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생활개선

Search Result 12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농촌지도사업의 나아갈 길 - 우리 농촌을 풍요로운 삶의 터전으로

  • 정용복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1 no.5 s.98
    • /
    • pp.44-51
    • /
    • 1990
  • 앞으로의 농촌지도사업은 농정지도를 보강하고 경영지도를 강화하며 나아가 생활환경개선지도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비중을 두어야한다. 그러므로서 농민들의 걱정과 의구심을 해소하고 농가소득을 획기적으로 증대하여 풍요로운 삶을 누리도록 해야한다. 또한 깨끗하고 편리한 농촌환경을 조성하므로써 쾌적한 삶의 터전이 하루빨리 마련되어야 한다.

  • PDF

A Heed Assessment of Home Improvement Education for Rural Women -The aspect of educational methods and charactristics of rural women- (농촌주부의 생활개선 교육 요구분석 I -생활개선 교육의 방법에 대한 요구를 중심으로-)

  • 나순애;이한기
    • Korean Journal of Rural Living Science
    • /
    • v.4 no.2
    • /
    • pp.115-125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data for developing adult education program by assessing educational needs of rural women in home improvement educational contents.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interview from 500 home makers who are under 65 years old in 20 areas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Winter was favorite season, and good time band during a day was afternoon. Favorite teaching hours were 2∼3 hours a day and 1∼3 days per term. And they wanted village convention center or rural gidance office as educational place, and prefered lecturer is home improvement extension worker. 2) Among relationship between needs for education method and individual variables, is only corelated with rural women's living and educational degree significantly. To improve educational effect, teaching method is more prefered for the participatory education than lecture. It should be provided with exclusive educational place, and be increased professional field workes with obligation and power.

  • PDF

A Study on the Area Calcul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의 적정 면적 산정에 관한 연구)

  • Shin, Young-Sun;Kang, Young-Eun;Jee, Dal-Nim;Kim, Ji-Ae;Im, Se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6
    • /
    • pp.28-38
    • /
    • 2010
  • Community centers, silver towns and resting places are representative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These community facilities affect villagers directly or indirectly in terms of life quality. Current community facilities of rural village are in poor condition in spite of their importance. In particular, the small size of community facilities and standardized programs are common issues in rural village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spaces and provide a variety of community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ppropriate area standards for 5 category community facilities(community centers, sliver towns, resting places, community yards, gymnasiums and recreation areas) and also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village planning. The precedent study of community facilitie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25 rural villages in 5 districts were investigated regarding their facility conditions and current community satisfaction. As a result, appropriate rural village area standards are provide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community facility standards are almost higher than the current representative community facilities average area. This is expected to improve the community facility environment, people's activities and to increase the growth of awareness in community.

Analyzing Works from the Rural Amenity Design Competition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 작품에 대한 내용 분석 연구)

  • Kim, Eun-Ja;Kang, Bang-Hun;Kim, Sang-Bum;Yoon, Hee-Jung;Lee, Jeung-Won;Lim, Chang-Su;Lee, Se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2-92
    • /
    • 2009
  •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자원활용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2003년부터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이하 어메니티공모전)을 개최하고 있으며 2008년까지 6회의 공모전에서 166개의 입상작이 배출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수상 작품들을 통해 농촌어메니티 콘텐츠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실현가능한 농촌어메니티 환경계획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6년간의 공모전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농촌공간, 생산물 및 특산물, 프로그램 등의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콘텐츠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으로 제 1회부터 6회까지의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 수상작품 166점 중에서 내용이 간략하게 요약되어 있어 분석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입선작품을 제외하고 최우수상부터 특선까지 81개 수상작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수상작들은 대부분 한 지역을 대상으로 어메니티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었으며, 설계의 배경 및 목적, 지역 주요자원 분석, 기본 구상, 세부계획, 프로그램 계획의 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 중 작품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설계 목적별 작품 분석결과 우선 계획의 공간적 범위에 기존 농촌의 주거지 등 마을을 포함하여 마을계획이나 생활개선의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들이 69점으로 전체 작품 중 85%를 차지하였으며, 마을과 프로그램상으로 연계는 하였으나 물리적 대상이 마을로부터 독립된 공원조성 등의 내용을 담은 작품이 12점(15%)이었다. 어메니티 환경계획의 목적과 목표는 각 작품들이 대부분 하나 이상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었으며 주요 목적만을 중심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작품 패널 및 설명서의 초반에 명확하게 제시한 설계목적을 분석의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67.9% 작품이 직접적으로 도시민 휴양 및 농촌관광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6.9%가 주민의 생활개선, 55.6%가 소득증대, 46.9%가 자연환경보전을 목적으로 설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용된 주요 어메니티 자원을 분석한 결과 자연경관 26, 농특산물 21, 지명 14, 전통자원 13, 동식물 13점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농촌다움이 살아있는 농촌마을을 구현하고, 지속적인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활용체계를 수립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hanges of Health Seeking Bebavior of Rural Residents Induced by the Primary Health Care Project (일차보건의료와 농촌주민의 보건형태의 변화)

  • Cha, Chul-Wha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13 no.1
    • /
    • pp.79-81
    • /
    • 1988
  • 최근의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은 농촌주민의 보건 형태에도 큰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 10여년전과 달리 산전관리나 영유아 예방접종은 거의 대부분의 농촌주민들도 자발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일차보건사업지역이나 대조 지역간에 이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일차보건사업은 과거의 알차적인 보건써어비스의 확대라는 고전적 목표에서 써비스의 향상과 써비스 조직의 개선으로서의 새로운 사업전개가 필요하다.

