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류(氣類)

검색결과 701건 처리시간 0.031초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에 관한 연구(硏究) -[제오보(第五報)] 초기점도변화(初期粘度變化)의 동역학적고찰(動力學的考察)- (Studies on the Mucilage of the Root of Abelmoschus manihot, MEDIC -[Part V] Kinetics of initial viscosity-)

  • 온두현;임제빈;손주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42-50
    • /
    • 1979
  •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의 온도변화(溫度變化)에 따른 회전점도(回轉粘度)의 회복(回復)은 $5^{\circ}{\sim}30^{\circ}C$ 범위(範圍)에서는 조(組) 81%, $5{\sim}95^{\circ}C$ 범위(範圍)에서는 조(組) 53% 회복(回復)된다. 2.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의 점도변화(粘度變化)는 $5{\sim}50^{\circ}C$범위(範圍)에서 Andrade equation이 잘 적용(適用)되며 여러가지 방법(方法)으로 전처리(前處理)한 황촉규근(黃蜀葵根) 점액(粘液)의 점도변화(粘度變化)에 대한 activation energy $12{\sim}14$ Kcal/mole, activation entropy는 $12{\sim}15e.u.$ 범위(範圍)이다. 3. Autoclave처리(處理) 또는 formalin 처리(處理)한 황촉규근점액(黃蜀葵根粘液)의 activation energy는 다른것보다 큰 값이 계산(計算)되었고, 또 질소기류내(窒素氣流內)에서의 activation energy 값이 큰 값으로 계산(計算)되었는 결과(結果)로 점도(粘度)의 변화(變化)에 생물학적(生物學的) 요인(要因)이 크게 관여(關與)할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4. 단시간내(短時間內)의 점도변화(粘度變化)에 대한 도도(渡度) 의존성(依存性)은 비교적(比較的) 작고 $5^{\circ}{\sim}50^{\circ}C$, 72시간내(時間內)에서는 점도변화(粘度變化)에 관여(關與)할 분자구조(分子構造)의 전환(轉換)에 대한 도도의존성(渡度依存性)도 작다. 따라서 이 범위내(範圍內)에서의 점도변화(粘度變化)의 주요인(主要因)은 점질물(粘質物)의 분선현상(分鮮現象)과 conformation의 전환(轉換)이라 추측(推測)된다.

  • PDF

WRF와 ENVI-met 수치 모델을 이용한 산악지형의 바람장 변화 모사 (Simulations of Changes in Wind Field Over Mountainous Terrains Using WRF and ENVI-met Numerical Models)

  • 원명수;한선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25
    • /
    • 2013
  • 본 연구는 복잡한 산악지형에서 바람장 변화를 해석하고, 산불발생시 확산방향을 예측하여 산불방지 전략에 활용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지는 2000년 4월 7일 산불이 발생하여 10일간 진행되었던 삼척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삼척 산불피해지는 복잡한 산악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먼저 중규모 기상 모델인 WRF를 사용하여 대상지에 설치한 AWS(4 지점)의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WRF 모의 결과, 4개 지점의 풍속은 AWS 관측지점의 풍속에 비해 5~8m/s(200% 과대평가) 강하였으며, 관측된 풍향은 지점마다 다양하게 나타난 것에 비해 모의된 풍향은 모든 지점에서 서풍계열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WRF와 같은 중규모 기상모델은 복잡한 산악지형에서의 바람장 변화를 잘 모의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기상 대기유동장 수치모형인 ENVI-me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표면 높이에서 삼척 LTER 지역의 국지규모 바람장을 모의하였다. 지형효과에 의한 모델의 민감도를 위해 다양한 초기 조건(기류, 온 습도, 대기난류, 토양 및 식생 모형)들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ENVI-met 모의결과, 풍속은 실측과 비교할 때 약 70%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풍향은 계곡부와 능선부에서 지형효과로 인한 변화를 잘 반영하였다. 향후 ENVI-met은 산불확산예측 및 산불방지전략 수립을 위해 미기상 대기유동장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산악지역의 미기상 해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콤바인 선별실(選別室)의 기류선별(氣流選別)에 관한 연구(硏究) (Pneumatic Separation on Separating Unit of a Combine Harvester)

