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성모자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모자제품의 레이블과 소비자 관리행동 (Care Labels and Consumer's Care Behavior of Hat Products)

  • 김차현;박명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84-1792
    • /
    • 2007
  • 현대의 패션의 다양화, 개성화로 패션 스타일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모자는 더욱 부각되어 수요자 층이 확대되고 있지만,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세탁 및 관리에 어려움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모자제품의 관리방법에 대한 소비자의 현황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모자 레이블 부착의 문제점과 개선책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며, 나아가 모자의 보관이나 세탁방법에 대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소비자들의 모자제품의 세탁 및 관리행동에 관한 조사를 하기 위하여 서울 및 도시에 거주하며 모자를 소유하고 있는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의 남녀 395명을 대상으로 연령과 성별을 고려한 할당 표본추출방법을 통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07년 3월에서 4월까지 이루어 졌으며, 설문은 총 4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자 착용실태, 세탁방법, 건조방법, 보관방법에 관한 문항은 선다형으로, 모자 소비자 불만, 소비자 모자 레이블 인식에 관한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고,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12.0 프로그램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오차, 교차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통계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첫째, 모자 소비자의 세탁방법 인식도와 실천정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는 세탁경험이 많은 여성이 모자 세탁 방법에 대하여 잘 알고 실천하고 있었으며, 편안함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보다 높은 연령대가 세탁방법을 더 잘 실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모자 소비자들은 다른 의복 아이템과 비교하여 울세제로 세탁망에 넣어 세탁기로 돌리거나 손으로 직접 빠는 세심한 관리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탁빈도는 더러움이 탈 때마다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세탁의 주 목적은 얼룩제거로 나타났지만, 여성은 남성에 비해 모자의 형태보전과 냄새제거를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장소에 있어서는 그늘에서 건조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 집게로 집어 빨래 줄에 말리는 경우가 많았다. 모자 세탁 시 세탁방법, 건조방법, 건조장소의 요인들보다 세제종류가 세탁 후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적절한 세제를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소비자에게 인지시켜 피해를 줄이는데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 보관방법으로는 대부분 옷장 선반에 두고 있었으며 보관 후 형태변화 결과를 경험한 소비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적합한 모자 보관으로 형태유지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셋째, 대부분의 모자 소비자들은 레이블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다른 의복 아이템에 비하여 모자레이블에 대한 신뢰도는 더 낮게 나타나, 공급자들은 정확하고 실질적인 레이블을 표기하여 신뢰도 회복을 기해야 할 것이다. 많은 소비자들이 모자의 치수 체계 이해에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레이블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가 낮게 나타나 남성 소비자에게도 전반적인 레이블에 대해 교육시키도록 구체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만 하겠다. 후속연구에서는 모자의 다양한 형태나 재료에 따른 세탁 및 관리 방법을 보완하여 연구가 수행되어서 보다 구체적인 자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회.문화적 환경이 모자의 변천에 미친 영향 -19세기 유럽을 중심으로- (A Effect of Sociocultural Environment on the Vicissitudes of Headgear -Focused on 19th Century in Europe-)

  • 김진구;임선희;김애련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2호
    • /
    • pp.295-307
    • /
    • 2001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 effect of sociocultural environment on the vicissitudes of headgear in Europe on 19th Century. Form of headgear was increasingly more functional and simple. It was needed various items with various usage. Since Industrial Revolution the french Revolution. A diffusion of sport and increase of leisure time gave rise to entrance of mass headgear with reasonability and simplicity. But female headgear was more decorative than males. Until late 19th century when female has participated in social performance, female headgear was not functional and simple form. More often female took male headgear(fedora, straw boater, cap, tc.) than bonnet when female role-awareness was changed and sport is diffused.

