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저모형

Search Result 23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Development of Bus Bunching Duration Model (버스몰림운행 지속시간 추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Eun-Gyeong;No, Jeong-Hyeon;Ryu, Si-G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6
    • /
    • pp.85-97
    • /
    • 2010
  • The present study aims at estimating the model of bus bunching duration along with its influential determinants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status of bus bunching being created by buses from various routes converging into one bus stop. To do so, the duration analysis, a well-known survival analysis, was adopted in order to capture the distribution of duration time as for 8 base lines, accordingly developing the model best fit for weibull distribution. Key attention to draw out the duration time model for bus bunching phenomena was laid, by analyzing 18 impact factors, on such criterion variables as number of berth, number of bus line in each berth and maximum capacity of on-and-off passengers in each line. Comparison in two typical types of bus lane was made between bus-only center lane(Dobong Mia-ro) and normal street-side lane(Tongil Euiju-ro). In this regard, the study, based on the model as above, suggested appropriat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bus operation by effectively controlling bus bunching.

Analysis o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ngdam Dam experimental basin (용담댐 시험유역 특성자료분석 연구)

  • Hwang, Eui-Ho;Chae, Hyo-Sok;Lee, Geun-Sang;Koh, Deuk-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44-1449
    • /
    • 2006
  • Korea is about 70% of all country to mountain, and basin is consisted of various terrain, soil, vegetation, land use etc. because use land as intensive. Also, need basin hydrologic model that can analysis base outflow as well as outflow directly for calculation of discharge to establish irrigation plan. Inconvenient in use method and user interface offer side is causing by way that existing USGS WEASEL runs in PC Arc/Info, and ArcGIS with development of present GIS technology is applied in many fields offering convenience in analysis that use GIS. In this research, wished to develop suitable outflow parameter extraction system, For this, develop pre-processor and post-processor that effectively draw of hydrologic model input data from water resources DB through van example benchimarking, and developed input/output component of GIS base applicable to various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model.

  • PDF

Improving an Ensemble Model by Optimizing Bootstrap Sampling (부트스트랩 샘플링 최적화를 통한 앙상블 모형의 성능 개선)

  • Min, Sung-Hwa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7 no.2
    • /
    • pp.49-57
    • /
    • 2016
  • Ensemble classification involves combining multiple classifiers to obtain more accurate predictions than those obtained using individual models. Ensemble learning techniques are known to be very useful for improving prediction accuracy. Bagging is one of the most popular ensemble learning techniques. Bagging has been known to be successful in increasing the accuracy of prediction of the individual classifiers. Bagging draws bootstrap samples from the training sample, applies the classifier to each bootstrap sample, and then combines the predictions of these classifiers to get the final classification result. Bootstrap samples are simple random samples selected from the original training data, so not all bootstrap samples are equally informative, due to the randomnes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new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tandard bagging ensemble by optimizing bootstrap samples. A genetic algorithm is used to optimize bootstrap samples of the ensemble for improving prediction accuracy of the ensemble model. The proposed model is applied to a bankruptcy prediction problem using a real dataset from Korean compani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ing System for Assessing Impact of Temporally and Spatially Changing BMP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최적관리기법 평가를 위한 통합모형시스템 개발)

  • Cho, Jae-Pil;Chun, Jong-Ahn;Saied, Mostaghim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1 no.2
    • /
    • pp.15-27
    • /
    • 2009
  • 토지이용변화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점오염모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관리기법이 수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위한 통합모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통합모형시스템은 DANSAT (Dynamic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Assessment Tool)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DANSAT은 분포형 연속 강우사상 모형으로서 농업소유역에서의 유출량, 유사량, 농약 물질의 이동기작 등을 모의한다. DANSAT은 크게 동적변수 부모형, 수문 부모형, 유사 이용 부모형, 농약 물질 이동 부모형등 4개의 부모형으로 구성되어있다. 동적변수 부모형은 토양의 특성, 작물의 생장 및 작물 잔여물질의 분해 등을 모의하는 하부모형으로 구성되어있으며, 토지 이용 변화에 관계되는 내부 변수들의 시간적 변화를 모의한다. 수문 부모형은 차단, 증발산량, 침투량, 침루량 등을 모의하는 격자 단위 프로세스와 지표유출, 중간유출, 기저유출 및 하천에서의 물의 이동을 모의하는 유역 단위 프로세스로 구성되어있다. 유사 이동 부모형은 세류간 (interrill) 토양입자의 분리, 세류 (rill) 및 하천내의 토양분리, 운송가능량 등을 모의하며, 농약 물질 이동 부모형은 농약의 분해, 평형, 식물에 의한 흡수, 침출 등을 고려하여 농약 물질의 이동을 모의한다. 입력변수는 최적관리기법의 시 공간적인 변화를 고려할 수 있도록 계층구조로 구성하였다. 유역출구에서의 결과 출력 뿐만 아니라, 유역전체에 걸쳐 지표면과 지하수면 사이에서 물 및 오염물질의 이동량 분석을 위한 출력 및 격자단위의 상세 결과 출력을 통하여 최적관리기법을 평가하고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형의 구동을 위해 요구되는 광범위한 시 공간 입력 자료를 기존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Analysis of Hydrologic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Runoff-Management Model (유출관리모형을 활용한 수문학적 공간정보 분석)

  • Lee, Sang-Jin;Noh, Joon-Woo;Ahn, Jung-Min;Kim, Joo-Cheol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1 no.1
    • /
    • pp.97-104
    • /
    • 2009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very useful in describing basin wide ge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ydrologic analysis. This study estimated long term hydrologic variations in the Geum river basin using the SSARR rainfall runoff simulation model to provide reliable hydrologic information associated with rainfall runoff management module. Calibrated various hydrologic information such as soil moisture index, water use, direct and base flow are generated using GIS tools to display spatial hydrologic information in the unit of subbasin of target watershed. In addition, the graphic user interface toolkit designed for data compilation is expected to support efficient basin wide rainfall runoff analysis.