  • 정창주;남상일;주봉철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3권3호
    • /
    • pp.32-43
    • /
    • 1988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neumatic separation on separating unit of a combine harvester.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resh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experiments. The air velocity distribution within the separation chamber was measured for various speeds of the winnower and suction fans to find out the operational and design conditions of the separating unit which would serve for reducing the grain loss from chaff outlet. The results of study arc summarized as follows: 1. Based on the separation curve of threshed materials analyzed, it was shown that three different kind. of materials-kernels, straw chaff, and leaf chaff were as a whole able to be separated pneumatically, regardless of varieties. However, a small amount of the separation grain loss may be expected to occur if the complete separation between kernels and straw chaff would be undertaken because some portion of their separation curve were overlapping. 2. The analysis of air velocity distribution showed that the separation chamber may be divided into two regions, the discharging and separating. The air velocity of the discharging region was 5-15 m/s and that of the separating region 2-5 m/s. 3. The air movement of the separation chamber may be a turbulence flow, being its speed became greater as it moves from the left to the right section of the separation chamber. The equi-speed line. of air flow had a steep gradient in between the discharging and the separation regions. The air velocity in the discharging region was much higher than the terminal velocity of kernels, because of which those kernels appearing in the region could be possibly exhausted as the grain loss from the chaff outlet. 4. The motion trajectory of threshed material in the separating region was dominantly affected by the winnower fan, on the other hand, its motion in the discharging region was affected by suction fan. 5. The grain loss from the chaff outlet was affected greatly by the winnower fan and the trace of kernel movement. It was observed that the optimum working speed to give minimum grain loss from chaff outlet for the combine tested should be maintained at 950~1,150 rpm for the winnower fan and 1,850 rpm for the suction fan. 6. It was shown that a large portion of grain loss from chaff outlet may occur when the kernels may bump against a portion of separation chamber wall and those kernels thus scattered into the discharging region were sucked by the suction fan. It was accordingly recommended that a new design of the wall of separation chamber so as to bump down kernels may be necessary to reduce grain loss from the chaff outlet.

  • PDF

PM10, PM2.5 미세먼지의 조성 및 오염 특성: 2008년 제주도 고산지역 측정 결과 (Composition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particles at Gosan site of Jeju Island in 2008)

  • 이순봉;정덕상;조은경;김현아;황은영;강창희
    • 분석과학
    • /
    • 제24권4호
    • /
    • pp.310-318
    • /
    • 2011
  • 제주도 고산지역에서 $PM_{10}$$PM_{2.5}$ 미세먼지 시료를 채취하여 주요 성분의 화학 조성, 오염 정도, 배출원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기간의 $PM_{10}$$PM_{2.5}$ 미세먼지의 질량농도는 각각 $37.6{\pm}20.1{\mu}g/m^3$, $22.9{\pm}14.3{\mu}g/m^3$$PM_{2.5}$ 질량농도는 $PM_{10}$의 약 61%를 차지하였다. $PM_{2.5}/PM_{10}$ 농도비를 조사해 본 결과, 인위적 기원의 nss-$SO_4^{2-}$, $NO_3$, $NH_4^+$은 주로 미세입자에, 그리고 nss-$Ca^{2+}$$Na^+$, $Cl^-$, $Mg^{2+}$ 성분들은 대부분 조대입자에 많이 분포하였다. 또 미세먼지 조성은 대체적으로 인위적 오염원의 영향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토양 또는 해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궤적 분석법으로 미세먼지 성분들의 유입경로를 조사해 본 결과, nss-$SO_4^{2-}$, $NO_3^-$, $NH_4^+$, nss-$Ca^{2+}$, Pb 성분들은 대체적으로 기류가 중국대륙과 한반도로부터 유입되었을 때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북태평양이나 동해를 통해 유입되었을 때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실내환경지수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Index of Indoor Environment on The Productivity)

