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꼬리지느러미

Search Result 17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of Appendicular Skeleton in Rivulus ocellatus marmoratus (teleostomic: Aplocheilidae) (점박이송사리 Rivulus ocellatus marmoratus (진구아강 : 점박이송사리과)의 부속지골격 발생에 관하여)

  • 이승휘;복완근박은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4 no.1
    • /
    • pp.69-80
    • /
    • 1991
  • 점박이송사리에 관한 해부학적 자료축적의 일환으로 부속지골격의 형댈 발생 및 골화 진전양상을 조사하였다. 각 부속지의 구성골은 전피성골이 연골성골보다 먼저 골화되었다. 부속지의 기조는 가슴지느러미, 구리지느러미, 등 및 됫지느러미, 그리고 배지느러미의 순으로 골화되었다. 골화 진전에 따라 초기 자어시 유함되어 있던 수직지느러미의 기골은 방사기골과 중담기골로, 가슴지느러미의 오초-견갑골은 오훼골과 견갑골로 분리, 분화되었다. 그러나 골화진전에 따른 구성 골간의 유합은 나타나지 않았다. 5가지 부속지의 골화 완성은 가슴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등지느러미, 됫지느러미 그리고 배지느러미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 PDF

First Record of the Black-barred Halfbeak, Hemiramphus far (Beloniformes: Hemiramphidae) from Jeju Island, Korea (제주도 북부 연안에서 출현한 학공치과 한국미기록종, Hemiramphus far)

  • Kim, Byung-Jik;An, Jung-Hyun;Lee, Seung-Hyu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6 no.2
    • /
    • pp.139-142
    • /
    • 2014
  • Based on a single specimen collected from the north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we described Hemiramphus far as the first record from Korea. The specimen shows a elongated body with a prolonged lower jaw, 13 dorsal fin rays, 11 anal fin rays, 36 predorsal scales, and silvery white body with five black bars laterally and yellowish color on posterior part of lower jaw, tips of dorsal fin and upper caudal lobe. "Geom-mu-neui-hag-gong-chi" is proposed as a new Korean name for the species.

A New Record of the Carangid Fish, Decapterus tail (Pisces, Carangid) from Korea (한국산 전갱이과 어류 1 미기록종, Decapterus tabl)

  • 김용억;고정락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2
    • /
    • pp.156-160
    • /
    • 1994
  • 1993년 4월 부산시 부산 공동어시장에서 채집된 전갱이과 어류 1개체가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 1개의 작은 토막지느러미가 있는 점에서 전갱이아과 Caranginae에 속하는 종으로, 가라지속 Decapterus의 한국 미기록종인 홍기가라지(국명신칭) Decapterus tabl로 동정되었기에 이를 기재하였다. 본종은 상대적으로 측선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측선의 경사 부위에 모비늘이 없으며, 측선 모비늘수가 34-48개이고, 두정부의 비늘은 안구의 중앙 뒤쪽까지 분포하고 있다. 또한 복추골에 2개의 측돌기공 및 꼬리지느러미가 적색인점 등이 동일 속의 다른 종들과 잘 구분된다.

  • PDF

First Reliable Record of the Sickle pomfret, Taractichthys steindachneri (Bramidae: Perciformes) from Korea (우리나라 남해에서 출현한 새다래과(농어목) 한국미기록종, 흰꼬리타락치 Taractichthys steindachneri)

  • Kim, Byung-Jik;Kim, Jin-Koo;Ryu, Jung-Hwa;Park, Ji-Tae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4 no.3
    • /
    • pp.230-233
    • /
    • 2012
  • Taractichthys steindachneri is described based on two specimens (224.7~406.5 mm SL) collected from the south sea including the adjacent water of Jeju Island, representing a reliable first record from Korea.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well-separated each pelvic fin, semicircular groove on dorsal surface of caudal peduncle, well-elongated dorsal and anal fin rays, nearly uniformly blackish body color with white margined caudal fin.

Early Life History of the Marine Animals 1. Egg Development, Larvae and Juveniles of Chaenogobius laevis (Steindachner) (해산동물의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 1. 미끈날망둑, Chaenogobius laevis (Steindachner)의 난발생과 자치어)

  • KIM Yong Uk;HAM Kyeong Ho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2 no.5
    • /
    • pp.317-331
    • /
    • 1989
  • Chaenogobius laevis inhabit brackish waters. Adult male protects egg mass laid under the stones. The egg with small oil globule varied from 3.40 to 4.04 mm in diameter. When water temperature is $22.0\~23.0^{\circ}C$, larvae hatched about 113 hours after fertilization. The newly hatched larvae reared for 33 days grow up to 12.10 mm in total length and developed to the jevenile. When larvae length attained about 8.0 mm, jaw bones were more rapidly ossified than vertebrae and cranium.

