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네트워크 장애 분석

Search Result 20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네트워크 사용자를 위한 장애진단시스템 설계 (Design Approach of Fault Diagnosis System for Network User)

  • 김홍주;이태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00-405
    • /
    • 1998
  • 현재 네트워크 환경과 컴퓨터시스템 환경에서의 고장 또는 장애에 의해서 통신이 않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네트워크의 확장으로 인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및 컴퓨터시스템 환경에서 발생하는 장애에 대한 원인 분석과 이에 따른 장애의 진단과 처치를 위하여 전문가시스템의 기법을 도입하였다. 장애의 원인을 탐색하기 위하여서는 추론기관과 지식베이스를 구성하였으며, 장애요인에 대한 지식은 장애를 하나의 객체로 하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 PDF

RBR을 이용한 LAN 지연 장애 검출 및 진단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gorithms for Delay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on LAN based on RBR)

  • 조규억;안성진;정진욱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8S호
    • /
    • pp.2620-263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규칙 기반 추론 기법을 이용하여 LAN 상의 지연 장애 검출 알고리즘과 장애를 유발시킨 호스트에 대한 위치 확인 알고리즘 및 장애 원인 분석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연 장애 검출 모델과 RBR 기반 장애 검출 규칙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충돌율 검출 규칙과 이용률 검출 규칙을 적용하여 지연 장애 검출 알고리즘을 설계하였고, 최대 패킷 출력 호스트 파악 규칙을 적용하여 장애 위치 탐색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패킷 유형 분석 규칙과 장애 원인 파악 규칙을 적용하여 장애 원인 분석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하여 LAN 상의 지연 장애를 검출하고 진단하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제시한 지연 장애 검출 및 진단 기법을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 직접 적용시켜 봄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시한 장애 검출 및 진단 기법의 정확성과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법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LAN 상의 장애를 진단하고 원인을 해결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SHR/2 네트워크를 위한 APS 프로토콜 분석 (Analysis of the APS protocol for BSHR/2 networks)

  • 김성선;손희영;이상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08-115
    • /
    • 2001
  •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를 기본으로 한 SHR(self-healing ring) 네트워크는 장애가 발생할 경우 프로세스를 재구성할 수 있으며 APS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방향으로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고 두 개의 선로를 갖는 BSHR/2(two fiber bidirectional SHR)네트워크에서의 장애 복구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APS(automatic protecti switching)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ITU-T G.841이 제시하는 최대 장애 복구 시간인 50㎳내에 장애를 복구하기 위해 필요한 각 노드들의 프로세싱 시간 영역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중 장애에서 SD(signal degrade) 장애가 선행된 후 다시 SF(signal failure)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와 SF 장애가 선행된 후 다시 SF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분석하였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50㎳내의 장애를 복구할 수 있었다.

홈 네트워크 제어 로그 기반 홈 서비스 복구 시스템 (Home Service Recovery System based on Home Network Control Log)

  • 김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620-623
    • /
    • 2008
  • 홈 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환경에서는 외부요인에 의한 장애, 네트워크 장애, 장치의 장애 등에 의해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시스템 결함 관리와 같은 복잡한 시스템 관리를 직접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홈 기기에 대해 장애가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복구하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상의 홈 기기들의 제어 로그의 설계와 관리, 장애 발생시점의 홈 기기의 서비스 내용을 분석하여 홈 기기의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구현한다.

  • PDF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난독증과 학습장애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in the Dyslexia and Learning Disability Trough a Keyword Network Analysis)

  • 이우진;김태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91-98
    • /
    • 2019
  • 본 연구는 난독증과 학습장애 관련 연구 동향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관련 변인의 중심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8년부터 2018년까지 학술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사이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연구 목록을 수집하였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407편의 연구 주제는 키워드 클렌징 작업을 거쳐 KrKwi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키워드 간 연결중심성을 시각화를 하기 위해 NodeXL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난독증과 학습장애 연구주제 총 72개의 키워드가 추출되었고 주요키워드에는 학습장애, 읽기장애, 난독증, 중재반응모형 순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난독증과 학습장애의 관련 매개 키워드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장애가 국내 난독증 및 학습장애 관련 연구에서 주요한 키워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난독증과 학습장애와 관련해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절충한 연구동향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LAN 장애 검출 및 위치 확인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lgorithm for Fault Detection and Location on LAN)

