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너비

Search Result 52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Lower Body Torso Shape in 40s, 50s and 60s Women for Development of Urinary Incontinence Panty

  • Cha, Su-J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10
    • /
    • pp.163-173
    • /
    • 2022
  • This study attempted to categorize the lower body torso type and investigated its characteristics for women in their 40s, 50s, and 60s, who increase the frequency of incontinence. This study analyzed the 8th human dimension survey data of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6.0 program. It was analyzed that the height item of the lower body torso decreased, the width item widen as the age increases, and the waist and abdomen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ce item increased and the hip circumference decreased. Body length decreased with age. The components of the lower torso were classified into the lower torso horizontal factor, height factor, lower factor, and vertical factor. The lower body torso type was classified into a long inverted triangular body type, a short and high body type, a body fat body type, and a low triangular body type. It was analyzed that type 3 was the largest in the horizontal factor and height factor, and type 1 was the largest in the vertical factor and the lower part factor. A new drafting method was required in setting the horizontal part of the incontinence panty, the front and the back length.

The Relationship among Dynamic Capabilit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e, Innovation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수출벤처기업의 동태적 역량이 기술사업화역량, 혁신성과 및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 Hwang, Kyung-Yun;Sung, Eul-Hyun
    • Korea Trade Review
    • /
    • v.41 no.2
    • /
    • pp.159-183
    • /
    • 2016
  • This study focuses on export venture firms in Daedeok Innopolis and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ynamic capabilit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e, innovation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dynamic capabilities that may affec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e, innovation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model takes on a dynamic-capability view and is based on empirical studies regarding competitive advantage. A survey of 103 export venture firms was conducted from January 5, 2015, to February 4, 2015. A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structs set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dynamic capability of an export venture firm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firm'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e, innovation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The study also finds evidence that the export venture firm'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mpetence directly affects its innovation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In addi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an export venture firm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firm's competitive advantage. Overall,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s in which dynamic capability represents a specific capability for export venture firms.

  • PDF

First Report of Navicula spartinetensis (Bacillariophyceae) from Korean Tidal Flats Along with Its Distribution in Northeast Asia (한국 미기록종 Navicula spartinetensis (Bacillariophyceae)의 분류 및 분포)

  • KIM, HYESUK;KHIM, JONG SEONG;PARK, JINSOO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5 no.4
    • /
    • pp.97-105
    • /
    • 2020
  • The genus Navicula, with its notably high species divers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era of the diatom assemblages of the tidal flats. In the present study, Navicula spartinetensis was firstly observed from Yellow Sea including both of Korean and Chinese tidal flats. Morphological description was also made based on the LM and SEM observa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locations in Korea, two in October 2006, one in July 2007, and one in July 2018, and seven location in China from June to July 2018. N. spartinetensis was firstly described by Sullvian & Reimer in 1975; Cells are lanceolate with narrow valve faces, 20-30 ㎛ long, 5-6 ㎛ wide, and the density of striae is 12-13 in 10 ㎛, and the terminal raphe ending curved in the same direction. N. spartinetensis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from Europe and South America, and the present study has expanded its distribution to the Northeast Asia. In conclusion, the diversity of Korean marine benthic diatoms is still underestimated thus extensive further study of diatom taxonomy is needed.

Comparative Study on Phenolic Compounds of Cheorwon Onion by Phosphite Treatment (아인산염 처리에 따른 철원양파의 페놀화합물 비교 연구)

  • Kim, Y.B.;Lee, H.J.;Park, C.H.;Kim, D.H.;Koo, H.J.;Chang, K.J.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20 no.2
    • /
    • pp.105-114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phenolic compounds after phosphite treatment on Cheorwon onion. Onion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lily family. It is native to Persia of Southwest Asia. It is widely cultivated in the temperate regions of the world. Onion is a good name for the 'Okchong' to drop blood cholesterol and cardiovascular blood flow to increase the prevention of adult diseases. Cheorwon area is inland, but it has high continental climate due to its high altitude. Therefore it is said that the onion cultivated in this region has higher sugar content and higher taste than onion grown in the southern region. Phosphorus components are particularly important ingredients for promoting muscle development. However, if the phosphoric acid content of the soil part is maintained to a large extent until the harvest, the competition of the nutrients tends to cause decay of the root par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and shelf life of onion by inducing nutrient balance by applying foliar fertilization method on the reducing phosphorus at harvest time. In this study, acidity was controlled by diluting phosphorous acid(H3PO3) and potassium hydroxide(KOH), followed by leaf surface treatment with phosphite on onion.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 of phosphite was diluted to 500, 1,000, 1,500ppm and sprayed three times over the onion leaves in May 2018 using an atomizer and harvested at the end of June, and the phenolic compounds were analyzed by HPLC. As a result, the content of quercetin, one of the important substances in onion, was phosphite 500ppm(179.70㎍/g), 1,000(150.27), 1,500(105.95). The contents of caffe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rutin, kaempferol, and sugar content were higher in the treatments than in the control. Therefore, the phosphite does no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growth, but it may play a role as a method of achieving balance with nitrogen in the rainy season by supplying the role of the material catalyst and the water soluble phosphoric acid and the potassium in the influence of the material change.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A3 Treatment of 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awa (일당귀의 GA3 처리에 따른 생육특성)

