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김문규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5초

Activin-A 처리에 의해 분화 촉진된 인간 배아 줄기세포 유래 내배엽성 세포의 효과적인 정제 (Effective Isolation of Endodermal Lineage Cells Deriv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Post Activin-A Treatment)

  • 김문규;문성환;박순정;이경일;신정민;장재우;정형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4권3호
    • /
    • pp.135-141
    • /
    • 2010
  • Embryoid bodies (EBs) generat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include spontaneously induced endodermal lineage cells (ELCs). Activin-A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endoderm differentiation of hESCs. Despite studies on the generation of ELCs from hESCs with treatment of Actvin-A, it was unclear for localization and pattern of ELCs by Activin-A during differentiation of hESC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knew that Actvin-A increased the cystic EBs formation, including the highly enriched AFP (endoderm lineage specific marker)-expressing cells in the surface of cystic EBs. To induce the EBs formation from undifferentiated hESCs, cells were transferred onto petri-dish and cultured in suspension condition without bFGF removed hESC media (EB media) for 3 days. Nex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tivin-A, EBs were subsequently cultured in EB media supplement with 100 ng/ml Activin-A for 3 days. After 5~7 days of Activin-A treatment, cystic EBs began to appear which increased in numbers reaching ~60% of initially formed EBs over 5 days. Endoderm lineage marker, AFP were highly expressed and specifically localized at the surface region of cystic EBs comparison with normal EBs. We next attached the cystic EBs onto gelatin-coated plates and cultured for 5 days. In the results of real-time PCR and immunocytochemistry analysis, AFP-expressing cells migrated and localized at the outgrowth region of attached cystic EBs. To obtain the AFP-expressing cells of the outgrowth region, we manually isolated by using micro-dissection and cultured them. These cells strongly express AFP over 70% of isolated cells post re-plating. Here, we first showed an expression pattern of specifically localized ELCs by Activin-A during differentiation of hESCs. From this observation, we could highly purified ELCs from undifferentiated hESCs. Taken together, our system will provide a novel and efficient option to generate ELCs from hESCs.

배란 전, 후 생쥐 난자-난구 복합체의 미세구조의 변화

  • 김문규;김종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73-282
    • /
    • 1988
  • 생쥐에 PMSG와 hOG를 주사한 후 난자-난구복합체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환찰함으로세 난구세포의 분산현상을 규명하고자 본 실험을 행하였다. 난자는 PMSG 주사후 48시간까지 별 다른 변화가 없었고 다만 표면막에 miGrOVilli와 Coaled pit의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PMSG-hCG주사 12시간 후에 배란된 난자의 표면은 microvilli와 coated pit가 사라져서 평평하게 되었다. 방사관세포는 PMSG주사 48시간 후메 밀착해 있던 투명대와 간격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투명대를 통관하여 난자의 표면막과 desmosome으로 연결되어 있던 세포질돌기도 퇴화의 징후를 보였다. PMSG-hCG주사 후에는 급속히 격리, 분산되고 세포질돌기는 퇴화하였으며 dermo-some도 사라겼다. 난구세포들은 대조군에서 밀집되어 있었고 거의 gap junction으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PMSG주사 24시간 후에는 모양이 등글게 되고 더욱 밀집되었으며, 48시간 후에는 거의 loose junction으로 연결되었고 분산되기 시작하였다. 결국 PMSG-hCG주사 If시간 후에는 완전히 분산되었고 거의 모두 핵응축과 괴사현상을 보였다. 난자- 난구 복합체의 분산은 배란전에 PMSG에 의하여 시작되고 hCG에 의하여 촉진 완결된다는 것이 확실하다.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oocyte-cumulus complexes of mouse alter injection of PMSG and hOG have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elucidate expansion phenomenon of the cumulus cells. The oocytes until 48 hours after PMSC injection showed no change except a tendency of decrease in numbers of microvilli and the coated pelts on surface membrane. However, surface membrane of the ovulated oocytes 12 hours after PMSC-hCC injection changed to be smooth due to disapperance of microvilli and coated pits. Corona radiate cells tightly attaching to zona pe]lucida 48 hours after PMSC injection began to be detached and their cytoplasmic processes connected by desmosome to oocyte surface membrane showed a degeneration symptom. Thereafter the detachment and degeneration were accelerated by hCG injection and followed by disappearence of desmosome. The cumulus cells in control group were compacted and connected by almost 9aP junction each another. Ite cumulus cells 24 hours after PMSG injection were changed to be round form and more tightly compacted. However, the cumulus cells 48 hours after PMSG injection were connected by almost loose junction and showed the beginning of expansion. Eventuallv, the cumulus cells 12 hours a%or PMSG-hCG injection were completely expanded, and became pvknotic and necrotic in most It is clear that the expansion of oocyte-cumulus complex were initiated by PMSC, then accelerated and completed by hCG before ovulation.

