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공물질

검색결과 416건 처리시간 0.023초

소음제어용 탄성다공물질이 대어진 원형덕트 내의 음파전달 (Sound Propagation in Circular Duct Lined with Elastic Porous Noise Control Materials)

  • 정인화;강연준
    • 소음진동
    • /
    • 제9권2호
    • /
    • pp.302-309
    • /
    • 1999
  • In this paper, a circular lined-duct is modeled by using an axisymmetric foam finite element, which is based on elastic porous material theory of Biot. For various thicknesses of three kinds of lining materials, finite element predictions are compared with measurement results and Morse's analytical results. While the analytical model has larger error as the lining becomes thicker, results of the present model have a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for all the thicknesses considered here. It has also been found that constraining the axial mot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ning enhances sound attenuation at low freqneucies.

  • PDF

다공성 물질을 통과하는 관내 유동에서의 미세 입자 응축성장 전산 가시화 (Computational visualization for condensational growth of micro-particles in the pipe flow through a porous material)

  • 문지후;김대겸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3-69
    • /
    • 2022
  • In this study, we numerically simulate the condensational growth of micron-sized particles traveling through a pipe filled with humidified air. Using the finite volume method and Lagrangian particle tracking technique, the mixture of particle-laden flow with moist air in a T-juction pipe is simulated. The condensational growth of particles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mass transfer of vapor in the air onto the particle surfa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owth rate of the particles increases as the relative humidity of air is higher. Furthermore, the placement of a porous media with low permeability in the pipe could enhance the degree of condensational growth.

물-에탄올 계에서 막투과 현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Membrane Transport in a Water-Ethanol System)

  • 박원철;최창균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4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43-44
    • /
    • 1994
  • 일반적으로 다공성막을 사이에 두고 막을 통한 물질전달이 일어날 때 물질전달 속도는 압력차 $\Delta P$, 유속 V, 농도차 $\Delta C$ 등의 함수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여러 변수들 중에서 어느 한가지 변수만을 독립시키고 다른 변수들을 일정하게 고정시키면, 그 특정 변수가 물질전달 속도 J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험에서도 물과 에탄올 양쪽상의 유입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그 영향을 배재하고 유속과 압력차를 각각 독립시켜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

기공 형성제로 실리카 입자를 사용한 키토산 및 키틴 다공성 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orous Chitosan and Chitin Membranes Using Silica Particles as Porogen)

  • 염경호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3-77
    • /
    • 2004
  • 막분리 기술인 정밀여과와 한외여과는 물질의 크기 차에 따른 체분리 (sieving)를 기본 원리로 하기 때문에 분자수준에서의 선택적 물질분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분리막에 분자수준에서의 물질 선택성을 부여한 친화성 막(affinity membrane) 제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중략)

  • PDF

다공성 알루미나 박막을 이용한 금속 나노우물과 나노그물 구조의 박막 제작 (Fabrication of Nanowellstructured and Nanonetstructured Metal Films using Anodic Porous Alumina Film)

  • 노지석;진원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18-526
    • /
    • 2006
  • 나노 다공성 알루미나 박막을 제작하고 이를 주형으로 사용해서 진공증착에 의해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우물구조와 나노그물구조의 금속 박막들(알루미늄, 주석, 코발트)을 제작하였다. 원하는 금속물질을 증발시키기 위하여 저항가열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증착은 torr의 기저진공 속에서 수행되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나노우물과 나노그물 구조의 박막 중 어떤 구조가 합성되느냐 하는 것은 증착되는 물질의 양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세포의 크기가 100 nm이고 세공 직경이 60 nm인 다공성 알루미나 박막을 사용했을 때는 대략 우물구조를 합성하는데 필요한 질량의 절반이하 정도가 증착되게 되면 그물 구조가 합성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비점오염원의 유수지 유입 방지를 위한 슬래그 활용 방안 (The Application Plans of Slag to Prevent Non-point Source Pollutants Flowing into the Retention Pond)

