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rea Calcul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의 적정 면적 산정에 관한 연구

  • Shin, Young-S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Young-E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ee, Dal-N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Ji-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Community centers, silver towns and resting places are representative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These community facilities affect villagers directly or indirectly in terms of life quality. Current community facilities of rural village are in poor condition in spite of their importance. In particular, the small size of community facilities and standardized programs are common issues in rural village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spaces and provide a variety of community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ppropriate area standards for 5 category community facilities(community centers, sliver towns, resting places, community yards, gymnasiums and recreation areas) and also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village planning. The precedent study of community facilitie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25 rural villages in 5 districts were investigated regarding their facility conditions and current community satisfaction. As a result, appropriate rural village area standards are provide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community facility standards are almost higher than the current representative community facilities average area. This is expected to improve the community facility environment, people's activities and to increase the growth of awareness in community.

우리나라 농촌마을의 마을회관, 노인정, 쉼터 등은 농촌마을의 대표적인 커뮤니티시설로서 공동생활이 일상화된 농촌 주민들의 생활에 직 간접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생활환경의 질적 향상과 주민들의 문화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그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 이다. 그러나, 현재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의 현황은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에서 모두 열악한 실정이다. 특히 커뮤니티공간의 협소함과 프로그램의 획일화에 대한 문제점은 우리나라 농촌마을이 갖고 있는 공통적인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응방안 모색에 미흡하다. 따라서 농촌마을 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과 계절별 연령별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커뮤니티활동을 수용하기 위하여 농촌마을 커뮤니티공간의 적정면적 제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 대표적인 5가지 유형의 커뮤니티시설인 마을회관, 노인정, 쉼터, 마을마당, 운동공간 및 놀이공간의 적정 면적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향후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계획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공간 면적 산정에 관한 기존연구 조사, 전국5개도 25개 농촌마을 지역 현황조사, 만족도조사를 통하여 커뮤니티시설별 적정한 면적기준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커뮤니티시설별 적정기준은 현재 대표적 커뮤니티시설별 평균 면적을 상회하는 결과로서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환경 개선과 주민들의 커뮤니티활동 및 의식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긴성원, 김유일, 김창배 (2001) 경기도 농촌 마을쉼터의 이용실태와 이용만족 평가. 한국정원학회지 19(36): 59-69.
  2. 농림부(1996a) 농촌마을쉽터 조성 지침서 최종 농림부 보고서.
  3. 농림부(1996b) 농촌마을공동쉽터 표준 설계 및 지침서 개발에 관한 연구 최종 농림부 보고서.
  4. 농촌진흥청 (1996) 농촌주택파 마을의 주거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2차년도 농촌진흥청 보고서.
  5. 농촌진흥청 (2001) 농촌마을 유형별 마을계획모델 및 시설계획모델연구 2차년도 농촌진흥청 보고서.
  6. 농촌진흥청 (2002) 농촌생활환경(어메니터)자원유형 및 공간패턴연구 농촌진흥청 보고서.
  7. 농촌진흥청 (2006)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사업 2차년도 농촌진흥청 보고서.
  8. 박경옥, 조현주. 이상운(2004) 농촌지역 폐교의 노인복지시설 및 주민 커뮤니티센터 획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 49-58.
  9. 박경옥, 조현주, 이상운(2006) 주민 커뮤니티센터 활용을 위힌 농촌지역 폐교 리모델링 계획.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2(4): 13-22
  10. 이관순(2003) 농촌 마을공동쉽터의 조성과 이용현황: 포항시 북구지역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최고농업경영자과정 논문집 9: 657-664.
  11. 이정화, 강경하, 정남수, 박공주, 윤순덕 (2005) 농총 노인의 마을 공동 시설 이용실태 분석 및 개선방향.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1(3) : 19-27
  12. 조순재, 임승빈, 오휘영(1996) 농촌마을 공동시설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2(2): 37-44
  13. 최병숙, 박선희, 오찬옥, 홍찬선, 임상봉(2006) 농촌마을회관의 노인 복지서비스 공간으로의 활용방안.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8(2): 80-93.
  14. 함병철, 이훈다, 이문섭 (2000) 건축면적산정기준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 387-390.
  15. 황진수, 김범수, 김정님(1998)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지역적 적정배치기 준 및 적정규모연구. 한국노년학회지 17(3) :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