  • PDF

선천성 보체 7번 결핍을 가진 한국인 한 가족 (A Korean familial case of hereditary complement 7 deficiency)

  • 김문규;이경열;이준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6호
    • /
    • pp.721-724
    • /
    • 2009
  • 수막구균(Meningococcus) 질환은 보체계의 이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보체 7번은 5개의 말단 보체 단백질(terminal complement protein) 중 하나로 이것이 결핍되면 보체의 세포를 용해하는 작용을 잃게 되어 반복적인 감염, 특히 수막구균 감염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한다. 2003년 9월 고열, 하지 동통, 두통과 점상 출혈로 외래에 내원한 11세 된 여자 환자가 입원 후 급격히 혼수 상태로 빠졌으나 즉각적인 치료로 결국 완전히 회복되었다. 환자의 최종 진단은 수막구균성 패혈증과 관절염이었다. 환자의 오빠도 비슷한 세균성 뇌수막염 가족력이 있어 저자들은 보체계 검사와 유전자 돌연변이(gene mutation)에 대해 분석하였고, 환자와 환자의 오빠는 보체 7번 유전자의 exon 4에 G394C에 돌연변이가 있는 선천성 보체 7번 결핍 환자였고, 아빠는 보인자로 밝혀졌다. 저자들은 예방적으로 4가 수막구균 백신(tetravalent polysaccharide meningococcal vaccine, $Menomune^{(R)}$ A/C/Y/W-135, Aventis Pasteur, Canada)을 3년마다 접종하기로 하였고 2004년 10월에 처음으로 접종하였다. 그러나 2006년 9월 오빠는 급성 세균성 뇌수막염(meningoencephalitis)으로 사망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2년마다 예방적 접종을 하기로 하였고, 환자는 2008년 9월에 3번째로 접종하였으며 16세 된 환자는 현재까지 건강한 상태이다. 저자들은 수막구균 감염과 보체 7번 유전자 네번째 intron의 3' 말단 splice acceptor 위치에 G to T 돌연변이(g.IVS4-1G> T)가 있는 선천성 보체 7번 결핍을 가진 한국인 한 가족을 보고하는 바이다.

발정주기 동안 생쥐 자궁에서의 Aquaporin-4와 -8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Aquaporin-4 and -8 Genes in Mouse Uterus during the Estrous Cycle)