  • PDF

Thelohanellus misgurni (Kudo, 1919) infection on the fins of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Misgurnus nazolepis의 지느러미에 기생한 포자충, Thelohanellus misgurni (Kudo, 1919)에 관하여)

  • Kwon, Se-Ryun;Kim, Hyoung-Jun
    • Journal of fish pathology
    • /
    • v.24 no.2
    • /
    • pp.167-171
    • /
    • 2011
  • On September in 2010, myxosporidian parasites were found on the fins of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Several cysts of approximately 2 mm diameter were observed on the fins. Numerous spores were found in the cyst. The total length of the spore was 13.0 to 15.8 ${\mu}m$, and the width of spore was 6.0 to 7.5 ${\mu}m$. As the results, the myxosporidians were finally identified as Thelohanellus misgurni (Kudo, 1919) on the basis of the presence of characteristic cysts and size of spores.

크릴과 아스타크쟌틴 첨가량에 따른 붉은쏨뱅이 (Sabastiscus tertius)의 체색변화와 성장

  • 김철원;백재민;황은경;임상구;김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82-83
    • /
    • 2003
  • 최근 인공종묘생산기술이 개발된 붉은쏨뱅이(Sabastiscus tertius)는 자연산과 양식산의 체색이 붉은색과 검정색으로 많은 차이가 있어 양식산업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품가치와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사료에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함유한 크릴새우(25, 50, 75, 100%)와 astaxanthin(5, 10, 15, 20%)를 비율대로 첨가하여 양식산 붉은쏨뱅이의 체색 변화를 살펴보았다. 크릴새우의 경우 50% 첨가한 사료실험구에서의 적색도와 황색도는 각각 6.29와 13.42로 높게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크릴새우 75% 첨가실험구에서는 적색도와 황색도가 각각 8.31과 14.91로 최고치를 보였다. 그리고 크릴 100%에서는 적색도와 황색도가 각각 7.27과 10.33로 75% 실험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taxanthin 실험구들에서는 5%와 10% 실험구에는 체색도가 높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15%에서 적색도가 7.86 황색도가 9.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20% 실험구에는 7.18과 6.32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 붉은쏨뱅이의 체색회복을 위해서는 크릴새우의 경우 최소 50% 이상을 첨가해야만 가능할것으로 판단되며 astaxanthin는 15% 이상 첨가해야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astaxanthin보다는 크릴새우가 더 효과적이였으며 모든 실험구는 대조구(펠렛사료 100%)에 비하여 체색 회복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연산에서는 적색도와 황색도는 각각 23.80과 13.44로 적색도가 아주 높게 나타났으나 양식산에서는 적색도와 황색도가 1.09와 1.98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체색의 변화는 모든실험구에서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리미 그리고 턱과 가슴주변에서부터 점차 배와 등쪽으로 색이 변화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크릴 75%와 astaxanthin 15%를 공급하였을 때 체색이 변화하는 시간은 크릴의 경우 사료공급 20일 후부터 체색의 변화가 시작하여 30일이 경과 될때에는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및 턱주변이 붉은색으로 변화하였다. astaxanthin의 경우는 30일부터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부근에서 체색의 변화가 시작되었으며 40일 이후부터 붉은색으로 변화하였다. 크릴새우와 astaxanthin를 함유하여 실험하였을 때 붉은쏨뱅이의 성장은 크릴 75% 실험구에서 전장 172.3mm, 체중 65.9g으로 가장 좋았다. 그러나 대조구에서는 전장 148.7mm, 체중 49.5g으로 가장 성장이 저조하였으며 astaxanthin 실험구들에서는 전장 152.3~159.8mm, 체중 56.9~59.3g으로 서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First Record of the Banded Sergeant, Abudefduf septemfasciatus (Perciformes: Pomacentridae) from Jeju Island, Korea (한국산 자리돔과 (Pomacentridae) 어류 1미기록종, Abudefduf septemfasciatus)

  • Kwun, Hyuck Joon;Park, Jinsoon;Kim, Hye Seon;Bae, Hanna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8 no.1
    • /
    • pp.47-51
    • /
    • 2016
  • Three specimens of Abudefduf septemfasciatus were collected firstly from tidal pools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coasts of Jeju Island, Korea in August 2015.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black blotches on the upper origin of the pectoral fin, upper caudal peduncle and a dorsal fin between the second and fourth spines, predorsal scales beyond to above the middle of the eye, 12~13 soft dorsal and anal fin rays, and 20 lateral-line scales. This species is distinguishable from Abudefduf sordidus by soft dorsal and anal fin rays, location of caudal peduncle blotch, and location of the dorsal fin blotch. The newly proposed Korean name is "Il-gop-jul-ja-d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