  • 박정환;김진한;정종태;전세진;박한봉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7-73
    • /
    • 2010
  • 본 연구는 오염이 심한 유수지를 지속적으로 양호한 수질로 유지하기 위한 효율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유수지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하려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의 유입 차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의 방안으로 다공성 슬래그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다공성 슬래그 넷트를 유수지에 설치하는 경우의 수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오염물질의 제거 정도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접촉 시간과 인 제거 효율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r^2=0.9765$)를 나타내어 접촉시간이 처리효율에 미치는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인과 부유물질은 조제 시료, 생물학적 처리수, 하수 모두 다공성 슬래그 충전상을 통과하면서 높은 효율로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비점오염원의 유입 방지를 위하여 유수지 수중 내부와 외부 호안에 다공성 슬래그 충전상의 설치방안을 제안하였다.

나노다공성 알루미나 마스크의 제조 및 응용 (Fabrication of Nanoporous Alumina Mask and its Applications)

  • 정미;최정우;김영기;오병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465-472
    • /
    • 2008
  • 나노재료의 합성이나 나노구조물질의 제작은 나노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소자를 구현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나노다공성 알루미나 마스크(nanoporous alumina mask) 를 이용하여 균일도와 정렬도가 우수한 나노구조물들을 제조할 수 있고 이들의 크기와 밀도는 알루미나 마스크의 동공의 직경과 동공밀도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낮은 비용으로 나노구조물의 대면적 제조 공정 개발이 가능하고, 정보통신기술와 바이오기술-나노기술을 융합하는 새로운 물질의 제조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알루미나 마스크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와 밀도를 갖는 나노물질을 제조하는 기술은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전자소자의 구현을 위해 가능성이 큰 기술이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나노다공성 알루미나 마스크를 제조하는 기술과 이를 이용한 양자점(quantum dots), 나노홀(nanoholes), 나노막대(nanorods) 등의 나노구조물 제조와 그 구조물의 응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핵연료 크러드가 원전 재관수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ud on reflood heat transfer in Nuclear Power Plant)

  • 유진;김병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54-560
    • /
    • 2021
  • 크러드는 원자력 발전소 운전 시 핵연료 표면에 침적되는 철-니켈-크롬 등의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다공성 물질이다. 그 두께는 수십 ㎛ 수준이다. 발전소의 냉각재상실사고 시 크러드 층은 핵연료-냉각수 열전달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원전 안전성 측면에서 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크러드는 열저항으로 인하여 핵연료 온도를 높이는 부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 이유는 크러드에 의하여 핵비등, 최소막비등온도, 단상증기 열전달, 임계열유속, 막비등 열전달 등 2상유동 열전달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크러드 물질의 물성치를 모델링하고 이를 국내 원전안전해석 코드인 SPACE에 탑재하였다. 크러드는 다공성 고체 물질이고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최소막비등온도와 단상증기 열전달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최소막비등온도와 단상증기 열전달이 최대 피복재 온도 및 급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시험 계산은 기존 FLECHT-SEASET 재관수 실험 장치에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계산결과 최소막비등온도가 상승하여 급냉시간이 줄어들었다. 단상증기 열전달의 경우 약 20% 증가할 때까지는 최대 피복재 온도가 하강하였다. 크러드 층이 원전 안정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발포금속을 삽입한 밀집형 열교환기 최적 설계 (Optimum Design of a Compact Heat Exchanger with Foam Metal Insertion)

  • 이대영;진재식;강병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3권7호
    • /
    • pp.612-620
    • /
    • 2001
  • The optimum design of a heat exchanger with porous media insertion is studied in this paper. It is considered that the aluminum foam metal is inserted in a flat plate channel and air flows through it. The influence of the microstructure of the foam metal on the pressure drop and heat transfer is investigated utilizing previous analytical results and existing correlation equations. Design parameters are identified as the unit-cell size and the ligament thickness of the porous medium, and their effects are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optimum microstructure of the porous media maximizing heat transfer with a constant pressure drop. When the increase in the pressure drop is within a practically acceptable range, the increase in the heat transfer is dominated by the increase in the heat transfer area due to the porous medium insertion. Consequently, among the porous media with a constant pressure drop, the heat transfer is maximized with a microstructure with maximum specific surface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