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 여성

Search Result 36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role of women maintaining a healthy rural environment : A view from Korea (건전한 농촌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여성의 역할-한국의 견해-)

  • 김종무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3 no.1
    • /
    • pp.1-9
    • /
    • 1994
  • 한국의 급속한 경제발전과 공업화 과정에서 특히 연령층이 20∼49세의 젊은 농촌의 여성들이 대단히 많이 도시로 이동하였다. 농촌에서 농작업에 종사하는 여성들은 주로 수도, 채소 및 과수재배에서 많은 육체적인 노동을 하고 있다. 특히 농촌에서 농약을 산포하는 일은 여성들이 많이 하고 있다. 1960년도 이후 1992년도에 달하는 지난 32년 기간동안에 국민소득 수준이 1%증가됨에 따라서 농촌여성이 667명씩 감소되었다는 사실이 단순회귀 분석에 의하여 증명되었다. 그리고 농약을 산포한 여성들의 암에 의한 사망률이 산포하지 아니한 여성들 보다 높다는 사실이 실증적으로 증명되었다. 1968년도에 2정보의 농경지 규모에서 전체 노동시간 가운데 여성의 노동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이 55,72%로서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1992년도에 동일규모에서 여성들이 노동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44.58%로서 감소되고 있다. 앞으로 건전한 농촌의 환경을 지속적으로 보존하기 위하여서는 여성들의 귀중한 생명을 보존하고 동시에 소비자들의 건강을 보호하는 유기농법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Entrepreneur Traits and Business Activities of Rural Women (농촌여성 창업자 특성과 사업성과;농촌여성일감갖기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 Kim, Won-Suok;Ko, Soon-Chul;Kwon, Oh-Park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4 no.1
    • /
    • pp.93-116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진흥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농촌여성 일감 갖기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농촌여성 소규모 창업자의 특성과 사업 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농촌진흥청이 실시하고 있는 농촌일감갖기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7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9개의 창업가 특성 항목은 9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는데, 각각 1) 새로운 것을 학습하고 불확실성을 감수하고자 하는 정도, 2) 혁신성과 자신감, 3) 네트워킹과 유연성, 4) 관심, 5) 자아성취동기, 6) 도전정신, 7) 자발적인 관여, 8) 커뮤니케이션 능력, 9) 사업에 대한 지식 등으로 명명이 가능하였다. 이들 9개의 요인은 전체 변량의 76%를 설명하고 있다. 둘째, 사업성공 변수는 전반적인 사업장 운영상태와 상품의 판매 상태 두 가지로 측정하였는데, 전반적인 사업장 운영 상태는 본인들의 사업과 관련된 메모를 명확하게 작성하고 다른 사람들과 불안감 없이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의 판매 상태는 예상되는 사업에 대한 지식과 시간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를 합산함으로써 측정된 전반적인 사업성공 정도는 사업의 성장과 사업 자체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71명의 사례에 바탕을 두어 연구를 하였기 때문에 그 결과의 일반화에는 다소의 한계가 있지만, 농촌여성 소규모 창업자들의 사업성과와 창업자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기초 자료로서의 활용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

중국 가족에서의 여성의 지위: 6개 도시와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 Song, Yu-Ji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203-233
    • /
    • 2005
  • 기존 연구에 의하면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높게 평가된다. 그러나 실증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중국 여성의 가족 내 지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 연구는 중국 여성의 지위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을 얻기 위하여 가족 내 여성의 지위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족 내 여성의 지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아버지의 자녀 양육과 자녀교육 관련 의사결정 과정에의 참여를 중심으로 성역할 분담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6개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와 상해 산동 지역에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통합적으로 이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에 관계없이 중국 사회에서 자녀 양육의 주책임은 어머니에게 있다. 둘째, 아버지들은 자녀 양육 활동보다 의사결정 과정에 더 높은 참여율을 보인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율은 농촌에 비해 도시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다. 반면, 의사결정의 경우는 도시에 비해 농촌 지역 아버지들의 참여율이 더 높다. 넷째, 전통적인 성역할 구분에 대한 가치관도 도시와 농촌 지역간에 차이가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 가족 내 여성의 지위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중국 가족에서 자녀 양육 책임이 동등하게 분담되지 않아서 여성의 이중부담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Phenomenological Study on Husband's Ro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 인식과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Cho, Hae Sun;Ryu, Jin A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0 no.1
    • /
    • pp.265-297
    • /
    • 2013
  • This study performed quality study to examine cognition and experience as it is about husband role of wife's perception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Specifically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13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was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wife's cognition about husband ro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they were 'nice and warm man', 'no special thought', 'clean and cool looking man', 'man without straitening wife', 'husband taking care of housekeeping', 'having independent family' and 'strong responsibility to children'.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did not deeply think about husband's role at international marriage, but it could be known that vague longing for rich country, Korea by Korean wave and its expectation continued to expectation on husband. Second, they were 'good-tempered and nice to me', 'adjust to me', 'irresponsibility and apathy', 'cannot lean to him', 'no housekeeping', 'intermediate role between his family', 'more taking care of children, parents and relatives', 'drink, gambling and violence'. The experience of husband role was little different from cognition of husband role by females in rural mulitcultural family.

