaged in the analysis of these objectives. The main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types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proportion of behavioral objectives was found to be excessively high, a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proportion of problem-solving objectives and expressive objectives. Second, problem-solving objectives tend to overlap with behavioral objectives, indicating a need to develop problem-solving objectives with defined conditions and solution requirements. Third, expressive objectives concentrated in specific units need to be placed evenly in other units. Fourth, in the case of multi-modality mode, the proportion of the linguistic mode must be reduced, the proportion of the visual, auditory, spatial, and gestural modes must be increased, and it is necessary to set educational objectives with clear characteristics of each mode.

Types and Themes of Mobile Application Contents in Primary Science Learning Derived From Teachers' Perspectives (교사의 관점에서 제안된 초등 과학 영역의 모바일 앱 콘텐츠 유형 및 주제)

  • So, Hyo-Jeong;Yoon, Hye-Gyoung;Choi, Hyungsh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3
    • /
    • pp.488-497
    • /
    • 2016
  • Given the potential of mobile applications to create new learning opportunities beyond the prevalent use of digital textbooks and Internet lectures, this study aims to derive types and themes of mobile application content that can be effectively integrated with the school curricula. Twenty prim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at examines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printed and digital textbooks' modality,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obile learning, and the themes relevant to develop mobile applications.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ctivity-centered applications for vertical use rather than theme-centered applications for horizontal use. In addition, while most ideas derived from teachers center on multimedia access, there was lack of ideas that leverage the affordances of mobile devices for collaborative interaction and location-awareness. Lastly, to promote the diffusion of mobile learning in school environment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overcome teachers' epistemology that perceives mobilization against inquiry activities.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Described in the Geography Syllabus and Textbooks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 Cho, Chul-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9 no.3
    • /
    • pp.551-565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Geography Syllabus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and geography textbooks developed by it. The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Geography Syllabus and textbooks is as follows. Firstly, Development Education is implicitly described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life and aid links in Geography (Mandatory) Stage 4 and Geography (Mandatory) Stage 5, but clearly in Geography Elective. Moreover, Development Geography is one of unit to learn deeply in case of Global Challenges in Stage 6. Secondly, in geography textbooks, development education is sequenced with learning of the quality of life in everyday life, understanding of diverse meaning of development and measure of development, and the role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for reducing the global inequalit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ly, geography curriculum needs to be consist of the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 school, and development geography in high school. Secondly, the major concepts of development education like development, measure of development and the aid etc. need to be described in the different views. Thirdly, development education needs learners to learn the interdependence and practice the global citizenship through learning of specific links of our country with others. Finally, geography textbooks should not describe the normative efforts for reducing global inequality, and treat individual practical cases as well as organizations like government and NGOs so that learners empathize with their value and attitude through individual practical cases.

  • PDF

An Analysis of the Uses of Visual Representations of Particles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Matter Units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단원에 제시된 시각적 입자 표상의 활용 방식 분석)

  • Yousun Jeon;Sunghoon Kim;Taehee Noh;Sukjin Kan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7 no.5
    • /
    • pp.353-361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uses of visual representations of particles in the matter units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material units in four textbooks were divided into explanation, inquiry, and evaluation sections, and visual representations of particles presented in the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by the use type, the activity type, and the level of activity. In the explanation section, the visual representations of particles were mainly presented in the auxiliary use type, and in the inquiry and evaluation section, they were mainly presented in a direct use type. In terms of the activity types of the direct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of particles, the interpreting activity was mainly presented in the explanation and evaluation sections, while the generating activity and completing activity were presented in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in the inquiry section than the other two sections. In terms of activity level, identifying was the most common activity level in the explanation section, and inferring was the most common activity level in the inquiry and evaluation sec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presentation and uses of visual representations of particles in science textbooks are discussed.

An Analysis the Contents Related to a Subject 'Earth and Moon' fro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지구와 달' 주제와 관련된 초등학교 2009 개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내용 분석)

  • Lim, Cheonghwan;Chae, D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1 no.3
    • /
    • pp.237-24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a subject 'Earth and Mooon' fro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research, the team select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Earth and Moon' unit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 in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as the science textbook revised from 2009 curriculum to 2015 curriculum. Second, the two curriculum did not differ much in specific textbook contents statement or development, but they showed much change in presentation of exploration activities in curriculum as well as the specific exploration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ird, compared to science textbooks of the 2009 revision the 2015 revision used more pictures and illustrations. Forth, there have been few changes related to experimental observation, but the activities to organize the unit in 2015 revision have been strengthened compared to the 2009 revision.

An Analysis o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and Textbooks of 2009 Revised Version in Korea - Four Issues to Be Improved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개선을 위한 네 가지 문제점-)

  • Kang, Wan
    • School Mathematics
    • /
    • v.15 no.3
    • /
    • pp.569-583
    • /
    • 2013
  • In Korea, the school mathematics curricula have been revised in every average 6 years by the government. From the year 2013, the new revised curricula called 2009 version are implied. The subject of elementary mathematics in this new curricula contains four issues to be improved. First, it should be allowed to call the basic figures such as box, cylinder, ball, quadrilateral, triangle and circle in verbal languages. Second, the name of the activities to define mathematical concepts should be changed from 'Yaksok', which means 'promise' in English, to a better and more honest one. Third, the concave polygons should be treated together with the convex ones. Fourth, the calculations of fractions should be weakened as much as possible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