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ignifier of Father on the Traditional Fairy Tale『Le petit chaperon rouge『 and the Korean Film <Uncle>

전래동화 『빨간모자』와 영화 <아저씨>에 나타난 아버지의 기표

  • 김길훈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프랑스학과)
  • Received : 2012.06.08
  • Accepted : 2012.07.13
  • Published : 2012.07.28

Abstract

Throughout the agraian society, industrial society, information society, and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word father has become the representation of the law, oder, control, protection, and discipline. This study, with traditional fairy tale "Le petit chaperon rouge", aim to analyze the child readers a notion familly around 'me' and conceiving the father as the unit of the institution; also, in the Korean film , cinema audiences feeling keenly the necessity of the conventional family values and looking for the poster of principal agent of law and order. Generally the father is protector of 'me' and simutaneously, is incorporal being; even if he is inessential, he has, only by the name, great influence with people(law, order, control, discipline, are operating only with the name as the father God does). Our study will show how the signifier father operates and what similarity is between the film and the traditional fairy tale. A father is recognized as a tyrant or criminal, but a man is always realized to undertake a duty of resisting unjust powers and protecting nonperson. Those opposing structures was well represented in epic works such as"Le petit chaperon rouge" and . The father described in children's tale appeared as a symbol of desire and oppression, therefore youngster readers realized around 'Me' the concept of family through the absence of a father and received the father as a unit in the system. A father in a film has been described as a protector of nonperson, and a main part in the institution and order of traditional family. In both genre, the psychological signifiant of father still has been shown based on the symbol of father as a social institution.

농경, 산업, 정보, 지식 사회를 거치면서 무의식의 유산으로 아버지(혹은 남성)는 법, 질서, 규제, 보호자, 훈육자 등등의 표상으로 고정화되었다. 본 연구는 전래동화 "빨간모자"를 통해 어린 독자가 사회의 기초적 단위, 즉 '나'를 중심으로 한 가족의 개념을 익히고 동시에 아버지를 제도로서의 단위로 인지하고 있음을 볼 것이다. 영화 <아저씨>의 관객도 전통적 가족의 필요성과 질서의 주체로서의 아버지의 표상을 구하고 있음을 파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아버지는 '나'의 강력한 보호자이자 동시에 실체가 없지만 이름만으로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형상, 마치 기독교 예배의식에 나타난 하느님 '아버지'처럼 기표만으로도 법, 질서, 금기, 규제 등등을 운용하는 무형적 존재로서도 작동하고 있다. 본고는 "빨간모자"와 <아저씨>의 분석을 통해 아버지의 기표가 어떤 형태로 드러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두 장르에서 드러나는 '아버지' 기표의 유사성도 검토하고자 한다. 아버지(남성)는 한편으로 정치적 폭군이거나 범죄자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부당한 권력의 대항자로 또는 사회적 약자의 수호자로 나타난다. 이러한 대립적 구도는 우리가 검토한 "빨간모자"와 <아저씨>의 서사적 구조 속에 잘 묻어있다. 동화 속의 아버지는 욕망과 억압의 표상으로 드러나며, 동시에 독자는 아버지의 부재를 통해 가족의 필요성을 깨닫는다. 영화 속의 아버지는 사회적 약자의 수호자로 묘사되며, 전통적 가족의 틀과 질서의 주체로서 그려진다. 이렇게 아버지의 기표는 두 장르에서 사회적 '제도'라는 기의와 조응하면서 인류문화의 기본적인 개념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Francesco Casetti,, Les theories du Cinema depuis 1945, Natan, 1999. 12.
  2. Francesco Casetti,, Les theories du Cinema depuis 1945, Natan, 1999. 12. pp.6-10
  3. Grimm The Brothers, The complete Grimm's fairly tales, New York, Pantheon Books, 2005. 참고.
  4. S. B, Poulter, 송종용 역, Father Factor: how your father's legacy impacts your career(모든 인간관계의 핵심요소) 아버지,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07.
  5. M. Bowie, 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2003. pp.135-179,
  6. 프로이트, 김종엽 역, 토템과 타부, 문예마당, 1995.
  7. B. Bette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1976.
  8. B. Bette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1976. pp. 175-182
  9. B. Bette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1976. p. 179.
  10. B. Bette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1976. p.178.
  11. B. Bette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1976. p.167.
  12. B. Bette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1976. p.163.
  13. B. Bette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1976. p.35
  14. B. Bette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1976. pp.251-273,
  15. S. Freud, Family romances, SE 9, pp.237-241,
  16. Francesco Casetti,, Les theories du Cinema depuis 1945, Natan, 1999. pp.245-249.
  17. Francesco Casetti,, Les theories du Cinema depuis 1945, Natan, 1999. p.248
  18. C. Jones, 방문숙, 이호영 역, 케임브리지 프랑스사, 시공사, 2003. 104쪽
  19. M. Foucault, Histoire de la sexualite, Gallimard, 1984.
  20. M. Foucault, 이규현 역, 앏의 역사, 나남, p.70, 1993.
  21. M. Foucault, 이규현 역, 앏의 역사, 나남, pp.69-90.1993.
  22. J. Weeks, 서동진외 역, 섹슈얼리티: 성의 정치, 현실문화연구, p.49, 1997.
  23. J. Weeks, 서동진외 역, 섹슈얼리티: 성의 정치, 현실문화연구, p.37, 1997.
  24. 조선화, "아버지와 관련된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한국놀이 치료학회, 20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