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y of Women's Groups in Rural Areas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농촌지역 여성단체의 사회복지관련 활동이 사회적 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 임종임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사회복지학) ;
  • 이신숙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사회복지학)
  • Received : 2015.03.17
  • Accepted : 2015.05.06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social welfare activity of women's organization in rural area would affect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The subjects in study were 250 volunteer workers who belonged to a woman's organization in Gurye-gun, Jeollanam-do.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PSS Windows 18.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ssessing the extent of social welfare activity by women's organization in rural area and of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the social welfare activity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produced average values of 3.36(.86) and 3.47(.55)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 of the social capital establishment wa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of 3.00. Second, social welfare activity of women's organization in rural area were significant with respect to perception of social class, age, activity frequency, activity period. And social capital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perception of social class, education, age, activity frequency, activity period, activity field. Third, there is a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welfare activity of women's organization in rural area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Fourth, the influence of the research subject'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was 31%, and by the addition of variable factors on social welfare activity the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increased up to 46%, ascertaining that a 15% increase of the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was brought up by social welfare activity.

본 연구는 농촌지역 여성단체의 사회복지 관련 활동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농촌지역 여성단체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남지역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단체에 소속된 자원봉사자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 여성단체의 사회복지 관련활동 정도는 평균 3.36점이었고 사회적 자본형성의 정도는 3.47점으로 이들 점수 모두 중앙치인 3점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내 사회복지 관련 활동과 사회적 자본의 형성 정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조사대상자인 여성단체 자원봉사자의 사회복지 관련 활동의 정도는 계층인식, 연령, 사회복지 활동횟수, 사회복지 활동기간에 따라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형성의 정도는 계층인식, 교육수준, 연령, 사회복지 활동횟수, 사회복지 활동기간, 사회복지 활동분야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농촌지역 여성단체의 사회복지 관련활동과 사회적 자본형성 간의 관계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자본형성에 대한 여성단체 자원봉사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사회복지 관련 활동의 영향력은 복지에 대한 관심, 계층인식, 복지에 대한 태도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들 변인이 갖는 설명력은 46%로 매우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주택 및 인구센서스, 대전: 통계청, 2010,
  2. 함태흥, 한국농촌에 있어서 여성조직과 그 활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3. 장덕희, "농촌여성단체의 사회복지 자원화 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제149호, pp.101-128, 2001.
  4. 한정자, 함인희, "지역여성단체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여성연구, 제17권, pp.227-255, 2000.
  5. 한정자, "농촌여성의 조직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제16권, pp.56-73, 1999.
  6. 이금옥, 농촌여성의 생활개선 조직 활동 참여와 그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7. 정현숙, 여성단체 활동실태와 활성화 방안,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8. 새마을운동 중앙연합회, 업무자료, 서울, 1990-1998.
  9. 김정옥, 도미향, 문혜숙, 박옥임, 박충선, 손홍숙, 오정옥, 홍달아기, 건강가정론, 서울: 창지사, 2014.
  10. 박혜원, 문형구, "비영리 조직의 사회적 자본", 한국비영리학회, 제7권, 제3호, pp.169-194, 2009.
  11. R. Sanderfur and E. O. Laumann, "A paradigm forsocial capital," Rationality and Society, Vol.10, No.4, pp.481-501, 1998. https://doi.org/10.1177/104346398010004005
  12. C. Naphapiet and S. Ghoshal, "Social capital, intellectual capital, and the organizational advantag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 No.2, pp.242-265, 1998. https://doi.org/10.5465/AMR.1998.533225
  13. 홍연란, 사회적 자본 지표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 교육개발원, 2007.
  14. 이정언, 유빙정, "조직신뢰가 몰입 및 조직 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5권, 제3호, pp.370-377, 2015.
  15. 이동수, "사회적 자본의 유용한 탐닉재화로서의 종교행위", 사회과학논집, 제15권, pp.555-578, 1999.
  16. 양국진, 학교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학교 공동체 의식과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7. 염소림, 최유석,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55-26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255
  18. 이현기, "노인 자원봉사활동과 사회자본", 노인 복지연구, 제50권, pp.263-290, 2010.
  19. 최윤정, "대중매체 이용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경로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3호, pp.373-395, 2008.
  20. 구병주,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1. 하성규, 박기덕,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과 주거공동체 활성화",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2권, 제4호, pp.133-153, 2011.
  22. 이미숙, 사회 자본이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3. 김태룡, 안희정, "자원봉사의 활성화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영향분석", 한국정책연구, 제9권, 제3 호, pp.197-218, 2009.
  24. 이강헌, 정진경, "자원봉사 조직 및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 인정 보상시행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비영리학회, 제5권, 제1호, pp.101-135, 2006.
  25. 박충우, 사회적 자본이 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6. 류기형, 남미혜, 박경일, 홍봉선, 이경희, 장중탁, 자원봉사론, 서울: 양서원, 2004.
  27. 소진광,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6권, 제1호, pp.89-118, 2004.
  28. 염정호, 공공조직의 사회자본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9. 최운실, 윤선영,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의 시민 사회단체 평생교육프로그램 분석", 평생학습사회, 제4권, 제2호, pp.39-70, 2008
  30. 구혜정,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대안적 평생교육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31. 김미혜, 청소년의 참여활동이 샤화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2. 김남수. 평생학습도시론.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5.
  33. 이준서, 성인평생교육 참여자의 사화적 자본형성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4. 이경아, "평생학습 참여의 사회적 자본 형성 효과에 관한실증연구", 평생교육학연구, 제 14권, 제 2호, pp.117 -146, 2008.
  35. 최장수,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미국의 교훈", 지방행정연구, 제 48권, pp.213-230, 2000.
  36. 김상민, "주민환경 운동과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시민사회와 NGO, 제 3권, 제 2호, pp.155-237, 2005.
  37. 이양수, "조직 간 의사소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복지 조직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지, 제42권, 제1호, pp.229-252, 2008.
  38. 권영숙, 지역사회 자원봉사 활동이 샤화적 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9. 전은정, 순천시 기혼여성의 평쟁교육 참여동기와 삶의 질 간의 관계,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0. 성진숙, 평생교육 여성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1. 정현수,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2. 송인영, 김영화, "여성 결혼이민자의 평생교육 경험 및 사회적 자본의 유형과 적응의 관계", 평생교육학연구, 제 17권, 제 4호, pp.147 -169, 2011.
  43. D. H. Smith, "Voluntary action and voluntary groups,"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1, pp.247 - 270, 1975. https://doi.org/10.1146/annurev.so.01.080175.00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