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성건강식품

Search Result 83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신바이오틱스를 활용한 노인건강기능식품 시장진입 전략

  • Heo, Chang-Gi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13 no.1
    • /
    • pp.3-16
    • /
    • 2014
  • ${\bigcirc}$ SWOT 분석 내용을 토대로 신바이오틱스를 활용한 노년층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입에 있어 고려 사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함. ${\bigcirc}$ (노년층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차별성 강조) 기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특정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제품이 아닌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기능성을 강조한 제품으로 각 업체별 시장 진입시 '노년층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이라는 점을 부각, 차별성 확보 방안이 필요함. ${\bigcirc}$ (신바이오틱스의 기능성 홍보 방안 마련)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 홍삼 및 비타민 중심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어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한 신바이오틱스에 대한 인지가 낮은 상황으로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신바이오틱스 기능성을 강조한 홍보 방안 마련이 필요함. ${\bigcirc}$ (환자식 제품시장 진입 고려) 현재 국내 노년층 건강식품시장은 아직 규모 및 활성화가 미비한 도입기에 시장으로 판단되는 만큼, 노인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우선 진입함으로써 가질수 있는 선발자 우위 확보 전략 또는 신비아오틱스 활용이 가능한 관련 시장 중 환자식(특수의료용도식품)제품 시장에 제품차별화를 통해 기존 시장에 진입하는 전략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mer's Benefits and Attitudes on the Functional Health Food Purchasing Intention (소비자 추구혜택과 관심도 및 태도가 기능성건강식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Yu, Dong Sool;Kim, Hong Ke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5
    • /
    • pp.189-204
    • /
    • 2016
  • The study is aimed at figuring out the effect of the consumers benefit, attitudes and interest when customers purchase functional food on purchasing intention and product a foundation of competitive power such as a customized product development for a marketing strategy by examining consumers' behavioral patterns. The range of functional food which is a subject of this study is included in the nutraceutical foods, protective foods in addition to biocontrol food. It surveyed about ages of 20 to 60 domestic residents who have taken functional food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353 answers in September 2016, and hierarchical analysis which is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as control variable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21.0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firstly, psychological pursued benefit secondly, health concern thirdly, health management attitude affects to functional purchasing intention. It is expecting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on the basic standards that are grasping and generalizing the needs of customers. In addition, it is also expecting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functional food industry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development because it provides empirical customer behavior analysis result.

  • PDF

(2)건강기능식품법의 하위법 제정에 즈음한 방향 제안

  • Son, Dong-Hwa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5 no.4
    • /
    • pp.73-101
    • /
    • 2002
  • 21세기는 과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정보통신기술, 환경기술, 나노기술 그리고 생명과학에 의한 바이오기술이 고부가가치 지식산업으로서 국가경쟁력 강회를 위한 국가전략 핵심산업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기술의 응용산업인 건강기능식품은 국민의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 21세기 미래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국민보건과 건강기능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건강기능식품법) 이 의원입법으로 국회에 상정되어 1년 이상의 검토를 거쳐 지난 7월 31일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습니다. 그후 8월 26일자로 이 법을 정부에서 공포하였으며 내년 8월 26일부터는 발효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건강기능식품법의 제정은 건강기능식품관련 제도의 완성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즉, 건강기능식품법의 기초는 마련하였지만, 그 하위법인 시행령, 시행규칙, 고시등이 제대로 된 모습을 갖추어야 비로소 국민이 만족하고, 산학연의 동반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이 분야의 산업발전을 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건강기능식품담당 정부부처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현실적으로 그 하위법을 금년 말(2002년)이나 내년 초(2003년)에 준비한 후 입법 예고하여야하는 시간적 제약을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유로 단기간 내에 하위법을 준비하다 보면 자칫 애초에 정부와 산학연이 바라던 바와는 다른 엉뚱한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만큼, 법 제도의 명확한 방향설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한국식품과학회 건강기능식품분과위원회는 이 문제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산학연 전문가그룹(식품과학자, 영양과학자, 학계, 연구계, 기업계: 16인)을 구성하였습니다. 전문가그룹은 지난 7 - 8월, 2달 동안에 수 차례 회의를 통하여, 건강기능식품법 하위법 준비 중 핵심사항은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표시와 평가 라는 점에 착안하고, 이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검토하였습니다. 그 이외에도 섭취량 설정 , 심사자료의 인증요건 , 기능성분의 표시 등에 대하여도 부수적으로 검토하였습니다. 그 결과, 동물실험을 이용한 기능성평가 방향 (이미 본지의 전호에서 게재한 바 있어생략)을 제외한 주요사항을 다음의 별도 기사로 각각 소개합니다. 또한, 이 내용은 지난 9월 13일, COEX에서 제1회 건강기능식품 전시회 및 학술세미나 행사의 일환으로서 개최된 학술세미나에서 발표하고 토론회를 거쳤습니다. 또한, 지난 10월 26일, 무주리조트에서 식품과학회 추계학술대회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된 건강기능식품분과위원회의 토론회에서도 좋은 의견을 교환한 바 있습니다. 두 차례의 토론회를 통하여 건강기능식품분과위원회가 제안한 초안이 대체적으로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받았으며 많은 동의를 얻었습니다. 이어서 토론회의 내용을 반영한 식품과학회의 안을 최종적으로 준비하고 이를 11월초에 식품의약품안전청에게 정책 건의하였습니다. 다음의 별도기사에 덧붙여서, 토론회를 통하여 수정(또는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동물실험 등에서 흡수, 대사 등으로 표기한 서술 용어는 흡수, 분포, 대사, 배설 로 대체합니다. 2) 기능성 평가방법의 표준화와 관련하여 분과위원회에서 제시한 안은 평가방법은 심의위원회가 사안에 따라 기능성 평가시에 그 평가방법의 적합성을 검토함이 바람직하다 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를 부분적으로는 평가방법을 표준화할 필요가있다 로 수정하고자 합니다. 즉, 평가방법이 전혀 제시되지 않으면 막막함으로, 기본적인 방법이면서 여러사람들이 참고로 할만한 방법에 대하여는 표준화를 병행함이 더욱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표준방법으로 제시된 것만이 유일한 방법은 아니므로 다른 방법으로 평가하는 것도 가능함으로 제시합니다. 3) (가칭)건강기능식품 인체시험 관리지침과 관련하여 이는 식약청장이 정할 사안이지만, 그것은 국내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지침 과는 뚜렷이 차별화되는 것으로 실제로는 의사의 도움없이도 인체시험을 시행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 PDF