  • 조규억;안성진;정진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제13회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324-32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LAN 상에서의 장애 검출과 장애를 유발시킨 호스트에 대한 위치 확인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네트워크 장애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있다. LAN 상에서의 주된 장애로 충돌율에 의한 네트워크 지연 장애를 들 수 있다. 따라서 패킷 충돌 감지를 통하여 네트워크 지연을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에러 발생 패킷 등을 분석하여 충돌율을 많이 발생시킨 호스트를 찾는다. 패킷을 많이 발생시킨 호스트에 대하여 RMON2를 이용하여 응용 프로토콜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내용을 관리자에게 통보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애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PDF

GMPLS에서 Sub-Network을 이용한 동적 복구 방식 및 특성 (Sub-Network based Dynamic Restoration Schemes and Its Characteristics on GMPLS Network)

  • 권호진;이상화;김영부;한치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5호
    • /
    • pp.53-6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GMPLS 네트워크의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 서브네트워크를 이용한 2가지 유형의 동적 복구 방안들을 제안하고, 그의 특성을 분석한다. 제안한 방식은 전체 GMPLS 네트워크를 몇 개의 서브네트워크로 나누고, 장애가 발생된 장소에 따라 복구 방식과 보호 방식을 혼합하여 적용한 방식과 GMPLS 네트워크를 주 서브네트워크와 보조 서브네트워크로 나누고 장애가 발생한 지점에 따라 서브네트워크 별로 복구 방식을 적용하는 방안이다. 두 방식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네트워크자원 이용 율과 복구 성공률, 평균 복구 시간을 분석하고, 기존 방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 l+l, 1:1, 1:N의 보호 방식보다는 두 방식 모두 자원이용 효율은 증가하였다. 복구 성공률과 평균 복구 시간은 기존의 경로 복구 방식에 비해, 단일 장애에 대해서는 우수하지만 다중 장애에 대해서는 약간 열세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단일 경로에서 다중 링크 장애가 발생할 확률은 낮으므로, 실제 적용 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웹 기반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Web-based Network Traffic Monitoring System)

  • 안용학;박진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64-7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관련 장비와 선로에 대한 분석과 진단을 통해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및 시스템의 운영과 관리, 확장 및 설계를 지원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니터링 시스템은 성능 및 장애 분석 항목과 그 계산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관리 공간의 제약, 사용의 불편성 그리고 플랫폼 의존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실제 네트워크 상에서 적용성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JAVA를 이용한 웹 기반 기술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웹 기반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가 웹을 통해 네트워크 진단과 장애 감지. 네트워크 구성 및 설계 등과 같은 네트워크 상의 관리 행위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가상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문제점 식별 및 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 Identification and Diagnosis from Virtual Network)

  • 김정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67-78
    • /
    • 2010
  • ISP 사업자는 NMS을 이용하여 자사망에 대한 원활한 서비스를 목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NMS는 ISP 사업자의 네트워크 망을 구축한 이후, 이 NMS로 자사 네트워크 망에 대한 장애 이벤트를 분석하여 잠재적인 장애 원인에 대한 진단을 수행한다. 그러나 만약 ISP 사업자가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기 이전 가상 네트워크 망모형 설계 및 네트워크 망에 대한 문제점 식별과 진단이 가능한 소프트웨어가 있다면 어떨까라는 의문의 동기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의 네트워크 망 모형을 통한 장애 원인 및 진단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시뮬레이션 툴인 NetDoctor를 소개한다. 이 NetDoctor를 이용하여 가상의 네트워크 망을 구성한 후 고의적으로 장애를 발생시키고 그 장애에 대한 식별이 가능한지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NetDoctor는 가상 망모형에 대한 문제점 식별과 진단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 NetDoctor를 이용한 연구 사례가 미흡한 점을 가만해 볼 때 본 연구를 통하여 가상 망모형에 대한 문제점 식별과 진단의 기초 연구가 되길 바란다.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및 네트워크 통신 환경을 고려한 UGV 효과분석 (Analysis of UGV Effectiveness Based on ABM(Agent Based Modeling) and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s)

  • 이재영;신선우;김종만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89-97
    • /
    • 2018
  • 미래전에서는 무기체계의 상당부분이 무인체계로 대체될 것이며 이들은 상호 통신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중심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인체계 효과분석이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다. 하지만 무인체계의 주요통제 수단인 통신장애 상황에서 UGV에 대한 효과분석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형을 고려한 통신장애 상황에서 무인체계의 운용효과분석을 위한 새로운 에이전트기반 모델링 절차를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통신장애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통신중계기를 추가하였을 경우 UGV운용효과의 변화에 대한 분석결과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