  • PDF

농촌관광의 접근성 개선 및 마케팅 전략

  • 황대용;박은식;고정숙;조록환;조영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240-246
    • /
    • 2004
  • 2002년 농가소득은 도시근로자가구소득에 비하여 73.0%로 불과하고 매년 그 격차는 확대되고 있다. 또한 농외소득의 비중이 53.9%로 일본 87.0%, 대만 79.5%, 미국 94.7% 등에 비해 그 비중이 매우 낮아 농외소득원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구나 인구 3천명 이하 면수가 1990년 152개 지역에서 2000년에는 447개로 증가하는 등 농촌지역에 인적이 끊어지고 있는 곳이 증가하여 어떻게 지역을 유지해 나갈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중략)

  • PDF

농촌관광의 접근성 개선 및 마케팅전략

  • 황대용;박은식;고정숙;조록환;조영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17-125
    • /
    • 2004
  • 2002년 농가소득은 도시근로자가구소득에 대비하여 73.0%에 불과하고 매년 그 격차는 확대되고 있다. 또한 농외소득의 비중이 53.9%로 일본 87.0%, 대만 79.5%, 미국 94.7% 등에 비해 그 비중이 매우 낮아 농외소득원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구나 인구 3천명 이하 면수가 1990년 152개 지역에서 2000년에는 447개로 증가하는 등 농촌지역에 인적이 끊어지고 있는 곳이 증가하여 어떻게 지역을 유지해 나갈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중략)

  • PDF

The Satisfaction Analysis of Suburban Rural Human Settlements in Henan Province, China -Focused on Tai Nan Village - (중국 허난성(河南省) 도시 근교형 농촌 거주환경 만족도 분석 - 태남마을(太南村)을 중심으로 -)

  • Hou, ShuJun;Jung, Teay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1
    • /
    • pp.72-84
    • /
    • 2023
  • The Rural Revitalization Strategy (2018-2022), published by the Chinese State Council in 2018, represents a new period of rural development in China. Suburban areas are more convenient than other rural areas in integrated urban-rural development but are under greater pressure from construction and industrial pollution. As a rural area with a high proportion of rural areas, it would be valuable for Henan province to gain a comprehensive grasp of rural human settlementst while identifying problems and proposing sol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the evaluation items based on the usage status and life perception of the residents of Tai Nan village, a suburb-type rural village in Henan province. The study proposes improvement program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24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and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Living Service Facilities", "Housing Environment, "Road Environment", "Health & Ecology Environment", and "Social & Cultural Environment". The Fuzzy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was used to find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the human living environment in Tai Nan village, which was "average", among which "Living Service Facilities" was the most important "Health & Ecology Environment" was the least satisfied. Based on these results, an improvement plan is proposed in three stages. First, the living service will be improved while strengthening the facility management of the hygiene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Second, reasonable improvement of housing and the road environment will be applied. Third, programs will be introduced to cultivate residents' ability to build their own and improve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future improvement of rural settlements in the suburban areas of Henan province and is of great significance in gradually improving the the residents' quality of life.

Identification of Critical Source Areas on Water Quality in a Rural Watershed (하천수질자료를 이용한 농촌하천유역 오염원의 규명)

  • Hong, Seong;Kwun, Soon Kuk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3 no.5
    • /
    • pp.145-152
    • /
    • 2001
  • 농촌유역하천에서 수집된 수질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주요 오염원을 규명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수질항목은 BOD, COD. EC, pH. TN, TP,$NO_3-N,PO_4-P$ 등으로서 하천 본류내 구간별로 쌍대비교를 통해서 항목별 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유의성 검정에 이용된 방법은 쌍대비교를 위한 비모수검정법인 Wilcoxon 순위검정법을 이용하였다. 검정결과, 유기성 오염물질의 지표로 이용되는 BOD와 COD가 상승하는 구간은 주로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구간으로 나타났다. 인구밀도가 매우 높으나 생활하수가 처리장으로 배제되는 지역의 하천구간에서는 이들 농도변화는 없었다. 유역 내 축산농가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의 하천구간에서도 농도의 변화 또한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유역에서와 같이 축산분뇨를 퇴비화 및 농지환원하는 경우에는 하천수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농촌지역의 하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생활하수에 대한 처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 PD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Farm Village Development Work, Brand Equity and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농촌지역개발사업 지원과 농촌마을의 브랜드자산 및 농촌마을의 사회경제적 효과의 구조적 관계)

  • Lee, Byung-Jun;Ahn, Dong-Seop;Back, Seou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3
    • /
    • pp.600-612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support for farm village development work, farm village's brand equity and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for 380 villagers in Jeollabuk-do Province. The surveyed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Sobel test. Support for farm village development work such as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ncome foundation creation project, rural tourism facilities project, and regional competency education projec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farm village's brand equity. The farm village's brand equity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support for farm village development work such as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village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income foundation creation project, rural tourism facilities project, and regional competency education projec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But,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in indirect manner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arm village's brand equity. In this study, the effect factors on the farm village's brand equity and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was verified in farm village development strategy, and then, it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role and importance of support for farm village development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