  • PDF

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Comprehensive Policies for Low-Income Single-parent Households - Using a Concept of Social Exclusion)

  • 송다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295-319
    • /
    • 2003
  • 본 연구는 저소득 모자가구주의 대부분이 일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여전히 어려운 노동빈민(working poor)으로서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비롯되었으며, 저소득모자가구의 생활실태를 최근 사회과학 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배제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의 극복방안으로서 사회적 통합과 연대모색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남성가장을 중심으로 한 일반가구, 일반 모자가구, 사회적 빈곤선 이하에 놓인 저소득모자가구를 대상으로 각 가구유형별 특성과 생활실태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반적인 모자가구의 사회적 배제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0년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사회복지욕구조사" 원자료를 이차분석(secondary analysis) 하였으며 총 3,182가구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모자가구는 일반모자가구, 저소득모자가구에 상관없이 고용형태, 주거형태, 소득, 소비생활 측면에서 일반(남성가장)가구에 비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반가구에 비해 모자가구는 가족으로부터 자원을 제공받기보다는 오히려 장애, 만성질환 등의 가족원을 보호해야 하는 상당한 부담을 안고 있었으며, 사회적 안전망에서도 모자가구는 전반적으로 제외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모자가구가 일반가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사회적으로 취약해지거나 고립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현실을 반영하며, 현재 공식적으로 빈곤층, 혹은 저소득층으로 분류되지는 않았지만 일반모자가구도 포괄적인 사회적 안전 망이 확립되지 않는다면 향후 저소득층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확인시켰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모자가족의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수 있는 사회적 통합방안이 모색되었다.

  • PDF

남성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모자 스타일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style of hats in men's fashion collection)

  • 서동애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6호
    • /
    • pp.826-837
    • /
    • 2012
  • Recently, hats have been used more frequently as an accessory, contributing to the general image of clothes in men's collection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frequency and styles of hat usage in men's brand collections according to the collections' images. Types of hats and their frequency of usage in men's clothes were analyzed among 857 collections from 74 brands between S/S 2006 and F/W 2012.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es image and type of hats used. Hats were used in 622 out of 857 collections, and 24 different types of hats were used. In 67 collections, hats were used in at least 71% of clothes. The most frequently used hat was the fedora, followed in frequency by the beanie, cap, bowler, and high hat. The styles of hats in collections varied depending on seasons. In S/S season collections, fedoras were often used, while beanies were more common during the F/W season. This study analyzed styles of hats used in formal, casual, uniformed, and deformed images. Beanies and fedoras were frequently used for the formal image; fedoras, beanies, and plat caps were often used for the casual image; more than 3 types of hats were used together for the uniformed image; and design hats and hats in various styles were used for the deformed image. The results show that hats of various styles were used in collections to express the image of clothes.

전래동화 『빨간모자』와 영화 <아저씨>에 나타난 아버지의 기표 (Signifier of Father on the Traditional Fairy Tale『Le petit chaperon rouge『 and the Korean Film <Uncle>)

  • 김길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65-75
    • /
    • 2012
  • 농경, 산업, 정보, 지식 사회를 거치면서 무의식의 유산으로 아버지(혹은 남성)는 법, 질서, 규제, 보호자, 훈육자 등등의 표상으로 고정화되었다. 본 연구는 전래동화 "빨간모자"를 통해 어린 독자가 사회의 기초적 단위, 즉 '나'를 중심으로 한 가족의 개념을 익히고 동시에 아버지를 제도로서의 단위로 인지하고 있음을 볼 것이다. 영화 <아저씨>의 관객도 전통적 가족의 필요성과 질서의 주체로서의 아버지의 표상을 구하고 있음을 파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아버지는 '나'의 강력한 보호자이자 동시에 실체가 없지만 이름만으로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형상, 마치 기독교 예배의식에 나타난 하느님 '아버지'처럼 기표만으로도 법, 질서, 금기, 규제 등등을 운용하는 무형적 존재로서도 작동하고 있다. 본고는 "빨간모자"와 <아저씨>의 분석을 통해 아버지의 기표가 어떤 형태로 드러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두 장르에서 드러나는 '아버지' 기표의 유사성도 검토하고자 한다. 아버지(남성)는 한편으로 정치적 폭군이거나 범죄자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부당한 권력의 대항자로 또는 사회적 약자의 수호자로 나타난다. 이러한 대립적 구도는 우리가 검토한 "빨간모자"와 <아저씨>의 서사적 구조 속에 잘 묻어있다. 동화 속의 아버지는 욕망과 억압의 표상으로 드러나며, 동시에 독자는 아버지의 부재를 통해 가족의 필요성을 깨닫는다. 영화 속의 아버지는 사회적 약자의 수호자로 묘사되며, 전통적 가족의 틀과 질서의 주체로서 그려진다. 이렇게 아버지의 기표는 두 장르에서 사회적 '제도'라는 기의와 조응하면서 인류문화의 기본적인 개념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인 남성 모자를 위한 사이즈 체계 연구 (Sizing System of Head Gears for Men)