  • 이지원;강한승;계명찬;홍석호;신현상;강수만;이성은;김문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8권1호
    • /
    • pp.49-55
    • /
    • 2004
  • Aquaporins(AQPs)유전자는 다양한 조직의 상피세포와 내피세포에 존재하며 다량의 물 이동을 조절하는 막성 단백질로서, 세포간 또는 세포막 사이의 물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정기의 생쥐 자궁에서는 자궁내막세포의 증식과 함께 수화되는 특징을 보이며, 자궁내강으로 물이 이동되어 자궁내액의 점성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쥐의 발정주기 동안 자궁에서의 형태학적인 변화와 관련하여 AQP유전자가 물 이동의 매개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하여, 생쥐 발정주기 동안에 AQP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LCf을 이용하여 자궁내 세포의 종류에 따른 AQP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AQP-4 전령체는 발정주기의 proestrus와 estrus 시기에 발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반면, AQP-8 전령체는 동일한 시기에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LCM 기법을 통해서 AQP-4와 -8 전령체가 자궁기질세포보다 자궁내막세포에서 강하게 발현이 유도됨을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생쥐 자궁에서 AQP-4와 -8유전자가 발정주기에 따라 발현량이 변화하는 것으로 보아 난소내 호르몬인 estrogen과 progesterone에 의해 조절될 가능성이 있으며, proestrus와 estrus 시기에 자궁내강으로 자궁내액을 수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생쥐 배아에서 Heparin-Binding Epidermal Growth Factor가 MMP-9과 ATPase ${\gamma}$-subunit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parin-Binding Epidermal Growth Factor on the Expression of MMP-9 and ATPase ${\gamma}$-subunit mRNA in the Mouse Embryo)

  • 홍석호;나희영;이지윤;김정희;김정훈;채희동;강병문;김문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8권2호
    • /
    • pp.87-93
    • /
    • 200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heparin-binding epidermal growth factor (HB-EGF) on the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and hatching in the mouse embryos an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and ATPase ${\gamma}$-subunit mRNA. Methods: Late 2-cell mouse embryos was cultured for 72 hours in RTF medium containing with 1, 10, and 100 ng/ml HB-EGF.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MMP-9 and ATPase ${\gamma}$-subunit was detect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The rate of hatching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roup containing with 1 ng/ml HB-EGF than other groups. Also, the rate of hatched blastocys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10 ng/ml.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MMP-9 mRNA was not shown any difference among groups, but ATPase ${\gamma}$-subunit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Conclusion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B-EGF has the positive effect to promote the blastocyst formation and hatching process and influences the blastocoel expansion by promoting the ATPase mRNA expression in the mouse embryos.

  • PDF

투명대하 미세수정(SUZI)시 정자의 상태 및 처리방법에 따른 수정률과 임신률 (Influence of Sperm Parameters and Capacitation Methods on the Outcome of Subzonal Insemination(SUZI))

  • 최규완;김수경;양현원;차영범;이승재;박종민;김문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1호
    • /
    • pp.21-29
    • /
    • 1994
  • Subzonal insemination(SUZI) has been proposed for patients with severe male factor and previous fertilization failure. However, very low fertilization rates still persiste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ertilization rate and sperm parmeters, sperm incubation media and time, secondly, to evaluate the outcome of 119 cycles of SUZI applied the modified sperm preparation method. The fertilization rates were influenced more sensitively by sperm preincubation media and time than by sperm parameters. According to preincubation media and time, the fertilization rates were 43.3% in 50% follicular fluid (HFF), 36.6% in 10% fetal cord serum(FCS), and with the time, increased in FCS, but decreased in HFF. In regrd with sperm parameters, the fertilization rates were 42.9% in normal and 37.6% in subnormal group.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from SUZI by the spermatozoa incubated in 50% HFF for 6-8 hours. So we tried 119 cycles of SUZI(normal; 39 cycles, subnormal; 80 cycles) using the preparation method of 6-8 hour incubation in 50% HFF. There were no signigicant differences in the fertilization rates between normal(125/269, 46.4%) and subnormal sperm(264/635, 41.6%). Contrary to the fertilization rates, pregnancy outcomes were different between both groups. Better results obtained from the subnormal group than the normal in the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that of good embryos, and developmental rate of the fertilized eggs. The pregnancy rates per transfer were totally 13.3%(13/98),20.0%(13/65) in subnormal group. In the normal group, 2 patients showed ${\beta}$-hCG positive, but resulted in chemical pregnancy. Of 13 clinical pregnancies, two aborted, 6 on-going, and 5 delivered. In conclusion, SUZI is an effective technique to overcome fertilization failure for male factor and unexplained. The fertilization rate is influenced by sperm parameters, sperm incubation media and time. Also the quality of oocytes might be important for pregnancy as same as that of sperm.