  • 김명호;이예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15-62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절감과 실내쾌적성을 높이기 위하여 색온도, 아로마 및 소리 변동리듬의 자극을 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온도$25[^{\circ}C]$, 상대습도 50[RH%], 기류속도 0.02[m/s] 및 조도 1000[lux]가 유지되는 항온항습실에서 뇌파, 심박동 변이 및 바이브라이미지가 측정되었다. 자극 종류는 자극을 가하기 전, 소리 변동리듬 a=1.106 재즈 음원으로 이루어지는 단일자극 그리고 붉은 조명, 아로마향기 및 소리 변동리듬 a=1.106 재즈 음원으로 이루어지는 다감각자극의 세종류로 측정이 이루어졌다. 변동리듬 a=1.106의 재즈 음원, 붉은 조명 및 아로마향기의 다감각자극에서 생산성과 집중력이 향상되었고, 스트레스지수와 피로도가 감소되었다. 또한 변동리듬 a=1.106의 재즈음원, 붉은 조명 및 아로마향기의 다감각자극에서 심박동이 안정되게 유지되었으며, 바이브라이미지의 긴장도와 스트레스 역시 감소되었다. 변동리듬 a=1.106 음원, RED조명 및 쟈스민 향기의 다감각자극이 쾌적성과 집중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단일감각에 노출되기 전보다 뉴로에너지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변동리듬 a=1.106 음원, RED조명 및 쟈스민 향기의 다감각자극이 자극을 가하기전보다 또한 단일감각자극을 가했을 때 보다 뉴로에너지가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활용한 도로터널 화재시 물분무 소화설비의 피난 안전 효과 연구 (A study on use of quantitative risk analysis on life safety performance for the effect of fixed fire fighting system at road tunnel fires)

  • 박경환;유지오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22
    • /
    • 2012
  • 본 논문은 도로터널에 설치하는 물분무소화설비가 피난성능을 개선시키는지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검증의 절차와 방법은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3종류의 화재크기와 27개의 화재시나리오에 대한 화재 평가와 피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물분무소화설비가 설치된 경우와 설치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물분무소화설비는 27개 시나리오 중에서 26개에서 물분무소화설비가 없는 경우에 비해 사망자가 감소하였다. 물분무소화 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의 사회적 위험도는 홍콩과 네델란드 기준에서는 수용할 수 없는 범위였다. 반면 물분무소화설비가 있는 경우에는 사회적위험도가 ALARP 범위였다. 결과적으로 물분무소화설비가 있는 경우에는 없는 경우와 비교해서 1명, 10명, 100명 이상의 사망 빈도가 각각 50배, 100배 및 4배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물분무소화설비는 도로터널 화재 시 고온기류의 냉각작용과 독성가스의 세척효과를 통해 피난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로터널 임계풍속 산정에 격자개수 및 화원의 크기와 위치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id number and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fire source on the critical velocity in a road tunnel fire)

  • 이승철;김상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83-19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도로터널 내 화재 시 임계풍속 산정을 위해 3차원 전산유체역학 기법을 이용하여 격자수, 그리고 화원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대상터널에서 1차원 식으로 산출된 임계풍속은 터널 높이 대신 수력지름을 적용한 경우 2.22 m/s로 산정되었다. 임계풍속 2.25 m/s를 적용하여 격자수에 따른 6가지 수치해석 결과, 격자수에 따라 역류의 위치와 온도, CO 농도 값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본 대상터널의 경우는 약 84만개 격자수를 사용한 case 1이 적절한 격자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원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수치해석 결과, 화원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상이한 기류분포, 온도분포 및 CO농도분포를 나타내어 임계풍속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것은 열교환 면적과 위치에 기인된다고 판단된다. 향후 실제 실험결과와 상세히 비교하여 3차원 수치해석의 격자 의존성과 화원의 위치 및 크기를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韓國)의 온대저기압성(溫帶低氣壓性) 강수지역(降水地域) 구분(區分) (Classification of Precipitation Regions Associated with Extratropical Cyclone in Korea)