건강기능식품과 유가공 산업

  • Jo, Yang-Hui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31-39
    • /
    • 2003
  • 식품의 생리(약리)기능인 3기능의 강조는 인류에게 건강한 삶을 보장해 줄 것이라는 믿음을 주고 있고 인류 장수의 길을 한층 더 활기차게 끌고 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시장의 움직임은 이러한 믿음이 이미 현실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미 식품 관련 분야의 대기업, 다국적 유통업체 및 제약업체도 적극적인 건강식품 시장참여 의사를 밝히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우리나라도 2002년 8월 26일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을 공포하였다. 본 법률은 '건강기능 식품의 안전성 확보 및 품질향상과 건전한 유통, 판매질서를 확립하면서도 국민의 건강증진과 소비자보호에 이바지하기 위한' 것으로 2003년 8월 26일 부터 시행되었다. 건강기능식품은 국가의 의료비를 절감하고 국민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는 좋은 도구이다. 이와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해서 해당 식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건강기능식품 법률 시행을 맞이하여 국내의 관련 법령, 외국의 관리 체계 및 시장동향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Management Strategy For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Several Functional Ingredients (두 가지 이상 기능성원료를 복합하여 함유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안전 관리 방안)

  • Kim, Ji Yeon;Kwon, Ora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7 no.4
    • /
    • pp.395-400
    • /
    • 2012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atabase for items reported to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s for manufactured health/functional food during 2010. There were 183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s manufactured in domestic having over 2 functional ingredients (hereinafter, combinational health functional food) among total 7319 products. Among 183 products, there were 177 products having over two kinds of functional ingredient and 6 products were over 3 ingredients. The most commonly used functional ingredients in the combinational health functional food were Garcinia cambogia extracts which were used in 41 products, Octacosanol and Saw Palmetto extract. When we searched the safety information for the pair of ingredients used in combinational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several database, there were no reports for safety concern. However, as there are still safety concerns when intake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at once, we suggested to enforce the reporting system of adverse event in order to strength safety manage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With these complement, the safety manage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might be achieved including a combinational products.

