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성 중심성

검색결과 421건 처리시간 0.026초

청소년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 성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of Gender-Role Stereotype among Youth)

  • 김소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36호
    • /
    • pp.129-149
    • /
    • 2008
  • 본 연구는 청소년 성역할 고정관념의 성 차이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가족특성과 청소년 개인특성을 중심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05년 조사한 초등 2차 패널 자료와 중등 3차 패널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 고정관념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유효하게 높았다. 둘째, 남성성 성역할 고정관념은 남학생 뿐 아니라 여학생에게도 여성성 성역할 고정관념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셋째, 남학생의 자존감은 성역할 고정관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학생의 자존감은 성역할 고정관념과 무관하였다. 넷째, 여학생 집단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교육수준, 가족형태는 성역할 고정관념의 유의한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학생 집단의 경우 어머니의 교육수준만 남성성 성역할 고정관념의 유의한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은 가족의 영향을 남학생보다 더 많이 받고 있었으며, 효과에 있어서도 성역할 고정관념의 완화를 경험하고 있었으나 남학생은 그 반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역할 태도 형성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무배우자 남성의 표현적 성 대처행동이 성매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 '범죄억제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Expressive Sexual Coping Behavior on the Prostitution Attitude of Spouseless Men)

  • 전병주;김건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13-22
    • /
    • 2015
  • 본 연구는 대전, 세종, 충 남북 지역에 거주하는 배우자 없는 남성 286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그들의 표현적 성 대처행동이 성매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이 과정에서 범죄억제에 대한 인식 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성매매에 대한 태도는 보통수준 이상으로 관대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매매 태도는 조사대상자의 거주 지역, 교육수준, 건강상태, 근로활동 여부, 사회 참여 여부에 따라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매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준, 건강상태, 근로활동 여부, 사회 참여 여부, 표현적 성 대처행동, 범죄억제에서의 공식적 비공식적 억제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범죄억제에서의 공식적 억제는 성 대처행동과 성매매 태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무배우자 남성의 성매매를 억제할 수 있는 통합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1930-1990년대 영화 의상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I) -남성성(Masculinity), 여성성(Feminity)를 중심으로- (A Study on Gender Identity shown in Movie Costumes from 1930′s to 1990′s -Focused on Masculinity and Feminity-)

  • 정세희;양숙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3-78
    • /
    • 2002
  • The movie costumes may serve to change individuals'ego identity, shift a gender identity to another one and make multiple and plural gender identities shared. The unique identities shown in movies can influence the audience to the extent that they will imitate characters's costumes or appearance in their real life, replacing their inner, unrealizable and private fantasy with real 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ovies produced in 1930's and thereafter by categorizing the socio-cultural gender concepts into masculinity and feminity. Masculinity and Feminity are not attributions fixed by some physical characteristics, but it tends to be changed or expended by some social factors over time. In short, it may be a flexible, plural, individual and self-introspecive attribute. Movies present diverse types of masculinity and feminity, and in particular, the movie costumes specify them. In other words, the costumes may be model means expressing the masculinity and feminity, and the gender identities shown in the movies tend to be imitated, re-created or assumed by the audience. All in all, the movie costumes serve to take on the confrontation of masculinity and feminity between inner, unrealizable and private fantasy and external reality and thereby, expand it from internal to external issue and thus, change or reform masculinity and feminity.