  • 이진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53-55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sign the sizing system of the head gears which would be a guide of men for selecting their head gears of suitable size.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214 men and was done by cluster analysis with two variables(head circumference and bitragus to vertex arc leng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most of measurements were larger in men than in women. Second, the suitable numbers of size were found that 5 sizes were proper by cluster analysis with two variables. After the design of sizing system, the cover ratio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decide whether it is proper or not. Third, in the cover ratio, the 5 sizes were the highest in all of them.

  • PDF

한국과 프랑스의 남성 모자 비교연구 - $17{\sim}18$세기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Korea and French Men's Bat - During 17th Century to 18th Century -)

  • 양지나;이상은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5-125
    • /
    • 2007
  • A hat is a general term for what human beings wear on their heads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the cold or heat, to be used for ornament, or to symbolize social position. A hat represents the position of a man who wears it, attitude toward the society, and faith for a religion for males. Since men's hats can create their image and uniqueness in casual wear from current fashion items, they are proposed as a fashion accessory item of designers each s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hats, which are part of costume, in a more analytic method. The research range of this study is hats for men in the upper class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from the history of costume when diverse periodic and characteristic costume changes occurred.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in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changes in costume occurred as the feudal society of the dynasty had been dissolved since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Political power was established in France as the Baroque Age began in the 17th century. Since European costume, especially women's costume led fashion in France, the country represented the age better than any other countries. Aristocratic costume in the Rococo Age of the 18th century was changed to completely different shape of costume after the French Revolution. In this regard, this age was deem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comparison or costume.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mmon and different features of periodic factors that affect changes in costume by researching the hats of the two countries in the same age in order to understand relation between periodic characteristics and costume throughout history of costume.

  • PDF

호맥 사일리지의 급여기간이 비육돈의 생산성, 혈액 성상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ye Silage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haracteristics, and Carcass Quality in Finishing Pigs)

  • 신승오;한영근;조진호;김해진;진영걸;유종상;황광연;김정우;김인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2-400
    • /
    • 2007
  • 본 연구는 호맥 사일리지의 급여와 급여기간이 비육돈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비육돈 16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개시시 체중이 90.26 kg이었고 30일간 개체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호맥 사일리지의 급여기간에 따라 출하 전 10일간 급여한 처리구(S10), 20일간 급여한 처리구(S20), 30일간 급여한 처리구(S30)로 4처리를 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마리씩 $1.8{\times}1.8\;m$ 크기의 돈방에 개별 사육하였다. 사양시험 기간 동안 일당증체량 및 사료효율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p>0.05), 사료섭취량은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S20처리구가 S30처리구와 비교 하여 높게 나타났으며(p<0.05), 혈액 내 cortisol 함량의 변화는 호맥 사일리지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p<0.05). 육질특성은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등지방 두께는 대조구가 S20, S30처리구에 비하여 두껍게 나타났다(p<0.05). 살코기 내 지방산 조성을 살펴보면 stearate, total SFA 및 UFA/SFA는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total MUFA는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p<0.05). 지방 내 지방산 조성은 oleate 와 total MUFA는 S20처리구와 S30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비육돈 사료 내 호맥 사일리지의 급여 및 급여기간은 사료섭취량, 건물소화율에 영향을 미쳤으며, 혈액 내 cortisol 함량, 등지방 두께 및 육의 지방산 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응답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 집게로 집어 빨래 줄에 말리는 경우가 많았다. 모자 세탁 시 세탁방법, 건조방법, 건조장소의 요인들보다 세제종류가 세탁 후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적절한 세제를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소비자에게 인지시켜 피해를 줄이는데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 보관방법으로는 대부분 옷장 선반에 두고 있었으며 보관 후 형태변화 결과를 경험한 소비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적합한 모자 보관으로 형태유지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셋째, 대부분의 모자 소비자들은 레이블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다른 의복 아이템에 비하여 모자레이블에 대한 신뢰도는 더 낮게 나타나, 공급자들은 정확하고 실질적인 레이블을 표기하여 신뢰도 회복을 기해야 할 것이다. 많은 소비자들이 모자의 치수 체계 이해에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레이블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가 낮게 나타나 남성 소비자에게도 전반적인 레이블에 대해 교육시키도록 구체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만 하겠다. 후속연구에서는 모자의 다양한 형태나 재료에 따른 세탁 및 관리 방법을 보완하여 연구가 수행되어서 보다 구체적인 자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로 초지의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구명하였다. 정부는 초지의 규제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초지에 대한 무분별한 개발은 오히려 제주의 환경파괴, 소중한 관광자원의 소실, 수백 년간 가축방목지로 활용되어온 축산기반의 붕괴, 유기축산 실현과 청정 환경을 유지하는 생태자원보고 천혜의 조건을 파괴하늘 것으로 초지의 전용은 미래 세대를 위한 존재가치, 환경보존 및 축산업 유지 등 여러 관점에서 보면 초지를 유지 보전하는 것이 제주도의 관광 상품성을 제고할 수 있어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 번 생각하게끔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종류의 지각된 위험 요소가 내재된 홈쇼핑의 효과적인 설득전략을 위해서는 단순히 시간과 수량을 제한하는 희소성 메시지 기법 외에 이용자의