  • PDF

마우스 신경모세포종 모델을 이용한 HSV-TK 유전자 치료에서 Bystander 효과 및 증폭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Bystander Effect and Its Enhancement in HSV-TK Gene Therapy Using a Murine Neuroblastoma Model)

  • 조현상;김문규;박종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3호
    • /
    • pp.354-361
    • /
    • 2002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및 in vivo에서 HSV-TK 유전자 치료의 bystander 효과 및 기전을 관찰하고, 싸이토카인 유전자의 병합 치료가 bystander 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는지 조사하여 그 결과를 향후 신경모세포종 치료에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A/J 마우스 신경모세포종 모델에서, neuro-2a/TK 세포와 unmodified neuro-2a세포를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접종한 후 GCV를 투여하여 종양의 크기 변화 및 생존 유무를 관찰하였다. 마우스 신경모 세포종에서 bystander 효과의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neuro-2a/TK 세포를 주입한 마우스의 조직을 절개하여 connexin 43, CD4+ 및 CD8+ 세포 침윤을 관찰 하였다. 10% 및 25% HSV-TK 투여 군에서 neuro-2a/IL-2 세포의 투여가 bystander 효과를 증폭시키는 지 조사하였다. 결 과 : 1) in vitro 및 in vivo에서 bystander 효과는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2) 마우스 신경모세포종의 면역 조직 화학 염색 검사에서 connexin 43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많은 수의 CD4+ 및 CD8+ T 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3) 10% 및 25% HSV-TK 투여군의 마우스에서 neuro-2a/IL-2 세포의 투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종양의 성장을 더 억제 시켰다. 결 론: In vitro 및 in vivo에서 HSV-TK/GCV 유전자 치료의 bystander 효과는 뚜렷하였으며, 그 기전으로 면역 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bystander 효과는 IL-2 투여에 의해 증폭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신경모세포종의 수술 후 잔존암 치료에 HSV-TK/GCV 유전자 치료가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적 성숙에 따른 생쥐 부정소의 강소형성과 부정소액내 단백질의 전기영동 양상 (Lumination of Epididymis and Electrophoretic Pattern of Proteins in Epididymal Fluid during Sexual Maruradon in Mouse)

  • 김문규;윤현수;최규완;윤용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4-274
    • /
    • 1989
  • 본 실험은 생쥐에서 부정소액내의 단백질 성분과 조성에 미치는 정소액과 정자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적 성숙시기에 따라 정소와 부정소의 조직분화 양상을 관찰하였으며, 강소분화 특징에 따라 체취한 부정소액은 전기영동법으로 단백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정소와 부정소는 생후 10일군에서 미분화 상태였고, 20일군에서 세정관의 강소는 형성되지 않았으나 부정소는 두부에서 미부에까지 강소가 형성되었으며, 35일군에서는 정소내 세정관의 강소가 형성되었고 정세포는 정자로 분화되었고, 부정소의 상피세포는 principal cell과 clear cell로 분화되었으나 부정소로 유입된 정자는 없었다. 80일군에서는 정소와 부정소가 완전히 본화되었고 부정소로 유입된 많은정자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부정소액의 전기영동상에는 혈청내의 성분과 다른 단백질이 모두 28종이 나타났는데, 그 중 12종은 부정소액에만 존재하는 부정소 특이단백질이었고, 16종은 정소액에도 공통으로 존재하는 단백질이었다. 또한 이 단백질들은 성숙시기에 따라 종류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성체에서 나타난 3종의 단백질은 부정소의 부위에 따라 양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부정소액내 단백질의 성분과 조성은 정자를 포함한 정소액의 유입과 부정소 상피세포의 분비 및 흡수의 조절작용에 의하여 변화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부정소액내의 TEP와 ESP는 부정소 정자의 성숙에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생식물(水生植物)을 이용(利用)한 수질오염원제거(水質汚染源除去)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2보(第2報) 부레옥잠의 영양염류(營養鹽類) 및 중금속(重金屬) 제거효과(除去效果) (Studies on Removal of Water Pollutants by Aquatic Plants II. Removal of Water Polluted Nutrients and Heavy Metals by Water Hyacinth)