한국과 중국 남성의 이상적인 외모유형과 남성의 추구이미지 변화 양상 -20~40대를 중심으로- (A Men's Following Up Image Change and the Aspect of Ideal Appearance Type of Korean and Chinese Men -Focused on Men in Their 20s to Their 40s-)

  • 이윤경;정다울;변려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67-876
    • /
    • 2015
  • This research studies socio-cultural hegemony change focused on male society through contemporary ideal masculine images of Asian men (especially Korean and Chinese men). Participants were: South Korean men in and around Seoul and Chinese men in Beijing and Shanghai. The youngest survey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the oldest in their 40's were asked about their present men's appearance images and masculinity as well as asked to evaluate satisfaction with their own style, and interest in fashion trends on a 5-point Likert scale. In this research, an ideal masculinity was tested by 6 characters (traditional masculinity, macho masculinity, androgynous masculinity, adolescent masculinity, trendy masculinity, and general masculinity) as male avatars. Asian men's consciousness of an ideal masculinity image has moved gradually from traditional masculinity to trendy masculinity, leading to new roles in a socio-cultural agenda. Korean and Chinese men are more interested in appearance and notice fashionable styles to be trendy that follow the latest fashion because most other Asian men reflect a traditional masculinity as an ideal appearance image.

온라인 쇼핑정보에 대한 남성과 여성 간 시각 주의도 탐색 연구: 휴먼 브랜드 이미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Analysis of Male and Female Shopper's Visual Attention to Online Shopping Information Contents: Emphasis on Human Brand Image)

  • 황윤민;이건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28-339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성장한 온라인 경쟁 환경에서 기업들은 효과적인 소비자 시선 집중을 위해 쇼핑 정보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시각반응 이해가 필요하다. 소비자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쇼핑 정보 제공을 위해 소비자 유형별 쇼핑 정보의 시각 반응 차이가 규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이트래킹 기법을 활용해 대표적 소비자 유형인 남성과 여성 간 온라인 쇼핑 정보에 대한 시각 주의도 차이를 탐색적으로 연구했다. 특히 다양한 광고채널에서 구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활용되어 온 휴먼 브랜드 콘텐츠가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 남녀 소비자 시각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80명의 남녀 대학생 대상 아이트래킹 실험을 통해 규명했다. 실험 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이 휴먼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시각주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휴먼 브랜드에 대한 남성과 여성 간 시각주의도 차이가 기능성 제품인 노트북보다 심미성 제품인 향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시각행동 관점에서 남성과 여성에 대한 차별화된 온라인 쇼핑 콘텐츠 제공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온라인 쇼핑 웹페이지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휴먼 브랜드 이미지 콘텐츠의 전략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남성의 명품 소비와 차이의 문화정치 한국 사회 30대 남성의 소비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f Male Luxury Consumpti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Difference Focused on the Consumer Experiences of Men in their 30s)

  • 류웅재;박정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5권
    • /
    • pp.9-42
    • /
    • 2016
  • 이 연구는 한국 사회 남성들의 명품 소비가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는 무엇이며, 개인이 명품 제품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또 이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과 실천을 하는지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와 실천을 둘러싼 일련의 과정들이 개인의 삶에 개입되는 방식과 이들의 총합으로서 한국 사회의 브랜드 소비와 물질문화를 둘러싼 다기한 지형과 문화정치를 비판적으로 독해하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 30대 남성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이들의 명품 소비 경험을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자기표현이나 타인과의 관계를 위한 상징적 욕구의 충족과 정체성 및 라이프스타일(lifestyle)의 연장선상에서 명품 제품을 소비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명품은 애착의 대상일 뿐 아니라, 새로운 관계와 자기 정체성의 형성 과정으로서 이를 소비하는 일련의 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만족감이나 자기 효능감을 경험한다. 이들은 자신의 준거 집단으로부터 브랜드 소비 양식을 학습하면서 명품과 명품이 아닌 제품을 혼용해 사용하는 포스트모던(postmodern)적 소비 행태와 전략을 드러내기도 한다. 한국 사회에서 적절한 명품소비는 타자와의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이나 필요로 인식되며, 이에서 파생되는 기호들은 현대사회의 남성성이 경제적 자본과 연동되는 자기관리, 자기계발 등의 가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선로 중심간격 설정을 위한 실차 실험을 통한 공력 영향 연구 (A Study of Aerodynamical Effects for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rack Centers by using Real Train Experiment)

  • 남성원;권혁빈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487-491
    • /
    • 2007
  • 고속철도 건설시, 선로 중심 간격 및 시공기면폭의 감소는 건설비용의 절감을 가져온다. 그러나, 선로 중심 간격의 축소는 열차 주행 풍압의 증가의 여러가지 안전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기술적 검토와 공기역학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호남 고속철도에 적합한 선로 중심간격을 검토하는데 필요한 차량 주행 안정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선로 중심간격 변화로 인한 교행 열차 풍압을 예측하였으며, 이를 실차 실험 결과를 토대로 공력영향을 평가하였다.