지각자의 사회적 가치가 남성의 액세서리 착용 이미지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iver's Social Values on Image Evaluation of Men Wearing Accessories)

  • 이명희;송원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0권4호
    • /
    • pp.560-572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fashion accessories on how men of different ages are perceived, as well as how the social values of the perceiver affect the image evaluation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men's accessories were limited to glasses, ties, and hats. A quasi-experiment was conducted in which 358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examined two men, one in his 30s and the other in his 60s. The social value included materialism and hedonism with higher and lower group. Factor analysis revealed three main factors with regard to men's image based on age and accessories: professionalism, morality, and preferenc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wearing accessories can affect how men are perceived, and the perceivers' social values are at play throughout the process. Glasses enhanced a professional image in men, while ties amplified professionalism and morality. Morality and preference for the older man were heightened when he wore a fedora and a hunting cap. Taking social values into account, perceivers with a higher level of materialism associated a man with a navy blue tie more strongly with professionalism. Perceivers who possessed more hedonistic traits preferred a man wearing a cap. The subjects considered the man in his 60s as having a higher level of professionalism when he wore casual hats such as a cap or a cloch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values such as materialism and hedonism play a part in how people perceive men wearing accessories.

남성의 액세서리 착용과 헤어스타일에 따른 인상형성 연구 (A Study of Impression Formation According to Men's Accessories Wearing and Hairstyle)

  • 송원영;이명희
    • 복식
    • /
    • 제65권2호
    • /
    • pp.17-3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impression formation according to the accessories and hairstyles worn by me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men's appearance and occupation inferences. The subjects were 320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irst, wearing eyeglasses gave an impression of more intelligent image and less mild image. It was evaluated that the men wearing neckties have a high dimension of intelligence, and men wearing no necktie have a high dimension of progressiveness. Men with classic hairstyles had a high dimension of intelligence, while men with sports hairstyles had a high dimension of progressiveness, conspicuousness, and attractiveness. Second, metal rims on glasses had a high dimension of empowerment and attractiveness when a red necktie was worn, while horn-rimmed glasses with no necktie had a high dimension of conspicuousness and progressiveness. The men with sports hairstyles, with no eyeglasses had the highest dimension of progressiveness when a red necktie was worn. Third, it was evaluated that wearing a cloche hat or baseball cap had a low dimension of empowerment, while wearing a necklace had a high dimension of empowerment, conspicuousness, and progressiveness. Fourth, the men who wore a suit, eyeglasses, and a necktie with a classic hairstyle were deduced to be professionals, with high-ranking or white-collar jobs. It was found that when men wore a suit with a sports hairstyle, no eyeglasses, and no ties, they were inferred to be engaged in a service job. The baseball cap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technical or simple labor jo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