  • Dae Hui Jeong;Yeong Bae Yun;Jeong Hoon Huh;Hong Woo Par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46-4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약용과 식용으로서의 활용도가 높은 일당귀[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awa]의 GA3농도에 따른 생육특성을 확인하고, 최적의 재배기술 개발 및 지속가능한 안정적인 작물생산에 대한 기초자료의 제공에 있다. 연구재료는 강원도 태백시에 위치하는 일당귀 재배농가에서 2021년 10월에 채종한 종자를 구입하였고, 영주시 풍기읍에 위치한 연구온실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당귀의 종자를 증류수에 48시간 침지 후 GA3농도 4조건(50 ppm, 100 ppm, 500 ppm, 1,000 ppm)에 24시간 처리 후 72구 포트에 파종 후 출아율과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일당귀 종자는 16일이 경과한 시점부터 출아를 시작하였고, 500 ppm처리구에서 73.3%로 가장 높은 출아율을 나타냈다. 생육특성조사는 출아 후 40일(1차)과 80일(2차) 경과된 시점에서 총 2회를 수행하였는데 1차 생육조사에서는 주근길이와 직경을 제외한 모든 생육특성에서 처리구별 생육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2차 생육조사에서는 지상부와 지하부의 모든 생육특성에서 처리구별 생육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잎수(6.3개)와 주근길이(4.26 cm)는 500 ppm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육량을 나타냈고, 지상부 높이(21.81 cm), 잎길이(9.0 cm), 잎너비(10.77 cm), 주근직경(5.71 mm)은 1,000 ppm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육량을 나타냈다. 따라서 GA3 처리에 따른 일당귀의 생육특성은 생육초기보다 후기로 갈수록 발현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저농도의 GA3처리보다 500-1,000 ppm 사이의 처리농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일당귀의 유용성분 분석을 통한 이화학적 연구가 추가된다면 최적의 재배기술 확립을 통한 안정적인 작물 생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Growth Characteristics of Diabelia spathulata Siebold & Zucc. Population, a Rare plant in Korea (희귀식물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의 생육 특성)

  • Jeong Gul Jang;Sung-Tae Yu;Byung-Do Kim;Myung-Hoon Yi;Hye-Yeon Kwon;Chae-Sun Na;Da-Hyun Lee;Ki-Ho K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19-19
    • /
    • 2021
  • 경남 양산의 천성산에서만 생육하는 산림청·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Critically Endangered, CR)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을 대상으로 20개소의 방형구(10×10m, 100m2) 내 개체의 특성(개체수, 개화, 결실 등), 종자의 활력검정, 차광처리에 따른 생육 특성 및 우리나라 전역의 생육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20개소의 대상지에서 확인한 개체수는 총 3,270개체이며, 평균 개체밀도는 1.635/m2이다. 평균 수고는 1.1m 정도이며, 평균개화율은 27.37%이고 개화는 1.0~1.8m(평균수고 1.39m) 수고에서 집중되었다. 한편, 결실률은 평균 1.67%로 매우 낮았다. 종자의 크기는 평균 너비 0.27mm, 높이 0.18mm 정도로 너무 작아 X-ray 촬영을 통한 충실검정은 확인할 수 없었다. 종자를 1% Agar배지에 종자를 치상한 후 온도조건(15, 20, 25℃)에 따른 실험 및 온도(15, 20, 25℃)와 GA3 농도(100, 250, 500PPM)처리 실험 모두 발아율은 0%였다. 결실률이 매우 낮고, 종자 발아율 또한 낮으며 지하경을 뻗는 특성으로 보아 종자는 휴면종자이며 영양생장을 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차광처리에 따른 생육 특성 실험 결과, 신초는 평균 30.6mm 성장, 엽록소 평균 함량 25.30, 잎의 수 평균 8.32개, 잎 길이 평균 35.93mm, 잎 폭 평균 20.37mm정도 성장하여 엽면적은 평균 761.10mm로 나타났다. 생육은 조도계를 활용한 실 차광률로 볼 때, 67.8% > 82.8% > 88.2% > 43.2% > 91.9%의 순서로 나타났다. 주걱댕강나무 자생지 내 수관열림도가 21.86%로 이를 차광률로 환산할 경우 70%내외의 차광률에서 생육이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기후대별로 5개소에 이식한 주걱댕강나무는 이듬해까지 모두 생육이 원활하였다. A. spathulata를 Diabelia ionostachya종들과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진다는 연구에서 D. ionostachya 샘플은 위도상 강원도 고성군에 속하고 있어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에서 식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Quant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Internal Lesions of Sweet Potatoes Over Storage Periods (저장 기간에 따른 고구마 내부 병변의 분포 정량화)