Factors Influencing Effects of Korea's Rural Life Improvement Program on Quality of Life of Rural Women (한국의 농촌 생활개선사업이 농촌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 Bereket Roba Gamo;Yoon-Ji Choi;Jung-Shin Choi;Joo-Lee So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30 no.4
    • /
    • pp.243-257
    • /
    • 2023
  • Rural life improvement programs (RLIPs) have been implemented with a central goal of improving the quality of rural life and promoting rural welfare and cultural life. However, different factors may influence the effect of rural life improvement programs on rural communities or household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perceived effects of RLIPs on quality of life of rural women in South Korea. We used a mixed research design to generate data for this study. We collected survey data from 311 rural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RLIPs and also conducted a focus group discussion. We analyzed the quantitativ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predicted effects of RLIPs on quality of life of rural women. Our study finds that age, type of residence in the community, leadership experience, level of education, community satisfact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nfluenced respondents' perceived effects of RLIPs. The results imply that the benefits of a development intervention could not be uniformly reaped by residents of a community.

Effect of Back-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in Rural Community-Dwelling Women with Mild Low Back Pain (허리통증이 있는 농촌지역 여성들에 대한 허리 강화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 Baek, Sora;Kim, Boram;Kim, Gowun;Park, Hee-w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6 no.2
    • /
    • pp.53-66
    • /
    • 2021
  • 목적: 농촌 지역사회 기반의 허리 근력 강화 운동 프로그램이 운동과 허리 건강에 대한 개인의 태도 및 믿음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강원도 지역 네 개의 농촌 마을에서 가벼운 허리 통증이 있는 79명의 여성 자원자(42-76세)들을 운동군(n=40)과 대조군(n=39)으로 마을단위로 배정하였다. 운동군에서는 지역사회 기반의 허리강화 운동 프로그램(주당 3회, 8주간)이 시행되었고 대조군에는 일반적인 건강 관리에 대한 강의가 제공되었다. 등척성 허리 신전 근력과 허리 통증 관련 장애, 운동에 대한 태도, 허리 질환에 대한 위협인지, 운동의 자기 효능감을 중재전과 중재후 1, 2개월째 측정하였다. 결과: 운동군에서 2개월후 허리 신전근력은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허리 통증 관련 장애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운동에 대한 태도와 허리 질환에 대한 위협 인지는 운동군에서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운동의 자기효능감은 양군에서 같이 증가하였으나 운동군에서 그 정도가 더 뚜렷했다. 결론: 농촌 지역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허리 근력 강화 운동 프로그램은 허리 통증으로 인한 장애를 감소시켰고 운동의 효과에 대한 태도와 믿음을 변화시켰다.

Convergence Factors of affecting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 Lee, Myung-Suk;Han, Mir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341-349
    • /
    • 2018
  •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significant convergence factors of affecting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 A total of 161 elderly women aged 65 and over were collect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WIN 21.0. The result indicated that 42.9% of participants were depressed. In logistic regression, significant factors of depression were age(p<.001, OR=1.146), economic status (p=.004, OR=.123), number of family member living together (p=.013, OR=.020), number of social activities (p=.012, OR=.436), number of disease diagnosed (p<.001, OR=3.847), visual function (p=.023, OR=3.867), family support (p=.048, OR=.707), which accounted for 68.6% of the 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evelop various convergence strategies to prevent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level of contribution of visual disability to depression in rural older women.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 for Older Women in Rural area (농촌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망과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

  • Kim, Yeon-J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10
    • /
    • pp.339-349
    • /
    • 201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mong older women in rural area on agricultural off-season. The sample consisted of 112 women aged 65 years or over who lived in rural areas of Chung-Nam. Som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older women, including depression, social network,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using reliable instruments. Pathway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designed to explain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between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Result, direct effect of satisfaction with kin network and instrumental support on depression was found. And indirect effect of network size with kin, satisfaction with kin network on depression was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upportive system to reduce depression and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kin network and instrumental support.

The Factors Affecting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to the Professional Field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전문분야 진입 결정요인)

  • Kim, Bok-Tae;Choi, Cheon 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4
    • /
    • pp.264-272
    • /
    • 2020
  • This study focused on the reality that the necessity to professionalize women marriage immigrants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entry into the specialized field. The factors are categorized into social and institutional factors. Based on the labor market segmentation theory, which finds the imbalance of the labor market in terms of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factors, factors affecting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entering managerial or professional occupations were set as social relation factors, cultural adaptation factors, and policy support experience factors. As a result of analysis, they are all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entering managerial or professional occupa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that for rural immigrant women to grow into professionals, social relations and cultural learning capabilities, including language skills, need to be strengthened, as well as continued governmental support.

The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y of Women's Groups in Rural Areas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농촌지역 여성단체의 사회복지관련 활동이 사회적 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 Lim, Jong-Im;Lee, Shin-S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7
    • /
    • pp.300-31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social welfare activity of women's organization in rural area would affect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The subjects in study were 250 volunteer workers who belonged to a woman's organization in Gurye-gun, Jeollanam-do.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PSS Windows 18.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ssessing the extent of social welfare activity by women's organization in rural area and of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the social welfare activity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produced average values of 3.36(.86) and 3.47(.55)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 of the social capital establishment wa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of 3.00. Second, social welfare activity of women's organization in rural area were significant with respect to perception of social class, age, activity frequency, activity period. And social capital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perception of social class, education, age, activity frequency, activity period, activity field. Third, there is a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welfare activity of women's organization in rural area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Fourth, the influence of the research subject'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was 31%, and by the addition of variable factors on social welfare activity the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increased up to 46%, ascertaining that a 15% increase of the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was brought up by social welfare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