  • PDF

Functional Data Analysi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기온 강수량 자료의 함수적 데이터 분석)

  • Kang, Kee-Hoon;Ahn, Hong-S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9 no.3
    • /
    • pp.431-445
    • /
    • 2006
  • In this paper we review some methods for analyzing functional data and illustrate real application of functional data analysis. Representing methods for functional data by using basis function, analyzing functional variation by function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functional linear models are reviewed. For a real application, we us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measured in Korea from the January of 1970 to the May of 2004. We apply function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each data and test the significance of regional division done by using shining hours. We also estimate functional regression model fo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Simulation of Discharge according to the Impervious Area Ratio in Commercial District of Urban Area by SWMM (SWMM 모형을 이용한 도시.상업지역의 불투수면적비에 따른 유출모의)

  • Park, Sung-Chun;Kim, Myoyng-Geol;Kim, Young-Myung;Chang, Nam-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78-882
    • /
    • 2008
  •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 현상으로 경작지나 녹지와 같은 투수 지표면이 대단위 주택단지나 도로, 상업지구 등의 도시시설 및 산업화에 따른 공장시설과 같은 불투수 지표면으로 변화되어 도시의 불투수 지표면의 구성비가 증가되므로 이로 인해 침투량과 증발산량이 감소하며 지하수 유출량을 감소된다. 또한 도시유역의 조도계수의 감소로 도달시간이 단축되어 첨두홍수량이 증가하게 되는 등 도시유출특성이 변화되어 홍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지구를 대상으로 불투수면적비의 변화에 따라 유출모의를 실시하였다. 유출모의를 위한 대상지구의 유역 및 관로 시스템의 제원은 수치지도와 관망도를 이용하여 유역을 구분한 후 배수 관망, 유입구 제원, 맨홀 등 관로시스템 자료 및 유역의 지표면과 지하 배수시설 및 토지이용상태를 조사하여 유역의 불투수지역(Impervious area) 및 투수지역(pervious area)으로 구분하였다. 불투수면적비에 따른 유출량과 유출률, 첨두유량, 기저시간의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모의 값의 정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2008년에 측정한 실측자료를 통해 매개변수를 최적화를 실시하여 SWMM모형으로부터의 모의 값과 실측자료를 비교 분석 하였다.

  • PDF

Method of estimating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by administrative district (시군구단위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방안)

  • Chung, Il-Moon;Yoo, Sang-Yeon;Lee, Jeong-Woo;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24-1928
    • /
    • 2008
  • 우리나라 지하수 관리 정책의 기조는 지속가능한 미래 청정 지하수의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 기반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하수의 지속적인 조사, 관측 및 체계적인 개발, 이용이 이루어지도록 추진중에 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은 10년빈도 갈수시 소유역의 연간 함양량으로 정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준은 1996년 지하수 관리 기본계획시 정해진 기준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은 기저유출분리법, 물수지 분석법, 지하수위 강하곡선법, 분포형 수문모형기법 중 한 가지를 사용하도록 기초조사 지침에 명기되어 있으며 함양량으로부터 개발가능량을 추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결과는 주로 유역 규모의 연단위 대표 함양량을 추정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어 개정지하수법 6조 2항에 의해 시군구 단위에서 수행하는 지역 지하수 관리 계획 수립과 같은 세부계획에는 활용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지표수-지하수 결합모형인 SWAT-MODFLOW 모형을 이용하여 10년 빈도 갈수년에 해당하는 함양량으로부터 시군구별 개발가능량을 산정하고 이를 지역의 이용수량과 비교하여 과부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Object-oriented Prototype Framework For Tightly Coupled GIS-based Hydrologic Modeling (객체지향성 프로그래밍 방법을 통한 GIS 연계의 수문모델)

  • Kang, Kwang-Min;Rim, Chang-Soo;Yoon, Sei-Eu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6
    • /
    • pp.597-606
    • /
    • 2012
  • With the availability of multi-scale hydrologic data in public domain depending on DEM size, there is a need for a modeling framework that is capable of using these data to simulate hydrologic processes at multiple scales for different topographic and climate conditions for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To address this need, an object-oriented approach, called Geographic and Hydrologic Information System Modeling Objects (GHISMO), is developed. Main hydrologic approaches in GHISMO are storage-release for direct runoff and SCS curve number method for infiltration part. This paper presents conceptual and structural framework of storage-release concept including its application to two watersheds will be presented.

Nonparametric clustering of functional time series electricity consumption data (전기 사용량 시계열 함수 데이터에 대한 비모수적 군집화)

  • Kim, Jaehe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2 no.1
    • /
    • pp.149-160
    • /
    • 2019
  • The electricity consumption time series data of 'A' University from July 2016 to June 2017 is analyzed via nonparametric functional data clustering since the time series data can be regarded as realization of continuous functions with dependency structure. We use a Bouveyron and Jacques (Advances in Data Analysis and Classification, 5, 4, 281-300, 2011) method based on model-based functional clustering with an FEM algorithm that assumes a Gaussian distribution on functional principal components. Clusterwise analysis is provided with cluster mean functions, densities and cluster prof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