의상에 있어서 인체“부재”의 기호학적 의미 분석-작품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The semiotic meaning analysis of body“absence”in clothing)

  • 박현신
    • 디자인학연구
    • /
    • 제21권
    • /
    • pp.219-231
    • /
    • 1997
  • 의복은 단순한 상징적 체계, 즉 입는다는 기능성에 벗어나 미학의 한 위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기호코드로 새로운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파악하고자, 의상에서 인체의 부재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강조한 3점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1) 입음/걸려짐, 긍정적/부정적, 능동적/수동적, 있음/없음을 통해 남성/여성의 의미를 대립시키고, 2)사회적인/사적인, 인체/옷을 통해 남성과 여성을 적절함/부적절함, 주체적인/부수적인 의미로 환원시켰다. 3) 하나의/다수의, 단순함/다양함, 제한적인/자유로운 의미를 통해 옷 입는 방법에 대한 사유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여성사이트의 현황 분석 및 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

  • 유상진;이헌성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6
    • /
    • 2000
  • 여성네티즌들은 남성네티즌과는 다른 성향을 보인다. 그들은 결속력과 전파력이 강하고 익숙한 사이트에서 정보를 찾으려는 습성이 잇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 경제권을 대체로 여성이 쥐고 있기 때문에, 전자상거래의 타켓 또한 남성에서 여성으로 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Web 비즈니스에 있어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여성사이트에 대하여 실증분석 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여성사이트들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일반 사이트들과의 차별성을 두기 위해 시도하고 있는 기능들이나 서비스 등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10대와 20대들의 여성사이트에 대하여 갖는 성향이나 특성 그리고 이용실태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에 따른 여성사이트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응답자중 33%만이 여성사이트를 방문해본 경험이 있으며, 그들 중 무응답자를 제외한 33.7%만이 컨텐츠 내용에 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여성사이트 방문경험의 유무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관심있는 컨텐츠 분야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라 여성사이트의 방문경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족정책의 성 통합적 재구조화: 노동 주체의 관점에 근거한 일과 가족의 양립을 중심으로 (Restructuring the Family Policy from the Gender-integrating Perspective: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 윤홍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4호
    • /
    • pp.291-319
    • /
    • 2005
  • 본 논문은 성 통합적 관점에서 가족정책의 재구조화에 대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는 가족정책의 관점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 섰을 때 일과 가족 양립의 문제가 특정한 성의 문제가 아닌 보편적 시민의 문제가 된다는 점이다. 즉 허구적 믿음에 근거한 공 사적영역의 분리를(성별구분 없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통합시킬 때 공적가치인 정의의 문제와 사적가치인 보살핌의 대립이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노동주체로서 남성과 여성의 통합성과 현실적 문제로써 여성과 남성의 차이에 근거한 '이해'의 상이함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가족정책의 틀은 가족 구성원이 노동하는 장소에 따라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가족정책의 틀에 따라 가족정책을 가족영역과 시장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가족정책의 내용은 가족구성원이 노동권과 가족권을 실현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완화 제거하는 정책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족정책의 방향은 여성과 남성이 생계부양과 보살핌의 책무를 함께 나누게 하는 것이다. 이는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허구적인 공 사적영역의 분리를 통합시켜 내는 것으로, 궁극적인 가족정책의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는 보편적 일과 가족 양립을 실현하는 길이라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