농산물의 기능성에 대한 이해와 활용

  • Kim, Seong-Ran;Han, Dae-Seok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2 no.2
    • /
    • pp.3-9
    • /
    • 1999
  • 최근 의학의 진보에 따라 체격이나 평균수명은 향상되었으나 다수의 사람들이 특별한 질병의 상태가 아니면서 건강하지도 않은 반쪽 건강 상태에 있으며, 암, 동맥경화, 심장질환, 고혈압, 당뇨병, 간질환 및 만성 위장병의 증가가 문제시 되고 있다. 이들 질병의 예방이 식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식품의 영양소와 기호성 이외에 기능성, 건강지향성을 재인식하게 되었으며, 건강한 식생활이 건강관리의 한 방법으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올바른 식품과 영양에 대한 지식이 일상의 식생활에 적극적으로 반영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식원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보고에서는 양과 질의 측면에서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거나 민간전승적으로 건강에 좋으며, 식품의 과학적 효과가 입증된 대표적인 농산물의 종류와 활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효모가수분해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 정은영;정경희;김미자;김영옥;장은재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38-438
    • /
    • 2004
  •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식품을 통해 단순하게 영양섭취나 기호성을 만족하기보다는 식품섭취를 통해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을 선호하게 되었다. 현재까지의 우리나라의 기능성 식품시장은 영세할 뿐 아니라 개발된 기능성 식품의 과학적인 연구들도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Saccharomyces cerevisiea 가수 분해물은 여러 가지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자율신경 조절기능 향상으로 인한 항스트레스와 항피로 및 면역기능 강화 효과가 있으며 불안증 환자와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한 여성의 증상을 경감시킨다고 알려져 있다.(중략)

  • PDF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health functional food selection attributes, and consumption values among workers for information technology in Gyeonggi area (경기지역 IT 분야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 및 소비가치의 관계)

  • Jung, Ji-Eun;Kim, Sung-E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3 no.1
    • /
    • pp.54-67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ttributes of health functional food (HFF) selection, and consumption values for information technology (IT) workers, and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HFF to improve health by making the right choice of HFFs. Methods: Three hundred forty IT workers in Gyeonggi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low or high job stress group. The differences in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ttributes of HFF selection, and HFF consumption values were investigat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HFF consumption valu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levels and the HFF selection attributes were analyzed. Results: Job stress levels were high in those IT workers with a length of service < 5 years (p = 0.013). The group with lower job stress levels had a higher tendency to consider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HFF products (p < 0.001), and their efficacy (p = 0.047). They also showed greater emotional value for a sense of security from consuming HFFs to stay healthy (p = 0.047). The group with higher job stress levels had greater epistemic value in that their choice of HFFs differentiated them from the other workers (p = 0.036). Higher job stress was associated with less consideration of the intrinsic attributes such as ingredients and efficacy of the HFF selection attributes (p = -0.113), emotional value of the HFF consumption values (p = -0.136), and the functional value such as practicality, price, and safety (p = -0.134). The job stress level influenced the intrinsic attributes through the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demonstrating that the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had appropriat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levels and intrinsic attributes. Conclusion: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for workers to relieve job stress and improve the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which contributes to choosing the appropriate HFFs.

Intake Status and Recogni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서울·경기지역 폐경 전후 여성의 건강기능성식품 섭취 실태 및 인지도 조사 연구)

  • Park, Keun-Cheol;Choi, Yoon-Hye;Kim, Woo-Rim;Choi, Ye-Ji;Yoon, Ki 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7
    • /
    • pp.1112-112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ake status and recogni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urvey questions were administered to 400 women around menopausal period, and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window program. Thirty-three percent of women recognized that they are healthy, and 47.1% of respondents are concerned with maintaining their health. However, respondents showed a low level of knowledge about the definition of menopause and health functional foods. Health concerns of respond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marital status and level of education (P<0.05). Purchasing and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s wa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by health concerns and menopause symptoms (P<0.05). Twenty-nine percent of participants had taken health functional foods to prevent disease. However, most of them (85.9%) showed no knowledge of the main components of functional foods. In addition, knowledge associated with menopause and functional foods was affected by the level of education. The respondents' health concern, and thus purchase and intake frequenci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affected by level of education. 'Effect of functional foods' was a top priority when respondents purchased health functional foods. The respondents answered black bean and pomegranate as foods that relieve menopause symptoms. However, they actually showed high intake frequency of black beans than pomegranate due to the high accessibility of black be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ducational support for dietary guidelines is needed for middle-aged woman to be healthy after menopause.

수입식품등 검사지침

  •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 Food Industry
    • /
    • s.198
    • /
    • pp.103-141
    • /
    • 2007
  •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수입식품등 검사지침(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7-42호, 2007. 6. 27)과 수입건강기능 식품 신고 및 검사세부처리규정(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7-43호, 2007. 6. 27)을 발표했다. 관련내용은 판매를 목적으로 하거나 영업상 사용하기 위해 수입하는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및 용기포장의 검사에 관한 세부지침과 수입건강기능식품의 신고 및 검사에 관한 세부처리규정을 정해 검사업무의 형평성, 공정성, 신속성, 효율성을 위해 개정고시하였다. 본란에서는 관련 고시내용 전문을 게재함으로서 식품제조업체 및 식품등수입 판매업자등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DF