  • 이규승;김문규;변종영;이종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9-154
    • /
    • 1985
  • 열대성(熱帶性) 수생식물(水生植物)인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의 오염물질(汚染物質) 제거효율(除去效率)에 관한 실험(實驗)을 통해 나타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농도(初期濃度) 10, 25 및 50 ppm 용액(溶液)에 대해 처리(處理) 3일후(日後) 질산성질소(窒酸性窒素)는 0.7, 0.9 및 1.2ppm 그리고 인산염(燐酸鹽)은 0.1, 0.2 및 0.5ppm 으로 제거(除去)되었으며, 이러한 영양염류(營養鹽類)의 제거능력(除去能力)은 초기(初期)에서 더욱 높았다. 2. 중금속(重金屬)의 제거(除去)는 Cu, Pb에서 컸으며, 중금속(重金屬)에 의한 부레옥잠 피해는 Cu, C에서 심하였고, 식물체에 의한 중금속(重金屬) 제거경향(除去傾向)은 대상 중금속의 종류(種類)에 따라 서로 달랐다. 3. 식물체(植物體)로 흡수(吸收) 제거(除去)된 중금속량(重金屬量)은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많았고, 중금속별(重金屬別)로는 Cu, Pb, Cr, Cd의 순이었으며, 식물체내(植物體內)에서의 분포는 뿌리 부분에 많았다. 4. 부레옥잠 처리(處理) 10일후(日後)의 식물체내(植物體內)로의 중금속(重金屬) 흡수(吸收)와 뿌리에 흡착(吸着)은 모두 Cu와 Pb는 Cr과 Cd에 비하여 컸으며, 뿌리에의 흡착량(吸着量)은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많았고, 중금속별(重金屬別)로는 Cu, Pb, Cd, Cr 순(順)이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유용목재(有用木材)의 변색(變色)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scoloration of 16 Commercial wood Grown in Korea)

  • 김문규;정대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40-46
    • /
    • 1986
  • 국내산(國內産) 16수종재의 철오염(鐵汚染), 알칼리오염(汚染) 산오염(酸汚染), 태양광(太陽光)에 의한 변색을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철오염(鐵汚染)이 심(甚)한 수종(樹種)은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느티나무, 왕버섯나무등 이었고, 적은 수종(樹種)은 참오동나무, 리기다소나무등 이었다. 2. 국내산수종(國內産樹種)은 알칼리오염(汚染)이 적은 평이었고, 알칼리오염(汚染)이 낮은 수종은 젓나무, 음나무, 현사시, 고로쇠나무, 리기다소나무, 신갈나무, 자작나무, 왕벗나무, 느티나무, 이태리포플러, 잣나무, 참오동나무 등이었다. 3. 산오염(酸汚染)이 심(甚)한 수종(樹種)은 본(本) 실험(實驗)에서 사용재중(使用材中)에는 나타나지 않았고, 낮은 수종은 리기다소나무, 오동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음나무, 고로쇠나무 등 이었다. 4. 태양광(太陽光)에 의한 변색은 본(本) 실험(實驗)에서 사용(使用)한 공시재중(供試材中)에는 변색의 정도가 높은편으로서 변색이 심(甚)한 수종은 일본잎갈나무, 고로쇠나무, 참오도나무, 이태리포플러, 소나무, 아까시나무, 젓나무, 현사시, 느티나무, 왕벗나무, 리기다소나무 등이었으며, 태양광에 의한 변색이 낮은 수종(樹種)은 오리나무로서 국내산재 16수종이 태양광에 의한 변색의 정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일반적(一般的)으로, 한국산(韓國産) 수종(樹種)은 태양광(太陽光)과 철오염(鐵汚染)에 의한 정도가 높은 편이었고, 알칼리오염(汚染)과 산오염(酸汚染)에 의한 변색은 낮은 편에 속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