  • Ji-Woo Jung;Dong-Il Lee;Seong-Young Choi;Roshanzadeh Amir;Eung-Sam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igusricum chuanxing Hort. according to Cultivation Environment (재배지 환경에 따른 토천궁의 생육특성)

  • Hong Woo Park;Ki Yoon Kim;Dae Hui Jeong;Hyun-Jun Kim;Chung Ryul Jung;Yurry Um;Kwon Seok J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98-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약재로 사용되는 천궁 중 토천궁(Ligusricum chuanxing Hort.)에 대한 지역별 생육환경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지상부 및 지하부 생장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토천궁의 적정 재배지역 확인 및 지속 가능한 안정적인 한약재 생산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함에 있다. 토천궁이 주로 재배되고 있는 봉화군, 영양군, 평창군과 더불어 기후변화에 의한 재배지 이동을 고려하여 고위도 지역인 인제군을 포함한 4지역의 재배지를 선정하였으며, 생육특성을 비롯 기상 및 토양환경을 분석하여 토천궁의 생육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4지역의 재배지 중 지상부와 지하부의 전체적인 생육은 평창지역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확인되었다. 그리고 생육특성과 기상환경과의 상관관계에서 대기 및 토양온도가 지상부의 전체높이, 줄기직경, 지하부의 생육특성과 P < 0.01수준에서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 잎의 길이 및 너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일사량이 높아질수록 잎의 크기를 제외한 생육특성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대기 및 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잎의 증발산율 상승과 일사량에 따른 잎의 광합성량의 차이에 의한 결과라 사료된다. 또한 토양특성과의 상관관계에서 OM과 N, P, K는 지상부의 전체 높이와 줄기 직경을 비롯한 지하부의 생육특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근권의 토양시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것이라 실질적으로 토천궁의 생육에 필요한 토양의 성분이 OM과 N, P, K이며, 토천궁에 의해 흡수되었다고 판단되는데 생육이 가장 우수했던 평창지역 토양 내 OM(1.69%)과 N(0.09%), P(897.72mg/kg), K(0.21cmol+/kg)의 수치가 타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된 결과가 본 실험에서 확인된 생육에 대한 OM, N, P, K의 함량과 부의 상관관계를 지지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토천궁의 재배지 선정 및 재배기술 정립에 활용할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Ligularia stenocephala (곤달비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Song Hee Ahn;Jung Seob Moon;Gue-Saeng Yeom;Jin Ho Yang;Min Sil Ah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Concrete Crack Detection Inside Finishing Materials Using Lock-in Thermography (위상 잠금 열화상 기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마감재 내부 균열 검출)

  • Myung-Hun Lee;Ukyong Woo;Hajin Choi;Jong-Chan Kim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7 no.6
    • /
    • pp.30-38
    • /
    • 2023
  • As the number of old buildings subject to safety inspection increases, the burden on designated institutions and management entities that are responsible for safety management is increasing. Accordingly, when selecting buildings subject to safety inspection, appropriate safety inspection standards and appropriate technology are essential. The current safety inspection standards for old buildings give low scores when it is difficult to confirm damage such as cracks in structural members due to finishing materials. This causes the evaluation results to be underestimated regardless of the actual safety status of the structur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ging buildings subject to safety inspection.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a thermal imaging technique, a non-destructive and non-contact inspection, to detect cracks inside finishing materials. A concrete specimen was produced to observe cracks inside the finishing material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and thermal image data was measured by exciting a heat source on the concrete surface and cracked area.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ossible to observe cracks inside the finishing material with a width of 0.3mm, 0.5mm, and 0.7mm, but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e cracks due to uneven temperature distribution due to surface peeling and peeling of the wallpaper. Accordingly, as a result of performing data analysis by deriving the amplitude and phase difference of the thermal image data, clear crack measurement was possible for 0.5mm and 0.7mm crack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field application and analysi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using big data-based deep learning in the diagnosis of internal crack damage in finishing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