  • 김성열;양진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5-60
    • /
    • 1995
  • 한국의 온대저기압성 강수에 대하여 10년간(1981년$\sim$1990년) 60개 지점의 저기압성 강수와 관련된 43개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지역구분을 시도하였다. 먼저 인자분석(因子分析)을 통하여 요인별 고유치를 분석하여 인자점수(因子點數)의 지역분포를 고찰한 후, 군집분석의 Ward법을 적용하여 강수지역을 구분하고 구분지역별로 강수특성을 고찰하였다. 온대저기압성 강수와 관련된 43개 변수를 이용한 인자분석(因子分析)에서 고유치(固有値)가 1.0이상의 요인은 7개이며, 전변동량(全變動量)의 86%를 설명한다. 제1요인은 중서부지역의 강수특성을 설명해주며 기여율이 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군집(群集)분석의 Ward법에 의한 한궁의 온대저기압성 강수지역은 (1) 경기 영서북부지역 (2) 영동 울릉도지역 (3) 호서 영서남부지역 (4) 호남 북서제주지역 (5) 남동제주지역 (6) 영남북부지역 (7) 영남남부지역 등 7개의 대지역과, 22개 중지역으로 구분되었다. 더불어 강수지역의 경계선 설정에는 저기압의 이동경로와 유일기류의 방향, 산맥의 주향(走向) 등이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우리나라 여름철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특성(2002~2011년)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ummer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2002~2011)

  • 이승욱;최광용;김백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3-4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름철 극한강수현상 발생의 시 공간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최근 10년간(2002~2011년) 기상청 산하 전국 약 360여개 방재기상관측장비 및 종관기상관측장비의 일강수량 자료이다. 일강수량 80mm 이상의 극한강수현상과 일강수량 극값은 여름장마기(6월 하순~7월 중순)에 전국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장마전선이 북상하는 장마휴지기(7월 하순~8월 초순)에는 경기북부~강원 영서 북부 지역에, 장마전선이 남하하는 늦장마기(8월 중순~9월 초순)에는 경기도~강원 영서 남부 지역 및 지리산, 한라산 주변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지역별로 극한강수현상의 발생빈도와 극값 분포를 살펴보면, 종관규모인 장마전선의 위치뿐만 아니라 해발고도와 사면의 방향성과 같은 지형요소와 기류의 유입 등이 극한기후현상의 시 공간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각 지역과 여름철 시기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극한강수현상의 발생빈도와 강도를 고려하여 지역별로 차별화된 호우 피해 저감 대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대기 라돈 및 기체상 오염물질의 기류 이동경로별 농도변화: 2010~2015년 측정 (Concentration Variation of Atmospheric Radon and Gaseous Pollutants Related to the Airflow Transport Pathways during 2010~2015)

  • 송정민;김기주;부준오;김원형;강창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21-330
    • /
    • 2018
  • Concentrations of the atmospheric radon and gaseous pollutants were measured at the Gosan site on Jeju Island from 2010 to 2015, in order to observe their time-series variation characteristics and examine the concentration change related to the airflow transport pathways. Based on the realtime monitoring of the atmospheric radon and gaseous pollutants, the daily mean concentrations of radon ($^{222}Rn$) and gaseous pollutants($SO_2$, CO, $O_3$, $NO_x$) were $2,400mBq\;m^{-3}$ and 1.3, 377.6, 41.1, 3.9 ppb, respectively. On monthly variations of radon, the mean concentration in October was the highest as $3,033mBq\;m^{-3}$, almost twice as that in July ($1,452mBq\;m^{-3}$). The diurnal variation of radon concentration shows bimodal curves at early morning (around 7 a.m.) and near midnight, whereas its lowest concentration was recorded at around 3 p.m. Several gaseous pollutants($SO_2$, CO, $NO_x$) showed a similar seasonal variation with radon concentration as high in winter and low in summer, whereas the $O_3$ concentrations had a bit different seasonal trend. According to the cluster back trajectory analysis, the frequencies of airflow pathways moving from continental North China, East China, Japan and the East Sea,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 Pacific Ocean routes were 36, 37, 10, 13, and 4%, respectively. When the airflow were moved to Jeju Island from continental China, the concentrations of radon and gaseous pollutants were relatively high.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flows were moved from North Pacific Ocean and East Sea, their concentrations were much lower than those from continental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